View : 7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현식-
dc.contributor.author이은주-
dc.creator이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7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4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754-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는 시장지향성이 일반적 생활양식으로 뿌리내려 대상을 상품으로서 경험하고 관계를 맺고 살아가면서 상품으로서의 교환가치에 집착하는 성향이 팽배해져 있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현대인은 삶의 주체라기보다는 그 무엇에 의해 평가되고 조작 당하는 대상적 존재로 전락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 결과 인간소외를 경험하게 된다. Fromm(1963)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인간소외현상의 심각성을 지적한다. 이렇게 소외된 사회에서 서로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상대방을 배려하며 함께 어울려 사는 인간적인 사회로 전환시킬 수 있는 적절한 방안 중의 하나가 자원봉사활동이다. 자원봉사활동은 인간과 사회를 바람직하게 변화시키는 수평적인 인간관계를 갖게 하고 진실된 만남을 하게 해주며 우열이 없는 상호 호혜적인 소통의 장을 열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자원봉사활동 중에서 교육 분야 자원봉사활동은 교과 전문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지닌 자원봉사활동자가 교육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활동이다. 이러한 교육자원봉사활동은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여건에 있는 소외된 자들에게 평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열등한 환경을 타개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어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그리하여 바람직한 공동체 사회와 더불어 교육복지 사회와 평생학습 사회를 지향하게 한다. 이러한 교육자원봉사활동은 전인적인 인간을 기르는 교육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봉사활동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관심은 사회복지분야의 다른 활동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등한시되고 있고, 그와 관련된 연구도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교육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게 하는 요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검토를 통해 교육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오랜 기간 동안 교육자원봉사활동을 해 온 봉사활동 자는 자기개방을 많이 하고 또 행복감을 느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즉, 장기 교육자원봉사활동 자는 자기감정을 더 솔직하게 표출하여 상대방과 ‘나와 너’의 참 만남을 하고 상호 신뢰를 쌓으며 친밀한 유대관계를 갖게 될 것으로 보이며, 또 삶의 기쁨과 행복감도 더 느낌으로써 단기 교육자원봉사활동 자와 차이를 보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솔직하게 자기개방을 하고 행복감을 지닌 교육자원봉사활동 자는 자신의 지적, 영적 성숙뿐 아니라, 긍정적인 에너지인 행복이 충만한 학습의 장을 형성하여 학습자에게 행복감을 전해 주고, 교수-학습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교육자원봉사활동자의 활동기간에 따라 교육자원봉사활동자의 자기개방과 영적 행복감이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교육자원봉사활동 자 내면의 깊은 의식을 탐색하고 진단하여 교육자원봉사활동자의 중도 탈락을 줄이고, 교육자원봉사활동을 적극적으로 활성화, 지속화시키기 위한 관리방안을 모색하여 양적 증가와 더불어 질적 향상을 도모하려는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봉사활동의 기간에 따라서 교육자원봉사활동자의 자기개방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봉사활동의 기간에 따라서 교육자원봉사활동자의 영적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고등학생 이상의 자원봉사활동 자 중 교육 분야에서 무료로 봉사활동을 한 경험이 있거나 활동 중인 여성 242명을 대상으로 직접조사와 전자메일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로서 교육자원봉사활동의 특징, 자기개방의 의미와 자기개방적 태도의 특성, 행복의 정의와 영적 행복감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이론들이 교육 및 훈련으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또한 봉사활동 지속기간에 따라서 교육자원봉사활동자의 자기개방과 영적 행복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해룡(2008)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교육자원봉사활동자의 활동 지속기간을 36개월 미만인 집단과 36개월 이상인 두 집단으로 나누어 두 독립표본 t검증(t-test)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나타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6개월 이상 교육자원봉사활동을 한 집단의 영적 행복감이 36개월 미만 활동 자들보다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담당관리자에 대한 자기개방의 경우 36개월 이상 교육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한 활동자의 자기개방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료봉사자에 대한 자기개방의 경우 교육자원봉사활동 지속기간이 36개월 이상인 집단과 36개월 미만인 집단 간의 자기개방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활동대상자에 대한 자기개방의 경우 36개월 이상 교육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한 활동자의 자기개방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봉사활동 지속기간이 36개월 이상인 장기 교육자원봉사활동 자는 36개월 미만의 교육봉사활동 자보다 영적 행복감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개방 정도도 역시 담당관리자와 활동대상자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교육자원봉사활동을 장기적으로 지속한 집단은 보다 높은 영적 행복감을 느끼고 있으며, 담당관리자와 활동대상자에게 자기개방을 많이 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와 연구에 따라 교육자원봉사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겠다. 