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TV 토론의 대화 책략 연구

Title
TV 토론의 대화 책략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ialogue Tactics in TV Discussion Program : Focusing on Attack and Defense Among Debaters
Authors
이금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혜영
Abstract
본고에서는 TV 토론에서 이루어지는 토론참여자들 간의 대화를 분석하여, 토론 중 이루어지는 대화 책략의 양상에 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TV 토론은 ‘논제에 대하여 서로 상반된 입장을 가진 2명 이상의 대화참여자들이 TV라는 매체를 통하여 상대방과 제3자인 청중을 설득하고자 하는 과제 중심적 경쟁 대화’라고 정의할 수 있다. 토론참여자들은 논제에 대하여 자신 혹은 자신이 속한 집단이 가진 의견의 정당성을 입증하고자 여러 가지 책략을 펼침으로써 전략적인 발화 행위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전략적 발화행위의 목적은 논제에 대하여 상반된 입장을 지닌 둘 이상의 집단이 토론 중 일어나는 충돌을 통하여 승패를 가르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토론의 논쟁적 성격에 중점을 두고 토론 중 참여자들이 사용하는 책략을 ‘공격 책략’과 ‘방어 책략’의 두 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여 각 항목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책략의 종류 및 사용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Ⅰ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목적,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기존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본고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언론 및 정치학계에서의 선거 후보 토론자들의 토론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진 반면, 화용론에서의 TV 토론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하였으며, 대화 ‘전략’에 대한 거시적인 연구는 이루어졌으나 대화 ‘책략’에 관한 화용론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판단 하에 대화분석의 관점에서 TV 토론에서 나타나는 대화 책략의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했음을 밝혔다. 연구 대상으로는 ‘MBC 100분 토론’의 3회 분량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Ⅱ장에서는 TV토론의 개념과 구조 및 특성을 살펴, 본고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TV 토론은 특정 논제에 대한 논쟁 및 승부를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제중심적 경쟁 대화’이다. 이러한 TV 토론은 TV라는 특정 매체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일반적인 토론과는 차별성을 보인다. 이러한 차별성은 토론 시간의 제약, 참여자의 발화 시간 제약, 방청객과 시청자의 존재 및 참여 방식 등을 통하여 나타난다. TV 토론은 크게 ‘도입 단계-논의 단계-정리 단계’의 구조로 진행되며, 각 단계는 다시 세부 단계로 나누어진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TV 토론에서의 대화 책략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대화 책략의 정의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TV 토론 중 토론참여자들이 사용하는 대화 책략을 ‘공격’과 ‘방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공격’은 다시 근거의 유무를 기준으로 하여 ‘근거에 기반을 둔 책략’과 ‘근거에 기반을 두지 않은 책략’으로 분류하였고, ‘방어’ 또한 근거의 유무를 기준으로 하여 ‘근거에 기반을 둔 책략’과 ‘근거에 기반을 두지 않은 책략’으로 분류하였다. ‘공격’ 중 ‘근거에 기반을 둔 책략’은 총 10가지가 발견되었다. 이는 구체적으로 ‘① 구체적인 해결책 제시하기 ② 상황 가정 후 예상되는 결과 제시하기 ③ 논리의 모순 지적하기 ④ 비슷한 상황에 빗대어 말하기 ⑤ 객관적인 증거자료 내세우기 ⑥ 상대 주장 인용하기 ⑦ 상대방의 지식이나 경험 환기시키기 ⑧ 공격자 자신의 지식이나 경험 드러내기 ⑨ 당위성 설명하기 ⑩ 대상의 부정적 특성 일반화’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⑦ 상대방의 지식이나 경험 환기시키기’와 ⑧ ‘공격자 자신의 지식이나 경험 드러내기’는 각각 ‘지식 드러내기’와 ‘경험 드러내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근거에 기반을 두지 않은 책략’은 총 4가지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① 비난하기 ② 비꼬기 ③ 유감 표명하기 ④ 우기기’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방어’ 책략 중 ‘근거에 기반을 둔 책략’은 총 6가지로 나타났다. 해당 책략들은 구체적으로 ‘① 사실 부정하기 ② 발언의 의도 설명하기 ③ 사정 설명하기 ④ 당위성 설명하기 ⑤ 비슷한 상황에 빗대어 말하기 ⑥ 정보 수정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거에 기반을 두지 않은 책략’은 총 6가지로 나타났는데, 이는 구체적으로 ‘① 비난하기 ② 사과하기 ③ 무시하기 ④ 비켜가기 ⑤ 우기기 ⑥ 비꼬기’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토론참여자들이 자신의 논리를 이끌어가기 위하여 어떠한 책략을 가장 선호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관하여 구체적인 대화 책략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각 책략의 토론 내에서의 사용 빈도를 조사하여 산출하였고, 이러한 사용 빈도가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갖추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검정을 사용하여 통계 결과를 산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토론참여자들은 ‘공격’ 책략과 ‘방어’ 책략에서 모두 ‘근거에 기반을 둔 책략’을 압도적으로 선호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토론이라는 특정한 담화 상황에서 토론참여자들의 의견이 신뢰성과 설득력을 얻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적절한 근거를 통한 ‘논리성’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모든 참여자들이 인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공격 책략’ 중 ‘근거에 기반을 둔 책략’에서는 ‘논리의 모순 지적하기’ 책략이, ‘근거에 기반을 두지 않은 책략’에서는 ‘비난하기’ 책략이 가장 높은 사용률을 보였으며, ‘방어 책략’ 중 ‘근거에 기반을 둔 책략’에서는 ‘발언의 의도 설명하기’ 책략과 ‘정보 수정하기’ 책략이, ‘근거에 기반을 두지 않은 책략’에서는 ‘비난하기’ 책략이 가장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Ⅳ장에서는 결론으로서 본고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고의 연구가 가지는 제한 점과 본 연구의 확장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This study is designed to verify aspects of dialogue tactics in TV discussion program by analyzing dialogues among debaters. TV discussion is defined as a 'task-based competitive dialogue to persuade opponents and the audience who is a third party in TV program among more than two debaters with different opinions in relation to a topic'. Debaters strategically express their opinions using various tactics in order to prove justification of their opinions or their group's. The purpose of this strategical speech act is to content for victory through disagreement among over two groups with different viewpoints on a discussion topic.