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7 Download: 0

사용자 생성 기호 기반의 웹인터페이스 평가 방법 연구

Title
사용자 생성 기호 기반의 웹인터페이스 평가 방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s of the Web Interfaces Based on the User Generated Signs
Authors
이혜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류한영
Abstract
The World Wide Web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for the dissemination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at affects the entire scope of our everyday life. As the web spreads all over our daily lives, the quantity of the information that WWW delivers virtually exploded, which is giving the users hard times digesting the daunting waves and waves of information. The design of the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s absorb the information they receive in an efficient manner has gained attention, as a result. However, the web-designers are demanded to roll out the design outcomes in response to the requests of their corporate clients in limited time, as those clients also are under pressure to cope with the drastically fast changes of the web interface environment. Under this designing context, it has become the priority for the designers to deliver outcomes swiftly, and this led the designers to focus on their own perspectives rather than the needs of the users when they develop the interfaces. Finally, it became harder and harder for the users to figure out how they operate and use the interfaces on the web, causing usability problems at times. The designers came to recognize this problem later on and began to have the users involved in the designing process of their web interface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ir works. These users who got involved in the designing process often ended up evaluate the design prototypes of the interfaces, too. The designers then made references to the problems pointed out during this evaluation processes and applied corrective actions and improvements with a view to make their design better. In the evaluation process by the users to enhance the web interface designs by the users, the designers have the users try out the interfaces they have designed and observe the users behaviors and approach of utilizing the interfaces to spot the potential problems of their designs. This process that is just being mentioned here is called ‘Observation Assessment.’ In Observation Assessment processes, the evaluation of the interfaces is made based on the actual usage behavior of the users. And such an approach as this can be said to be the fullest realization of the human-oriented, ergonomic perspectives for the design assessment.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is approach can give the designers such high efficiency, it is still very difficult to analyze for the designers to use, and the final conclusion of such analysis can vary significantly among different designers with different capabilities. It is also a problem that this kind of approach may be time consuming and costly, which is not favored by the designers in such a fast changing design environment.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ssessment model that could identify problems with higher efficiency and usability in consideration of such situations for the web interface assessment as mentioned above. The suggested assessment mode in this study is named as ‘the web interface e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user generated signs,’ named as such because this approach refer to the linguistic and behavioral signals expressed by the users as they make use of the interfaces they evaluate. In this method, the user’s language expressions and tag items are used to identify at which location the problems of interaction between the users and the interfaces dwell. To construct the web interface e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user generated signs, a theoretical review on the evaluation models on the interfaces and Semiotics. As for the reviews on the evaluation models for the interfaces, a number of the evaluation models were examined and their pros and cons were identified with the ones that show the highest efficiency. And, the implication of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web interfaces based on the user generated signs was contemplated upon. In addition, a review on the Semiotics factors that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study was done, with a focus on the linguistic and behavioral signs and how they were dealt with among other elements. After that, we examined the way the linguistic and behavioral signs were communicated in order to point out the problems with the interface in question. With the theoretical contemplations on the basis, we adopted positive and objective processes to construct the evaluation methods based on the user generated signs. Firstly, an experiment with the actual users was conducted and the users’ linguistic and behavioral factors and the problematic elements from the interfaces were identified and collected. Within the collected data, the problematic situations in the interfaces that were identified got categorized into 6 web interface problem factors through statistical processing. Then the linguistic and behavioral factors were matched to each of the 6 interface problem factors to evaluate the problems with the web interfaces at hand in our evaluation model. The web interface e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user generated signs driven from the result of the above mentioned study was then verified for their application feasibility in actual assessments by the designers by testing with the evaluation designers. The outcomes of the verification tests, in summary, the web interface e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user generated signs, when applied by the hands of the designers, identified a significantly larger number of the problems in a more wide range of different categories than the result given by the designers using Observation Evaluation. And, the numbers and categories of the problems discovered by the designers using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web interfaces