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creator김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5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2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581-
dc.description.abstract춤은 우리 민족에게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문화양식으로 오랜 세월 삶과 함께 전승 되어왔다. 그 기원은 원시 시대 자연과 동물의 움직임을 모방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에서 시작되었고 더 나아가 인간의 감정과 사상까지 표현하며 하나의 예술로 현재까지 계승되어 왔다. 탈춤은 생활현장에서 같은 마을 사람들끼리 한데 어우러져 실제적인 삶을 살아가며 한 장소에서 어울리는 현실 인식의 한 통로가 되고 일상생활에 대한 공동인식의 한 과정으로서 삶의 원동력이 되는 민중적 축제이다. 특히 탈춤 중에서도 북청사자놀음은 세시풍속의 일환으로서 사자 춤을 통해 마을과 집안의 안녕과 풍요를 도모해 왔으며 이러한 마을사람들의 마음을 사자 춤에 담아 행복을 빌고 화합을 다짐하는 수단으로 삼아 왔다. 사자는 신격화 되어 서민들의 소망과 이상을 실현시켜주는 존재로 삼아 이를 모방하여 춤에 담았다. 이러한 모방적 춤사위는 그 자체가 지닌 상징적인 모습을 통하여 서민들의 생활에 내재된 부분을 예술로 승화시켜 하나의 민중예술로서 가치를 높혔다. 또한 북청사자놀음은 벽사의 기능을 행하는데 있어서 사자의 모습을 다양한 춤사위로 표현할 뿐 만 아니라 겉으로 보여지는 외형적인 상징물(탈)을 통하여 하나의 살아있는 것과 같은 생명을 부여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예술분야를 적절히 조화시켜 오늘날 공연 예술의 근원이 된 탈춤 중 예술적 요소와 사자의 춤사위가 다양하게 발달한 북청사자놀음을 중심으로 그 안에 내재된 표현적 상징성을 연구하였다. 북청사자놀음의 연구를 위해 먼저 북청사자놀음의 유래와 성격 및 구조를 알아본 후 상징의 개념과 사자 춤의 상징성을 살펴보고 각 과장의 내용과 춤사위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각 과장의 내용과 춤사위에 따라 표현적 상징성이 다양하게 나타남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북청사자놀음의 각 과장의 내용과 춤사위, 대사, 탈에 따라 다섯 가지 요소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동물 모방에 의한 모방 무용의 생성으로 사자의 습성과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의인화한 데서 모방성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마당놀이 마당의 애원성 춤 과장과 사자놀이 마당에서 제의성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즉흥성은 북청사자놀음의 모든 과장에서 발견된다. 연행의 상황에 따라 연희의 현장성이 발휘되는데 이를 통해 새롭게 내용이 만들어질 수 있다. 네 번째, 오락성은 마당놀이 마당의 마당 돌이, 꼽추 춤, 칼춤 과장 그리고 사자놀이 마당의 사자 춤 초장, 중장, 말 장 과장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오락성은 관중을 웃고 즐기게 하며 탈춤에 몰입되어 삶의 생동감까지 느끼게 한다. 다섯째, 북청사자놀음은 토속적이고 민속적인 부분을 적합하게 혼합한 것으로 춤과 대사, 연기가 어우러져 예술의 화합을 보여준다. 북청사자놀음의 춤사위는 다른 지역의 탈춤 보다 다양한 동작들로 구성되어 무용에 있어서 높은 예술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북청사자놀음은 오랜 시간을 통해 전해 내려온 세시풍속의 하나인 탈놀이로서 그 안에 각 과장의 내용과 춤사위의 특성, 등장인물의 대사와 행동, 탈의 상징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나온 상징적인 표현들이 있다. 이로써 본 연구는 앞으로의 창의적인 창작품을 만드는 과정 안에서 한국적 정서가 담긴 표현을 이끌어 내주는 근거를 제공함과 동시에 세계화 시대에 한국전통예술의 위치를 재인식함으로써 우리 전통문화의 가치를 높이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For a long time, dances have been indispensable to our nation as a valuable form of culture in tradition with our lives. The origin of dances began with instinctive desire of human beings in the process of mimicking the movements of primitive nature and animals. And dances have been further practiced to the representation of human feelings and thoughts and handed down as a form of arts so far. Dance of Masks became a channel for realization of a blending place where villagers live together. And the dance was the grassroots festival as driving force of living in a course of common perception toward the everyday life. Particularly, among Dance of Masks, Bukcheong Lion Play as a part of contributed to peace and prosperity of the people of village and houses. The lion dances have been a means to pledge happiness and harmony carrying hope of the villagers. The lion was deified and considered as a being that materializes hopes and dreams of common people. And the people captured the images of lion in the dance. These imitative movements of dances were valued highly as works of arts by people upon sublimating inward parts of common people into arts through its own innate symbolism. In addition, the functions of Bukcheong Lion Play were so lively that it not only expresses the variety of faces of lions in the movements of the dance, but also brings the lion into life through the use of the external symbol. In this study, the intrinsic expressive symbolism of Bukcheong Lion Play was studied as a central subject that