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xamine concrete kinds and use aspects of tactics in two categories, 'attack tactics' and 'defense tactics' what debaters use in discussion, focusing on its disputatious characteristics. In chapter Ⅰ,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by describing research targets, purposes and methods and reviewing existing studies. Prior to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rarely pragmatic studies on TV discussion and although, macroscopic studies on dialogue 'strategies' have been conducted, pragmatic studies on dialogue 'tactics' have not hardly been conducted, while studies on debate of elective candidates in press and political academic world have been actively done. For that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aspects of dialogue tactics in TV discussion program. Three video recordings of 'MBC 100-minute debate' were used in this study to analyze dialogue tactics of debaters. In chapter Ⅱ, theoretical foundation was constructed by observing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V discussion. TV discussion is a 'task-centered competitive dialogue' for debate and competition over a particular topic. This TV discussion is performed through particular medium, television and thus, is differentiated from general discussion. This difference is appeared from limitation in discussion time and speech acts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of audiences and viewers and participation methods. TV discussion also proceeds in order of 'introduction process-discussion process-conclusion process' and each process is classified into subordinate process. In chapter Ⅲ, dialogue tactics in TV discussion programs were analyzed in earnest. First of all, dialogue tactics were clearly defined and then, dialogue tactics used by debaters were divided into 'attack' and 'defense' aspects. 'Attack' aspect was divided into 'evidence-based tactics' and 'baseless tactics', and 'defense' aspect was divided into 'evidence-based tactics' and 'baseless tactics' as well. Analysis results show there were total 10 evidence-based tactics in 'attack' aspect; ① suggestion of concrete solution, ② suggestion of expected results after assumption of situation, ③ pointing out contradictory logics, ④ speaking at similar situation, ⑤ proposing objective evidences, ⑥ quoting opinions of opponents, ⑦ calling attention of knowledge or experience of opponents, ⑧ showing attacker's knowledge or experience, ⑨ explaining the appropriateness, and ⑩ generalizing negative properties of objects'. Of them, '⑦ calling attention of knowledge or experience of opponents' and '⑧ showing attacker's knowledge or experience' were divided into 'showing knowledge' and 'showing experience' respectively. Nextly, there were total 4 baseless tactics of 'attack' aspect; ① criticizing, ② sarcasm, ③ expressing regret, and ④ persisting. In 'defense' aspect of debate, there were total 6 evidence-based tactics; ① denying facts, ② explaining intention of comments, ③ explaining reasons, ④ explaining the appropriateness, ⑤ speaking at similar situation, and ⑥ modifying data. Also, there were total 6 baseless tactics in 'defense' aspect; ① criticizing, ② apologizing, ③ ignoring, ④ skipping, ⑤ persisting, and ⑥ sarcasm. In addition, it was observed which tactics debaters preferred the most to hold fast to their logics and how they realized their dialogue tactics concretely. First of all, use frequency of each tactic was computed and statistical results were derived using t-test to identify whether this use frequenc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ost of debaters overwhelmingly preferred 'evidence-based tactics' in all of 'attack' and 'defense' aspects. This implies what every debater recognized that correctly and properly grounded 'logicality' is needed to make their opinions reliable and persuasive in discussion. In 'evidence-based tactics' and 'baseless tactics' of 'attack aspect', respectively, 'pointing out contradictory logics' and 'criticizing' were used the most. On the other hands, in 'evidence-based tactics' of 'defense aspect', 'explaining intention of comments' and 'modifying data' were used the most, and in 'baseless tactics of 'defense aspect', 'criticizing' was utilized the most. In chapter Ⅳ,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ed up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 conclusion. Furthermor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proposal on how this study should go on, were describ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