based on the user generated signs were almost the same among different participants of the test,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evaluation method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it numbers and categories between the designers who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process. As it is evidenced as above, the web interface e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user generated signs is more convenient to use by the designers in the assessment of the interfaces and at the same time more effective in identifying the problems with the interfaces, including what kind of problems dwell at what location. Therefore, if the evaluation method proposed herein is used by the designers, more efficient, and at the same time meaningful assessments could be made to provide the best interface design outcomes. In contrast, we also discovered some suggestions to be made concerning the web interface evaluation based on the user generated signs, which included that there needs to be a better way in measuring the linguistic and behavioral items with more convenience. Further studies could be made, in this regard, to provide the users of the evaluation method with a more convenient method to measure the linguist and behavioral signs, such as a measurement tool for these elements to be used by the assessors.;월드 와이드 웹(web)이 개발된 이후 인간은 시간과 공간을 제약 받지 않고 유용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고, 인간에게 유용한 정보전달 및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된 웹은 빠른 속도로 인간의 일상생활에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웹의 대중화와 함께 이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의 양도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면서, 사용자들은 수없이 쏟아지는 정보를 습득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웹 환경의 변화로 인해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에서 정보를 효율적으로 습득하게 해주는 웹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과거보다 방대해진 정보를 다양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데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이해, 사용자의 인지적, 육체적, 감성적 특성 등 고려할 부분이 많아졌다. 그러나 디자이너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웹인터페이스 개발 환경에 대처 해야 하는 기업의 정책에 따라 제한된 시간 안에 디자인 결과물을 개발하여야만 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 환경아래에서 디자이너는 신속하게 결과물을 내는 것을 우선 시 하게 되었으며, 사용자를 고려하기보다 자신의 관점에서 주도적으로 웹인터페이스 를 디자인 하게 되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웹인터페이스 를 어떻게 조작하고 움직여야 하는지 이해하기 쉽지 않아졌고, 사용상의 문제가 종종 발생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인지한 디자이너들은 자신이 제작한 웹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들을 디자인 과정에 참여시키기 시작하였으며,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디자인한 웹인터페이스 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때 사용자들이 제시한 웹인터페이스 의 문제점들은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더욱 향상된 웹인터페이스로 재 디자인된다. 사용자가 디자인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웹인터페이스 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 사용 성이라는 개념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사용성은 사용자가 얼마나 쉽게 그 시스템을 배울 수 있으며, 그 시스템을 배워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을 의미하며, 사용 성을 평가하는 것을 통해 인터페이스가 얼마나 사용하기 편리하게 설계되어 있는 지를 사용자 관점에서 알아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용 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다양한 평가 방법들이 개발되어 활용되어오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디자인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평가 방법을 든다면 사용자 관찰 평가라 할 수 있다. 사용자 관찰 평가는 디자이너가 제작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사용해보도록 하고, 사용 과정에서의 사용자 행태를 관찰하여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어느 부분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사용자 관찰 평가는 웹인터페이스 의 사용성에 대한 경험적인 테스트를 통해 인터페이스 디자인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 지를 가장 정확히 알아볼 수 있는 장점을 지닌 효율적인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디자이너가 활용하기에는 진행과 분석 과정이 어려울 뿐 아니라, 디자이너 개개인의 평가능력에 따라 평가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일분일초를 다투며 급박히 디자인이 진행되는 디자인 실무 환경에서 평가를 진행할 때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관찰 평가의 한계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용자 관찰 평가보다 디자이너가 활용하기에 편리하고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도출 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방법은 사용자 생성 기호 기반의 웹인터페이스 평가 방법으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표현하게 되는 언어 및 행위를 활용하여 웹인터페이스 문제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의 상호작용(interaction)에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언어와 행위의 태그 항목을 통해 측정하게 된다. 본 연구의 사용자 생성 기호 기반의 웹인터페이스 평가방법을 도출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평가방법과 기호학에 관하여 전반적인 이론 고찰을 실시하였다. 인터페이스 평가방법의 고찰에서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평가방법들을 살펴보았으며, 평가방법들 중 에서도 가장 인터페이스 문제를 효율적으로 도출하는 방법인 관찰법의 발전방안으로서 사용자 생성 기호 기반 웹인터페이스 평가방법의 의의를 논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는 기호학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다양한 기호 중에서도 언어와 행위 기호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이러한 언어 및 행위기호가 인터페이스 문제를 지시하는 기호로서 어떻게 소통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과정을 통해 사용자 생성 기호 기반의 웹인터페이스 평가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때에 사용자들이 표현한 언어 및 행위 요소들과 인터페이스 문제 상황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 중 인터페이스 문제 상황은 객관적인 통계분석과정을 통해 6개의 웹인터페이스 문제 요인으로 항목화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6개의 인터페이스 문제요인에 해당하는 언어 및 행위 요소를 대응시켜 웹인터페이스 의 문제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안하였다. 연구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상기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사용자 생성 기호 기반의 인터페이스 평가 방법이 디자이너에게 편리하고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검증실험을 진행해 보았다. 검증 실험은 디자이너가 사용자 생성 기호 기반의 웹인터페이스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평가한 결과와 관찰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평가한 결과를 비교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검증 실험의 결과를 보면, 디자이너가 사용자 생성 기호 기반의 인터페이스 평가 방법을 활용하였을 때 월등히 많은 인터페이스 문제를 발견하였을 뿐만 아니라, 평가에 참여한 디자이너들이 거의 동일한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평가방법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디자이너가 이 평가방법을 활용하게 된다면 효율적이고 유용한 평가를 통해 최고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