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6 Download: 0

Combined Fluoroscopy and C-arm Cone-Beam CT Guided Transthoracic Needle Biopsy

Title
Combined Fluoroscopy and C-arm Cone-Beam CT Guided Transthoracic Needle Biopsy
Other Titles
투시와 C-arm cone beam 전산화 단층 촬영 유도 하 경흉부 침생검 : 투시 유도 하 경흉부 침생검과의 비교
Authors
정주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유경
Abstract
목적: 투시 유도 하 경흉부 침생검과 비교하여 투시와 C-arm cone beam 전산화 단층 촬영 유도 하 경흉부 침생검의 진단 정확도와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투시 유도 하 경흉부 침생검을 시행한 97예 (A군)와 투시 및 C-arm cone beam 전산화 단층 촬영 유도 하 경흉부 침생검을 시행한 74예 (B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동축 기법 없이 20 게이지 자동화 절단침을 이용하여 생검을 시행하였다. 의료기록을 통하여 병변의 크기와 천자 부위로부터의 깊이, 생검 결과 그리고 합병증을 재조사하였다. 결과: 크기가 3cm 미만인 악성 폐병변에 대한 민감도와 진단 정확도는 A군에서 각각 72.7%와 80.6%, B군에서 90.5%와 94.3% 였다. 크기가 3cm 이상인 악성 폐병변에 대한 민감도와 진단 정확도는 A군에서 90.2%와 92.4%, B군에서 90.6%와 92.3% 였다. 천자 부위로부터의 깊이에 대하여, 5cm 미만인 폐병변에 대한 민감도와 정확도는 A군에서 86.1%와 89.6%, B군에서 80.0%와 87.0% 였으며, 반면 5cm 이상인 폐병변에 대한 민감도와 정확도는 A군에서 83.8%와 87.8%, B군에서는 92.3%와 94.1%였다. 생검 후 발생한 기흉 및 그 중 흉관 삽입을 시행하였던 기흉은 각각 A군에서 14예 (14.4%)와 4예 (4.1%), B군에서 19예 (25.7%)와 1예 (1.4%)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투시 유도 하 경흉부 침생검과 비교하여 투시와 C-arm cone beam 전산화 단층 촬영 유도 하 경흉부 침생검이 보다 높은 진단 정확도와 안전성을 보이는 검사 방법이었으며, 특히 3cm 미만의 작은 폐병변과 5cm 이상 깊이의 폐병변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Purpose: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and safety of combined fluoroscopy and C-arm cone-beam CT guided transthoracic needle biopsy (FC-TNB) compared with fluoroscopic transthoracic needle biopsy (F-TNB). Materials and Methods: Institutional review board approval was obtained, and patient informed consent was waived. This study included 97 F-TNB cases (group A) and 74 FC-TNB cases (group B). A 20-guage automated cutting needle without a coaxial technique was used in all patients.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for lesion size and depth, biopsy results, and complications. Results: The sensitivity and diagnostic accuracy for malignant pulmonary lesions < 30 mm in size were 72.7% and 80.6% in group A, and 90.5% and 94.3% in group B. Those for pulmonary lesions ≥ 30 mm in size were 90.2% and 92.4% in group A, and 90.6% and 92.3% in group B. With respect to the depth of lesion, the sensitivity and diagnostic accuracy for those < 50 mm were 86.1% and 89.6% in group A, and 80.0% and 87.0% in group B, while values for those ≥ 50 mm were 83.8% and 87.8% in group A, and 92.3% and 94.1% in group B. Pneumothorax and chest tube placement after TNB were noted in 14 (14.4%) and 4 cases (4.1%) from group A, and 19 (25.7%) and 1 case (1.4%) from group B. Other complications were minimal. Conclusion: FC-TNB provides higher diagnostic accuracy and can be performed safely for pulmonary lesions of a small size (< 30 mm) or a large depth (≥ 50 mm), as comparable to F-TNB.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