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6 Download: 0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을 적용한 미술감상지도 연구

Title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을 적용한 미술감상지도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Fine Arts Appreciation Guide Applying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 Focusing on 1st 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Fine Arts of Chonnam Arts High School
Authors
조아라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The goal Chonnam Art High school seeks is to educate students with talents and capabilities to produce artists. The reality of art and education is concentrated on the more on the expressionism area, which is practical and theorical, rather than appreciative and criticism art for enjoyment. Also It educate functional and simple. So functional artistic or enjoy the art which mean appreciate art and art review education has been negligent. In this perspective, we recognized the need for appreciative and criticism art education that the students can discover aesthetic value and meaning of the art pieces. Therefore, in order for students to exert creativity and develop emotions, it is necessary that the school makes ways to study with critical and systemetic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cknowledge the effects of appreciative lectures on art students' performance by applying Geahihan‘s critical analysis to Chonnam art high school's art class for the first year students. So that the enjoying program apply to critical analysis of Geahigan, had been designed. First the analyzing method is to observe Chonnam art high school's art educational course and critical analysis of Geahigan. The object of the study are two classes in the first year of C art high school, which is located in Sam-yang myun, Mu-ahn gun, Chonnam: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31 students and controled group consists of 33 students, in which the controled group being tested under traditional way of art classes for 6 times. Art class performance was scored by totaling the emotional and creative evaluations. Report evaluation Instrument was produced, match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under the reference of the high school art performance standards and emotional part of the evaluation standards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ssued in the 7th Education Course. Feasibility of Post Formative Evaluation and Result Evaluation were verified by the 2 current teachers in C Arts High School reviewing and correcting them. Data processing of class results was analyzed utilizing of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undergoing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grade difference of pre and post academic achievement in fine arts of experimental group which arranged classes applying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showed increase of 3.35 when compared to control group which arranged appreciation classes by the traditional appreciation method. For formative evaluation grade of academic achievement in fine arts, there was the increasing effect of 4.49 in control group which arranged the appreciation classes by the traditional appreciation method and academic achievement in fine arts which later compared it with experimental group which arranged the appreciating classes applying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was relatively increased by higher width as 7.84. As there was the differences of 3.35 between two groups, we can know that the classes applying critical inquiry of Geahigan has more effect on promotion of formative evaluation in fine arts. Second, in 4 elements of delivery ability of theme, feasibility of work criticism, feasibility of contents and appropriacy of newspaper articles which are the sub elements of their appreciation papers' evaluation, Feasibility of work criticism of experimental group that carried out the appreciation classes applying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showed the difference of 1.58 in the comparative grade of results evaluation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rd, experimental group that arranged the classes applying the critical inquiry of Geahigan showed the higher comparative grade of academic achievement in fine arts between post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did the appreciation classes by the traditional appreciation method. Experimental group that arranged the classes applying critical inquiry of Geahigan received 5.05 higher average grade in the comparison of post academic achievement in fine arts that the control group which did the classes applying the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This result has found that the class applying the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i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formative evaluation grade by learners. Finally, the appreciation classes applying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fine arts by extending critical thinking skills of 1st year students in C Arts High School. Through this result, 2nd and 3rd year students can improve expert knowledge by arranging the appreciation classes applying the critical inquiry of G. Geahig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various effect that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aesthetic value. Therefore, teachers systematically plan educational and learning program of appreciation class by accompanying the proper educational courses of C Arts High School and expect to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in the educational field of fine arts and need research and effort in promotion of academic achievement in fine arts through this.;전남 예술고등학교는 전문 예술인 양성의 특성화 교육을 목적으로 뛰어난 재능과 소질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교육과 감상활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중점으로, 전남예술고등학교의 미술교육은 전문적인 이론과목과 실기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어 효과적인 교육과정과 교육환경으로 전문 예술인을 육성하는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입시위주와 표현영역에 편중된 교육으로 이론지식습득과 실기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단순한 기능위주의 교육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미적 능력이나, 미술을 즐길 수 있는 미술감상과 미술비평 교육을 소홀히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학생들에게 작품의 의미와 미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미술감상, 비평학습이 절실히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전남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예술 활동을 함양하는데 있어서 체계적인 감상능력의 과정으로 작품을 비판적인 사고와 시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법을 전남 예술고등학교 미술과 1학년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비평적 사고 증대를 통한 감상수업이 미술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법을 적용한 감상수업 프로그램을 설계 하였다. 먼저,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법과 전남 예술고등학교 미술교육과정을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남 무안군 삼향 면에 위치한 C예술고등학교 미술과 1학년 2개 반 총 7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35명, 통제집단 35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은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법을 적용하여 총 6 차 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감상방법에 의한 수업으로 총 6차 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사후 형성평가로 점수를 내었으며 사후 형성평가 도구는 에듀넷과 KICE 교수학습개발센터 자료를 참고하여 형성평가로 제작하였다. 결과물은 미술의 사회적인 기능 신문기사 작성으로 계획하였으며, 결과물 평가도구는 교육인적자원부가 발행한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감상부분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제작하였다. 사후 형성평가와 결과물 평가도구는 C예술고등학교 현직 교사 2인이 검토, 수정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수업결과물의 자료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감상방법에 의하여 감상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에 비해서 사전사후 미술학업성취도 점수 차이가 3.35 증가를 보였다. 미술학업성취도 형성평가 점수에 있어 전통적인 감상방법에 의하여 감상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의 경우 4.49의 점수평균 차이가 있었으나,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를 적용하여 감상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의 사후에 비교한 미술학업성취는 7.84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폭으로 증가되어 두 집단간의 3.35의 차이가 난 것에 대해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법을 적용한 수업이 미술 형성평가 증진에 보다 효과가 나타나 더 높은 평균점수를 받았다. 둘째,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법을 적용하여 감상수업을 실행한 실험집단이 집단 별 신문기사 수업결과물 평가의 하위 요소인 주제 전달 력, 작품비평의 타당성, 내용의 타당성, 신문기사의 적절성의 4가지 요소 중에서 작품비평의 타당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결과물 평가의 비교 점수가 1.58차이를 보였다. 이는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법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감상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보다 비평적 탐구 법을 통하여 비평적 사고력이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셋째,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감상방법에 의하여 감상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 집단간 미술학업 성취도 비교 점수가 높게 나왔다.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사후 미술학업성취도 점수와 전통적인 감상방법에 의하여 감상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이 사후 미술학업성취도 점수 비교에서 실험집단이 5.05의 더 높은 평균점수를 받았다. 이는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법을 적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형성평가 점수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준 결과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법을 적용한 감상수업이 C예술고등학교 1학년에 학생들의 비평적 사고력을 신장하여 미술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볼 때, C예술고등학교 2, 3학년에게도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법을 적용한 감상수업을 진행함으로 미술학업성취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체계적으로 설계된 현장 적용 가능한 감상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