첫째, 교육자원봉사활동자가 삶의 만족, 기쁨, 평화를 얻는 영적 행복감을 높게 느끼기 위해서는 인간애에 기초한 봉사활동 정신을 함양하고 자기반성적 성찰을 유도하는 새롭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 되어져야 한다. 그러한 프로그램이 가치 지향적 태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실제적인 교육 및 훈련으로 이어질 때 교육자원봉사활동 자는 영적으로 성숙하고 행복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육자원봉사활동자가 활동영역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솔직한 자기개방을 하여 인간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지도, 보호 등의 기능을 해 주는 멘 토(mentor)-멘 티(mentee)의 돈독한 유대관계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자원봉사활동자의 연령 분포를 살펴보면, 40대 이상이 69.8%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 분야 봉사활동영역에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중년과 노인 교육자원 봉사 활동 자를 적극 활용하는 것은 능력을 갖춘 유휴노동력을 바람직하게 활용하는 것이며, 평생학습 사회를 실현하는 것이다. 넷째, 교육자원봉사활동이 지속화,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대화와 소통의 장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만남의 장은 친목을 도모하고 화합을 이룰 수 있는 건전한 사교의 기회와 분위기를 조성하여 담당관리자와 활동대상자에 대한 자기개방 정도를 더 높여 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교육자원봉사활동자가 그들과 인격적인 만남을 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소속감, 일체감 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Modern society is heavily based on ‘market orientation'. Materialistic values are held in the greatest esteem, and all relationships are primarily defined by materialistic transactions. According to a study by Fromm(1963) modern man is no longer the master of his life but is a slave to financial and social status and feels alienated from his actions and will. Volunteer work is an effective method of bringing back humanitarian values. It promotes awareness and compassion among members of our society. Volunteers and their clients are able to truly meet and communicate, and they can develop relationships as equals. Volunteer teachers in particular are comprised of individuals who utilize their expertise and experience to assist those who are in desperate need of educational assistance. In this way, volunteer teachers are able to even the playing field and allow students from poor backgrounds to realize their potential. The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healthy community that encourages life-long continuing education. As volunteer teachers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holistic and well-rounded students their activities are very important to society. However, the importance of volunteer teachers has often been understated and very few studies are available on this subject matter.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motivating factors behind those volunteer teachers who serve for many years.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ch volunteers and their personal sense of well-being, including self-disclosure and happiness. Volunteer teachers who are more open in the expression of feelings would likely develop a close "I and Thou" relationships with their students and fellow volunteers. It was also hypothesized that volunteer teachers who are personally happy would be able to energize their students by transmitting their sense of well-being and rais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us,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teachers' length of service and their sense of well-being, including the level of self-disclosure and happiness. The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inner emotional state of volunteer teachers in order to find ways to enhance their retention rate. Accordingl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First, do volunteer teachers’ duration of service affect their level of self-disclosure? Second, do volunteer teachers' duration of service affect their level of happiness? To address the questions at hand, the participants for our study were selected at large from female volunteers who liv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have finished high school. The 242 female volunteer teachers who are either currently in service or had previously served were surveyed through direct meetings or electronic mail.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that served for less than 36 months and the other that served for 36 months or longer.