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조선후기 화가전(畵家傳) 연구

Title
조선후기 화가전(畵家傳)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inters' biographies in the late Joseon Period
Authors
강수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동준
Abstract
조선중기까지 화가에 대한 기록은 그 수가 적으며, 화가보다는 그림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 기록은 주로 필기나 야담의 형태로 존재했으며, 역사서 열전 외에는 전으로 창작되지 않았는데, 이는 화가가 재능의 높고 낮음에 따라 그 가치가 평가되는 인물형이어서, 유교 윤리를 강조하기에는 부적합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18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화가에 대한 이러한 인식이 바뀌면서 화가에 대한 기록의 양이 늘어나고, 화가를 대상으로 전을 창작하는 것이 전대에 비해 활발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들어서서 전대에 비해 다량의 화가전이 지어졌다고는 해도, 그 수가 적기 때문에 화가 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화가 전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작품에 내포된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고려부터 조선후기까지의 화가에 대한 다양한 기록을 통해 화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화가 전을 통해 화가이라는 특정 인물 군에 대한 인식과 화가 전에 내포된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고려부터 조선후기까지의 화가에 대한 기록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중기까지는 화가에 대한 기록은 주로 필기 형태로만 존재했었고, 그 양이 적었다. 조선후기에 들어서면서 화가는 본격 傳으로 창작되었으며, 그 기록의 형태도 다양해졌으며, 그 양도 前代에 비해 다수 늘어났다. 조선중기까지의 화가에 대한 기록은 화가의 그림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조선후기로 오면서 화가의 그림과 함께 화가라는 인물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서, 화가의 재능과 함께 그에 관련된 인물 정보를 제시하는 방식의 서술이 늘어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에 예술문화의 발달과 함께 화가의 존재 또한 부상되어, 그림뿐 아니라 화가의 개인의 삶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조선후기 畵家傳 을 그 구성에 따라 분류해보고, 화가 전에 나타나는 화가에 대한 작가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화가 전은 작가가 화가의 어떤 면모를 드러내는 방향으로 전을 창작했느냐에 따라 크게 세 분류로 나눌 수 있었다. 첫 째는 화가의 재능을, 둘째는 재능과 화가의 기행을, 셋째는 재능과 화가의 인품을 강조한 경우였다. 또한, 입 전 작가의 신분에 따라 화가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사대부층 작가의 경우, 화가의 삶이 나름의 가치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에 그치고 있었다. 그러나 중인층 작가는 화가의 내면에 대해 깊이 있는 탐구를 하고 있었으며, 화가의 불우한 삶에 대해 연민을 느끼거나, 때로는 그들의 탈속 세 적 인 모습에 동경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작가 층의 신분에 따라 화가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랐음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畵家傳 에 내포된 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조선후기를 기점으로 화가에 대한 기록의 형태와 양이 증가하고, 화가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기 시작한다. 조선중기까지는 그림과 그것을 창작하는 행위를 높은 정신적 과정이라고 인식한 반면, 화가를 미천한 기능인으로 인식했다. 조선후기로 오면서, 화가의 그림뿐 아니라 삶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이를 기록하게 되었으며, 그들의 삶의 가치를 인정하고 예술가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와서 화가는 인물형의 하나로 당대 사람들에게 인식되었으며, 화가를 단순히 기능인이 아닌 예술인으로 보는 시각이 나타났던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로 오면서 사람을 바라보고 평가하는 관점이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화가 전은 인물전의 역사에서 동시대에 창작된 주변부 인물들에 대한 전(傳)과는 다른 특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것은 화가 전을 통해 화가의 삶을 윤리적 잣대로 평가하거나 당대 세태를 비판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시기에 창작된 여 항 인에 대한 전은 주로 작가의 윤리적 가치관을 드러내거나 세태를 비판하기 위해 창작되었다. 그러나 화가전의 경우 화가의 천부적 재능을 강조하거나, 또는 그 기인성을 드러내는 것에 초점을 맞춰서 전이 창작되었기 때문에, 이들의 삶을 통해서 윤리적인 가치를 강조하거나 창작 당시의 세태를 비판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화가전의 형식은 다른 전과는 구별되는 형식으로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는 화가의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즉, 화가는 직업적 특징상 그 재능과 기이한 행적에 관련된 정보만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화가 전 역시 그것만의 형식을 취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고려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의 화가에 대한 기록을 정리하고, 조선후기의 화가 전을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화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화가 전만의 특징을 밝혀내고자 하였다.;Until the mid of the Joseon Period there are only a few records about painters and more than painters they focus on the paints. The records consist mainly in diaries or historical tales and they were not compiled in order to transmit the lives of the authors, because they were descriptions of the typology of the characters based on the high or low value of the talent of the painters, thus not being apt to stress a confucian ideology. But the perceptions towards painters changed with in the 18C and the volume of the records regarding the painters increased and we can see a great number of stories about painters. Even if the great part of stories dealing with painters was compiled during the last part of the Joseon period, their number is too small