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2 Download: 0
수용자의 문화적 시청 동기와 미국 프로그램의 수용에 대한 연구
- Title
- 수용자의 문화적 시청 동기와 미국 프로그램의 수용에 대한 연구
- Other Titles
- The Cultural Motivation of Korean Audiences and Watching American Television Programs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ing Motivation, Behaviors, and Evalua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 Authors
- 강민수
- Issue Date
- 2010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유세경
- Abstract
- 국가 간에 교역을 방해했던 각종 규제가 완화되고 초 국적 미디어 기업의 등장과 정보 기술이 발달하면서 하나의 커다란 글로벌 미디어 시장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해외의 영상물을 접하는 국내 수용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그 중에도 특히 미국 프로그램의 인기가 주목할 만하다. 과거와는 달리, 수용자들이 원하는 매체를 선택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영상 파일이나 자막을 공유하는 등 매우 적극적인 자세로 미국 프로그램을 수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능동적인 수용자들을 전제로 하는 이용과 충족 이론과 해외 영상물의 수용에 있어서 중요한 관점으로 여겨지는 문화 다원주의적 시각에서 미국 프로그램의 수용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자 했다.
문화 다원주의 관점에서는 해외 프로그램 수용 원인을 문화적 근접성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문화적 근접성은 수용자들이 문화적으로 가깝게 느껴지는 국가의 콘 텐츠 를 선호한다는 개념이다. 이 때, 문화적 근접성은 해당 국가에 대한 체류․여행 경험, 해당 언어의 구사 능력, 국가에 대한 느낌 등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문화적 요소들을 통해서 측정한다. 또, 이용과 충족 이론은 능동적인 수용자들이 어떻게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수용하고 되는지의 과정을 설명해주고 있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국내 대학생 196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미국 프로그램의 시청 동기, 시청 행위, 그리고 시청 후의 평가에 대해서 분석하여 각각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력 분석을 실시했다.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문화적 근접성을 하나의 시청동기로 취급하여 ‘문화적 시청 동기’ 항목이 수용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고자 했다. 각 항목들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은 요인분석을 통해서 추출했고, 서로 간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분석했다. 이와 함께, 미국 프로그램의 시청 량을 조절변수로 두어 시청 동기와 행위, 시청 행위 평가 간의 관계가 시청 량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도 함께 분석을 했다.
그 결과, 도출된 5가지 시청 동기 중에서 가장 설명력이 높았던 요인은 문화적 시청 동기보다도 ‘프로그램의 우수성’이었다. 실제로 시청 동기와 시청 행위의 관계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했을 때, 거의 모든 결과에서 ‘프로그램의 우수성’ 요인이 가장 영향력이 높다는 것으로 밝혀져 국내 수용자들이 미국에 대해서 느끼는 근접성보다는 프로그램 자체가 가지는 경쟁력 때문에 미국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었다.
시청 행위의 경우,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시청 행위인 ‘참여적 시청 행위’와 ‘교류적 시청 행위’가 가장 설명력이 높아, 미국 프로그램의 수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시청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청 행위와 평가 간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적극적인 시청 행위가 활발한 수용자일수록 시청 후의 평가 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았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수용자의 프로그램에 대한 관여도가 높아질수록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또, 시청 평가 중에서 가장 설명력이 높았던 것은 ‘질적 우수성’이었는데, 한국 프로그램에 비해서 다양한 주제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철저한 사전 제작으로 완성도가 높기 때문에 국내 시청자들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미국 프로그램의 시청 동기, 행위, 평가 요인을 파악하고 각 요인들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또, 이러한 관계가 시청 량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도 함께 분석했다. 그 결과, 시청 행위에 주는 시청 동기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프로그램의 우수성’이 가장 영향력이 높았고 시청 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도 다양했지만 ‘참여적 시청 행위’가 영향력이 있었다. 장르에 따른 동기-행위, 행위-평가 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아, 국내 시청자들은 장르에 상관없이 미국 프로그램 자체의 질적인 우수성 때문에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었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 량이 높을수록 문화적 시청 동기가 강하게 작용한다는 것도 알아냈다.
연구 결과 중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문화적 근접성을 시청 동기로 취급하고 분석한 결과, 문화적 근접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던 ‘문화적 시청 동기’보다는 ‘프로그램의 우수성’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즉, 국내 수용자들은 미국이라는 국가가 친근하고 문화적인 이질감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 프로그램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경쟁력 때문에 이를 선호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한국 프로그램 제작자들은 탄탄한 스토리와 디테일 한 구성력, 화려한 영상미 등을 갖춘 미국 프로그램들이 국내에서 유입되면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프로그램이 이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한국 프로그램의 질적인 우수성을 높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해외 콘 텐츠 보다는 자국의 콘 텐츠 를 선호하게 된다는 문화적 근접성이 프로그램의 우수성보다는 약하게 작용한다는 것이 이 연구를 통해서 밝혀졌기 때문에 한국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프로그램의 질적인 측면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As the barriers between countries have lessened and new technology is developed, a global media market where media products can flow freely from country to country has been introduced to the world. Korea is not a exception, and the number of Koreans who enjoy watching American television programs have increased steadily over the years. The popularity of American programs is not new; American dramas were very popular in the early 1980s. But the current popularity trend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past trend. The viewers do not rely on only television, but have access to many different kinds of media. They also download program files and make subtitles for these files, and spread these files and subtitles on the Internet. These are very active viewing habits, so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Korean viewers watch American programs by using the 'Users and Gratifications' theory.
Another important theoretical background for analyzing foreign programs is the concept of 'cultural proximity'. Cultural proximity explains that viewers prefer programs that come from countries that they feel close to, cultural-wise. According to existing studies, cultural proximity is measured by the personal experiences of people, such as whether they had visited a particular country, fluent in a language, or what kinds of feelings that have toward that country, and so 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196 college students to analyze their viewing motivations, behavior, and evaluation of American television programs. After each factor was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It is noted that while previous studies have used the cultural proximity concept as a condition precedent, this study included the concept as a viewing motivation called the 'cultural motivation'.
Among the 5 factors of the viewing motivation,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as the 'Quality of Programs'. Also, this particular factor had a very high influence on the viewing behaviors of the Korean college students. So, it can be said that rather than because of cultural proximity, Koreans watch American television programs because for the high qualities, such as strong storylines or fancy special effects.
As for the viewing behavior, 'Participation' and 'Personal Exchange', which are both very active behaviors, were the notable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more active viewing behavior, more positive evaluation was given toward the program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the viewing evaluation was the 'High Quality'. Unlike Korean programs, American programs tend to focus on a variety of themes and have pre-production systems to perfect the program qualities. Thus, the Korean students gave positive evaluations concerning the programs qua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cultural motivations were not as significant as the quality of American programs. In other words, cultural proximity as a motivation was not as significant as shown in previous studie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high quality of a media product can overcome the cultural differences. So, Korean program producers should not dwell on the thought that American programs will not be accepted by Korean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As more and more American programs come in the Korean media market, Korean producers must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programs in order to compete with American programs. Therefore, problems of the Korean program production, such as relying heavily on top stars or the lack of pre-production, should be solv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grams' quality.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