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First, the group of volunteer teachers who served for 36 months or longer were foun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o enjoy a higher level of spiritual happiness compared to the group that served for less than 36 months. Second, vis-a-vis directors of their volunteer programs the group of volunteer teachers who served for 36 months or longer were foun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o have a higher level of self-disclosure compared to the group that served for less than 36 months. Third, vis-a-vis their fellow voluntee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elf-disclosure between the two groups. Fourth, vis-a-vis their students the group of volunteer teachers who served for 36 months or longer were foun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o have a higher level of self-disclosure compared to the group that served for less than 36 months. In conclusion, the study demonstrated that volunteer teachers who served for 36 months or longer enjoyed a higher level of spiritual happiness compared to those volunteer teachers who served for less than 36 months. In terms of the level of self-disclosur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vis-a-vis directors of their volunteer programs and their students but not for their fellow volunteers. Based on this study I would like mak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to encourage volunteer teachers to continue their services. Firstly, directors of educational services programs should strive to provide a dynamic curriculum not only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promote the examination of their self, and help the spiritual maturation of volunteers. In addition, greater training of the volunteers should be emphasized Second, str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uld be encouraged throughout the formation of mentor-mentee roles with all persons encountered through educational services. Third, 69.3% of volunteer teachers are in their 40's. The involvement of more elderly individuals with experience in the educational volunteer work field should be increased in overseeing and counseling the development as well as administration of such educational service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their duration and revitalization. Finally, to increase the duration and retention of volunteer teachers, fur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hospitable and friendly environment that encourages active conversation and networking between volunteer teachers and directors of their volunteer programs and also between volunteer teachers and their students. Ideally, this would result in the formation of las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 4 Ⅱ. 이론적 배경 5 A. 자원봉사활동의 지속 5 1. 자원봉사활동의 의미 5 가. 자원봉사활동의 개념 5 나. 자원봉사활동의 종류 9 2. 교육자원봉사활동의 속성 11 가. 교육자원봉사활동의 특징 11 나. 교육자원봉사활동의 현실 15 3. 교육자원봉사활동의 지속요인 17 가.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의 다양한 요인 18 나. 교육자원봉사활동의 지속요인 23 B. 지속요인으로서의 자기개방과 행복감 28 1. 자기개방의 의미 28 가. 자기개방과 친밀한 대인관계의 내용 29 나. 자기개방적 태도의 특성: 솔직한 의사소통 44 2. 행복감 53 가. 행복의 의미 53 나. 행복과 영성의 관계: 영적 행복감 57 C. 교육자원봉사활동 지속을 위한 교육현황 61 1. 자원봉사활동자 교육 및 훈련 61 가. 교육 과정: 기초·심화·재교육 및 훈련 61 나. 인문교육의 부재와 필요성 64 2. 교육자원봉사활동자 교육 및 훈련 66 가. 교육자원봉사활동자 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 67 나. 교육자원봉사활동 지속성의 방향 70 Ⅲ. 연구방법 74 A. 연구대상 및 절차 74 B. 측정도구 75 C. 연구문제 78 D. 자료분석 방법 78 Ⅳ. 연구 결과 80 A. 교육자원봉사활동 지속기간에 따른 집단의 특성 80 1. 일반적 특성 80 가. 교육자원봉사활동자의 연령별 분포 80 나. 교육자원봉사활동자의 현재 직업 80 다. 교육자원봉사활동자의 취업 혹은 사회활동경험 81 라. 교육자원봉사활동자의 과거 직업 82 2. 교육자원봉사활동관련 특성 82 가. 교육자원봉사활동의 주당 봉사시간 82 나. 교육자원봉사활동의 내용과 대상자 83 다. 교육자원봉사활동의 중단 위기와 극복 84 라. 교육자원봉사활동의 지속유지 요소와 대책 86 마. 교육자원봉사활동자의 참여태도와 지속여부 87 B. 교육자원봉사활동 지속기간과 영적 행복감 88 C. 교육자원봉사활동 지속기간과 자기개방 89 1. 담당관리자에 대한 자기개방 89 2. 동료봉사자에 대한 자기개방 89 3. 활동대상자에 대한 자기개방 90 D. 교육자원봉사활동자 교육 및 훈련관련 특성 90 1. 교육 및 훈련의 경험, 장소, 실천 정도 90 2. 기초교육 및 훈련 92 3. 심화교육 및 훈련 93 4. 재교육 및 훈련 95 5. 필요한 교육 및 훈련 96 Ⅴ. 결론 및 제언 98 A. 요약 및 논의 98 B. 제언 및 제한점 100 1. 제언 100 2. 연구의 제한점 103 참고문헌 104 부록 119 ABSTRACT 1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086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교육자원봉사활동 지속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Volunteer Teachers' Duration of Service-
dc.creator.othernameLee, Eun-Joo-
dc.format.pagexiii, 13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