and there are no systematic studies of the stories dealing with painters. In this study I tried to supplement these shortcomings and I analyzed the stories dealing with painters trying to find their deep meaning. Moreover, through many records from Goryeo period to Jeoson period dealing with painters, I tried to understand shifts in the perception of painters' image, and through painters' biographies I showed the perceptions of them as a human group and the literary value of these biographies. In chapter 2, I showed the state of the records from Goryeo period to the Joseon period. Till the mid of the Joseon period records about painters are in the form of few diaries. From the last part of the Joseon period, painters were mostly depicted through biographies in various forms and their number is significative. Records on painters till the mid of the Joseon period focus on paints but with the last part of the Joseon period interest growth not only for the paints but for the painters themselves, thus increased not only the descriptions of their talent but a descriptions that presents informations on their lives too. With this, we can say that with the last part of the second period there were a development of the arts in generale and the emerge of the figure of the painters in particular, that is a growing interest not only toward the paints, but towards the painters too. In chapter 3, I divided the Seogajeon on the base of its structure and analyzed painters' perception in the painters' tale. We can divide painters' biographies into three categori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thor depicted the figure of the painter. The first category stresses the talent of the painter, the second category stresses the talent of the painter and his behaviour and the third category stresses the talent and the character of the painter. Moreover, perception of the painters changed depending of the rank of the author. In the case of authors from the Yangban class, they tend to acknowledge the value of a painter's life. But in the case of authors from the middle class, they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a painter and show compassion for his disadvantage life, sometimes yearning for their unconventional life. In this way we can see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painters depending of the social class of the author. In chapter 4, I tried to understand the literary value of the Seogajeon. In the last part of the Jeosong period records about painters increased in quantity and types and started the development of a new painters' perception. Until the mid Jeoson period painting was perceived having a high value, but painters were scarcely considered. With the last part of the Joseon period, records show a growing interest not only for the paintings, but for the lives of the painters too. In this way the value of their life was recognized and they became perceived as artists. In this period painters were seen has a type of person, and the contemporaries looked at them as artists and not as labourers. In this way we can say that in the last part of the Joseon period there was a shift in the perceptions of people. But painters' biographies have another value. They told us not only the life of the painters as historical characters, but they told us the stories of the people around them. In the painters' biographies there was no evaluation of the moral value of the painters' lives nor a critics toward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 Tales dealing with peasants' lives of this period were written mostly to show some moral value or to critic the social conditions. But in the case of the painters' life, biographies were written to stress their talent or focusing on their genius. These biographies did not stress painters' moral value or criticize the society of the time. The form of these painters' biographies is different from other kind of tales, they focus on the peculiarities of the painters. In other words, informations about painters dealt with their tal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 and painters' biographies show a form that focus on these. In this study I organized the records that deal with painters from Goryeo period to the Joseon period. I then studied in details the painters' biographies of the second part of the Joseon period and I showed the shift in the painters' percep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inters' biograph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