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금화-
dc.contributor.author권민정-
dc.creator권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9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4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3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412-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지구 환경은 인간의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해 무분별한 자원의 낭비와 환경파괴로 인해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태 속에 세계에서는 자연의 보존을 위한 목소리가 커지면서 21세기 환경에 대한 인식의 향상은 의상 디자인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환경과 패션을 접목한 친환경적 패션디자인, 생태디자인, 에콜로지컬디자인 등 의상디자인의 새로운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흐름에 따라 세계 패션계는 의상디자인의 소재로 친환경적 섬유를 개발하고 친환경적 디자인을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전통적 재료인 한지를 소재로 한 개발 물인 한지사는 친환경을 중요시 생각하는 현대사회의 트렌드를 반영한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연구 개발 물이다. 천연섬유소재인 한지사는 차세대 환경과 인간의 더 나은 삶을 목표로 하는 21세기 라이프 트렌드를 반영한다. 서구문화 중심으로 돌아가는 세계 패션계에서 고유의 신소재를 가진다는 것은 21세기 국가 경쟁력을 확고히 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2010년에 이르러 한지 개발과 상업화는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아직도 서구 웰빙 제품에 익숙한 우리나라 소비자의 눈을 돌리기엔 디자인적인 면과 홍보•마케팅 면에서 부족한 면이 없지 않아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적 소재인 한지사를 이용하여 한지직물의 독자성과 기능성을 알리고 우리나라 한지직물의 상품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자연의 형태 중 패각의 선의 반복과 곡선적 리듬이라는 조형적 특성을 가지고 납 방 염을 전제로 한 붓 염색 기법을 연구하여 입체적이고 장식적인 예술적 표현수단으로 의상디자인의 새로운 범주로 전개시키고자 한다. 천연 섬유 소재인 면 한지직물은 패류의 질감표현을 위한 염색에 용의한 천연소재이며 본 연구자가 만들어 내는 조형적 특징 중 반복되는 곡선을 이용한 입체적 느낌을 표현하고 패 각 단면의 색채에서 오는 질감과 이미지를 나타내기에 적합하였다. 이러한 파라핀 방염을 이용한 붓 염색기법과 스티치 기법의 사용으로 단조로움에서 탈피 하고자 하였고 패류에서 보여 지는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접근 방법은 한지의 역사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지직물의 특징과 시제품, 산업현황에 대해서 파악하여 작품에 적용 하였다. 또한 자연에서 모티브를 가져 온 가리비 패 각의 질감의 이미지를 의상에 접목 시켜 가리비의 색채의 분석을 통해 파라핀 방염을 전제로 섬유물감을 이용한 붓 염색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체적인 염색에 사용 한 염료는 붓 염색 작업 후 견 뢰 도가 뛰어난 독일 C.kreul사의 자바나(javana)염료를 선택하고 그 외 미국 튤립(Tulip)사의 metalic염료와 gliter 염료로 세부적인 표현을 더하였고 염색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핸드 스티치를 넣어 패각의 이미지를 시각화 하는 동시에 장식성을 더하고자 했다. 위와 같이 연구하고 작품을 제작 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의 모티브인 가리비를 표현함에 있어 가리비가 가지고 있는 연속성과 리듬 성 이라는 조형적 특징은 자연에서 오는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품고 있으며 현대 디자인에 융화 했을 때 직물에서 오는 텍스쳐의 질감을 터크 기법 중 쉘 터크 기법과 부분 솔기기법을 응용하기에 용이 하였고, 직물을 겹쳐 사용하여 부조적인 양감을 조화롭게 표현하여 조형성을 극대화 할 수 있었다. 둘째, 천연섬유 소재인 한지직물은 염색에 용이한 강점을 가지며, 발색이 뛰어나고 직접염료 및 천연염료 모두 사용 가능하여 다채로운 현대의상 디자인에 적합한 소재로 상업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셋째, 가리비 패 각의 질감을 나타내기 위한 변형적 터 크 기법과 납 방 염 기법 그리고 핸드 스티치 의 믹스매치는 단조로운 이미지 표현에서 벗어나 패 각의 부조적인 형태와 시각적인 질감 효과, 장식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국내 현대의상이 세계무대로 나가기 위한 걸림돌인 고유성과 소재의 한계성, 세계성 결여를 이겨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한지직물과 현대적인 디자인의 결합으로 국내 및 세계화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한지직물을 생산•보급 하는 업체가 증가하여 우리나라 고유 물인 한지직물의 독창성을 알리고 21세기 라이프스타일에 대표적인 오 가 닉(organic) 제품으로 자리 매김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the earth's resources and the environment has been recklessly exploited in order to maximize convenience of human beings, seriously threatening the ecosystem. In view of these circumstances, the world has begun to pay more attention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the increased awareness about the environment has affected the fashion world also, especially in the area of apparel design, where new concepts are being introduced such as environmentally-friendly fashion design, eco-design, ecological design, and so on. The global fashion world is accepting these changes and has developed environmentally-friendly materials and designs. At this moment, Hanjisa(Korean paper yarn), a new material made from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has been developed through local R&D efforts, reflecting the current trend highly valuing environmental efficiency. This new material is considered suitable for the 21C lifestyle and culture pursuing improved quality of human life and the environment. In addition, while the fashion world is mainly driven by the West, the new material is expected to increas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2010 