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복주-
dc.contributor.author김정아-
dc.creator김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3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3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36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연주된 여성 성악가들의 독창회 레퍼토리를 조사하고 연구하여 짜임새 있는 프로그램 구성과 작성방법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효과적인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서양의 고전 음악은 한국에 도입된 이래로 우리나라 문화생활의 중심으로 여겨져 왔다. 더불어 대중매체가 급속히 발달하여 정보의 평등화가 이루어지면서 이런 음악을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가 주어진 장점이 생기는 한편, 고전 음악이 대중음악과 경쟁구도에 서서 그 자리를 지킬 수 있어야 한다는 위기감과 해결방안이 새로운 과제로 다가왔다. 또한, 예전과 다르게 음악분야에서도 대중의 참여의식이 높아져 있는 현재 사회상으로 인하여 연주회에서 차지하는 청중의 몫이 연주자만큼이나 중요해진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여전히 음악회장에서는 관객의 비율이 음악을 전공하지 않은 대중들보다 전문 음악인들의 참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음악 전문가들에게는 전문적이고 학구적인 음악회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면서도 음악 비전공자들에게도 효과적인 연주회를 제공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해보게 되었다. 성악은 클래식 음악 시장의 전반을 다루기 위해서 사람의 몸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어떠한 악기보다 대중에게 가장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성악 연주의 기본이 되는 독창회는 연주자에게는 개인적으로 학구적인 면모와 기량을 뽑을 수 있는 연주회이다. 독창회의 가장 기본이 되는 프로그램 레퍼토리의 구성과 짜임새는 독창회의 성공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짜임새 있는 프로그램의 구성은 연주자의 능력과 기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하며, 성악가의 단점조차도 보완하게 한다. 또한 다채롭고 실험적인 구성을 통하여 관객과 연주자 사이의 화합을 이루게 한다. 본 논문은 성악 연주회의 가장 기본이 되는 독창회 프로그램의 구성과 작성방법을 알아봄으로 인하여 독창회 프로그램의 기본적이고 학구적인 면을 유지하면서도 대중에게 쉽게 다가가기 위한 구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것을 통하여 작게는 개인의 독창회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방법을 모색하고, 크게는 우리나라 클래식 음악이 대중과 보다 친밀해지기 위한 발판의 하나로 기본적인 연구가 진행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진행 방법은 2000년도부터 2009년까지 세종문화회관에서 개최된 여성 성악가들의 독창회 프로그램들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세부적으로는 나라별 레퍼토리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언어에 따른 성악 장르가 전체 프로그램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각 나라에 따른 성악곡들과 작곡가들의 작품이 프로그램에 차지한 통계를 통하여 성악 연주회의 발전과정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독창회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어별•시대별로 여러 장르에 걸쳐서 균형 있게 작품들이 선곡되어 연주회의 질을 높여 주었다. 한 장르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적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의 구성은 획일화를 막고, 주제의 다양성이 시도되어져서 보다 다채롭고 흥미로운 연주회를 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바로크와 현대 작곡가 곡들의 많은 선곡과 프랑스와 독일가곡 이외에 다양한 언어의 곡들을 폭넓게 선곡함으로써 다양성을 추구하면서도 학구적인 면을 함께 드러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구성은 연주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다. 그 이외에도 한 주제 안에서 나라별로 다양성을 갖는 구성도 있었는데, 이러한 프로그램의 장점은 여러 곡들의 비교와 대조를 통하여 연구 가치를 갖고 청중에게 음악회를 향한 새로운 접근법을 알려주어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대중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구성으로 관객과 호흡하며 보다 자유로워진 음악회의 취지를 지향하였다. 이러한 점은 연주자들이 대중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곡들을 선곡함으로써 청중과 함께 호흡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수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연주자들의 학구적 업적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동시에 청중에게 어렵지 않게 다가가는 연주회가 되기 위해 끊임없는 시도와 노력이 진행될 때에 가능할 것이다. 물론, 성악 연주의 선곡이 연주자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지만, 클래식음악의 대중성과 아카데미즘을 함께 이루어나가기 위해서는 이러한 결과들을 지향하며 나가야 한다. 현재까지 독창회 프로그램 선곡이 폭넓고 심도 있게 이루어지는 것은 성악 장르별로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 기본적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성악 장르가 모든 관객들에게 균형 있고 친숙한 음악으로 다가서기를 바란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rogram repertoires of recitals held in Korea, identify their problems and improvements, and search for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ocal music in Korea. Western classical music had been regarded as the center of Korea's cultural life since its introduction. With the rapid growth of popular media, however, people have been given equal opportunities to access the music. At the same time, classical music has faced a sense of crisis to protect its status in competition against popular music and needs to find solutions. Unlike the past, the public's participation in the area of music has increased in today's society. As a result, the audience's contribution has become as important as that of performers at concerts. However, the majority of the audience is still professional musicians rather than the public that did not specialize in music. Thus the investigator contemplated how to maintain and further develop professional and academic concerts for professional musicians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effective concerts to the non-professional audience. In dealing with the overall aspects of the classical music market, vocal music that utilizes the human body has an advantage of making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the public compared to instrumental music. The study set out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program of voice recitals in Korea and further for the development of Western classical music by examin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recitals, and the ways to improve them. The investigator examined and analyzed the programs of female vocalists' recitals held at Sejong cultural Center for Performing Arts from 2000 to 2009. The programs were classified by the countries. The vocal music genre according to language accounted for a huge part in the overall program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vocal music concerts was also examined with the statistics of vocal music pieces and works of composers by the countries. By estimating what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parts that were developed were also presented. The research findings about the recital programs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balance in the selection of the pieces according to time and space and genres, which thus increased the quality of the recitals. Second, the works of baroque and modern composers were selected in high percentage. In addition to the French and German songs, they also sang pieces in diverse languages. The researches on vocal music increasingly became active in its developmental process. Third, the programs that considered popularity allowed the recitals to breathe with the audience and demonstrated their freer intentions. Finally, there were recital programs different from the chronologically arranged traditional recitals, which made the program topics more diverse. Those findings show that there have been ongoing research efforts on voice recital programs academically and, at the same time, constant attempts and efforts to share music with the audience. The selection of pieces, which used to focus on Italian arias and German lieds, grew broader, which also indicates that there have been in-depth research efforts at various angles, that they have tried to breathe with the audience with musical and religious pieces, and that many different attempts have been made to put on distinctive recitals. This fundamental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higher level and quality of voice recital programs in Korea and to the presentation of classical vocal genre as balanced and familiar music to all the aud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중요성과 연구목적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및 내용 2 Ⅱ. 본론 4 1. 작품수와 종류 4 2. 작곡가에 따른 작품의 연주 횟수 8 1) Opera·Oratorio 8 2) 독일가곡 18 3) 이태리가곡 33 4) 프랑스가곡 42 5) 영·미가곡 52 6) 한국가곡 62 7) 러시아, 스페인, 남아메리카, 스칸디나비아 가곡 69 8) 기타곡(종교곡·뮤지컬) 76 Ⅲ. 결론 82 참고문헌 84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19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연주곡목 분류를 통한 한국 여성 성악가들의 독창회 프로그램 작성방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2000-2009년까지 기획연주를 제외한 세종문화회관의 독창회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Recital Programming of Korean Female Vocalists-
dc.creator.othernameKim, Jung-Ah-
dc.format.pagei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