developed variously the most artistic elements and the variety of the lion dance among dance of masks given a credit to the origin of performing arts today by combining a variety of arts. The researchers have first studied the origins, nature and structure of the Bukcheong Lion Play, further looked into the definition of symbols and symbolism of lion dance,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dancing movements. And the purpose was to bring lights to expressive symbolism suggested by contents of each chapter and dancing movements. Dance has expressive meaning of arts and expresses intrinsic life as a work of arts simultaneously. This is presented as a symbolic and as a sense of feeling develops into a concept, and becomes a more clear representation by combination of emotional aspects of each. Crowd watching these kinds of arts potentially have a desire to perceiv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play. Therefor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Bukcheong Lion Play representing a variety of realistic topics in many different ways was necessarily important to study. In such a purpose, five elements could be foun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dancing movements, dialogues and masks of Bukcheong Lion Play. First, the imitative elements could be found in realistic portrayal and personification of the behaviors and appearance of lion through creation of dance mimicking animal. Second, the ritual elements could be found in resentful dance of madangnori madang and lion play chapter and after-play chapter. Third, the improvisational elements of the Bukcheong Lion Play were found in all chapter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performance, the play could be newly created through improvisation of entertaining exercises. Fourth, the entertainment elements could be found in madangnolyi of madangnori madang, Hunchback dance, Sword dance, and start, middle and end of lion dance of lion play. These entertaining factors cause crowd laugh and enjoy and immerse into Dance of Mask and even make feel the sense of life vibrant. Fifth, the Bukcheong Lion Play was something nicely blended with folk and traditional parts as a mix of dance, dialogue and performance art show of unity. The high artistic elements could be found in Bukcheong Lion Play dancing movements which consists of more various of actions than Dance of Mask in any other regions. As mentioned above, the Play of mask as a one of seasonal customs handed down through time was symbolic expressions which were brought out complexly out of mixture of contents of each chapter, dialogue and actions of the characters, and symbolism. Therefore the researcher hope that this study be used to serve as the basis to propose diverse symbolic representations of more creative theme in the creative work of dance performance at the South Korea. In addition, this will be a contribution in raising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at the age of globalization by recognizing the position the future of the Korean Performing Arts through the making the basis and place containing Korean sentiment in performance ar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5 A. 북청사자놀음의 유래 5 B. 북청사자놀음의 성격과 구조 8 C. 상징의 개념 12 D. 사자춤의 상징성 15 Ⅲ. 북청사자놀음의 연희 내용과 표현 17 A. 마당놀이 마당 18 1. 마당돌이 18 2. 애원성춤 25 3. 꼽추춤 29 4. 칼춤 31 B. 사자놀이 마당 33 1. 사자춤 초장 34 a. 내용 34 b. 춤사위 35 2. 사자춤 중장 36 a. 내용 37 b. 춤사위 41 2. 사자춤 말장 45 a. 내용 45 b. 춤사위 46 3. 마을돌이와 뒤풀이 과장 48 Ⅳ. 북청사자놀음에 내재된 상징적 요소 51 A. 모방성 51 B. 제의성 53 C. 즉흥성 57 D. 오락성 60 E. 예술성 63 Ⅴ. 결론 67 참고문헌 70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05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북청사자놀음에 내재된 표현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Bukcheong Lion Play Expressive Symbol-
dc.creator.othernameKim, Ju-Yeon-
dc.format.pagevi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