much commercialization has been done for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However, more efforts should be made in regard with design, PR, and marketing in order to attract Korean consumers who are still more familiar with western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widely make known the originality and functions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Korean paper yarn, as well as increasing its commercial value. Furthermore, a new category of apparel design is presented by studying painting dyeing based on transformational tuck techniques and wax resist dyeing with formative features of repeated lines of shells and rhythms in order to implement three-dimensional and decorative artistic expressions. The texture of the Korean cotton paper yarn was particularly suitable to employ tuck and dyeing techniques expressing formative features of shell. Also, the material was useful for expressing the three-dimensional feelings with repeated curves and cross sections of shells. Moreover, paraffin resist dyeing and stitch techniques were used in order to avoid monotony and the images of shells visually materialized. This research explores the history of the Korean paper as well as its general information, trial products, 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industry in order to reflect them in design work. A transformational tuck technique is studied by applying the formative features of a scallop to apparel, which is the main motif of the work, and other cases were reviewed to study tuck techniques found in fashion collections. In addition, a painting technique using a fabric paint(paraffin resist dyeing) was used through the formative analysis of colors based on the images of a scallop. Javana dyes, manufactured by C. kreul, Germany, which has the outstanding colorfastness, were mostly used in this study while metalic and gliter dyes produced by Tulip, U.S., were partly employed. In order to avoid monotony, hand stitches were applied, expressing the images of shells and adding decorative effects. And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from the research and the work. First, in expressing the images of a scallop, a motif taken from nature, the continuity and rhythmic features render esthetic beauty. When the image was applied to modern design, the texture of the cloth was particularly suitable for employing transformational tuck techniques, and overlapping of fabrics could create a sense of volume in a harmonious manner and maximize a formative property. Second, the Korean paper fabric of natural materials had special strength for dyeing, for the developed colors were highly vivid and clear. Both direct and natural dyes could be used for modern apparel using a variety of colors. The material has great potential of being applied to various commercial areas. Third, the transformational tuck techniques and wax resist dyeing, which express the formative features of a scallop, mixed with hand stitches were effective to avoid monotony and add relief images of a shell, visual textures, as well as decorative effects. Through the results stated above, this study could explore how to overcome limitations of the Korean modern apparel such as lack of originality, materials, or globalness by applying modern design to the Korean paper fabric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manufactures could produce and supply the new materials so as to make widely known the originality of the Korean paper fabrics and develop the material into a popular organic product fitting the modern lifesty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3 2. 이론적 배경 4 2.1. 한지와 한지직물 4 2.1.1. 한지의 역사와 특성 4 2.1.2. 한지직물의 특징 15 2.1.3. 한지소재와 디자인 19 2.2. 가리비에 관한 고찰 25 2.2.1. 가리비에 생태와 특징 25 2.2.2. 가리비의 조형적 분석 30 2.2.3. 패류의 조형성과 디자인 35 2.3 납방염의 일반적 고찰 41 2.3.1. 납방염의 일반적 고찰과 기법 41 2.3.2. 납방염을 이용한 디자인 사례 46 3. 작품제작 52 3.1. 제작의도 및 방법 52 3.2. 작품 및 해설 59 4. 결론 및 제언 115 참고문헌 117 ABSTRACT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081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리비의 조형성을 이용한 한지직물 의상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of Hanji(Korean traditional paper) Textile using the formative features of scallop-
dc.creator.othernameKwon, Min-Jung-
dc.format.pagexiii,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