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Role of Adiponectin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itle
Role of Adiponectin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Other Titles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서 혈청 아디포넥틴의 역할
Authors
노선희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경
Abstract
Objective : The adipocyte-derived cytokine, adiponectin, has been shown to improve insulin sensitivity, increase rates of fatty acid oxidation, decrease muscle lipid content, and reduce inflammation and vascular injury. Aim :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adiponectin level and non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taking into consideration insulin resistance,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Material and Method : The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in Seoul, Korea in 2007. Waist circumference (WC), body mass index (BMI), abdomen sonography, serum ALT, serum lipid battery,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and serum adiponectin were measured in 653 healthy Korean men. NAFLD was defined abnormal liver function (ALT > 40 IU/L), with sonographic fatty liver without alcohol u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NAFLD with serum adiponectin level. Results : Adiponecti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fatty liver disease group (n=139) than in control (n=514) (4.8 ± 3.2 ug /mL vs. 7.1 ± 4.1 ug /mL, P=0.00). The mean adiponectin levels were 4.6 ug/mL for NAFLD and 5.1 ug /mL for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FLD). Adiponectin level and HDL-cholesterol, in both NAFLD and AFL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each control group (4.6 ± 3.3 ug /mL vs. 7.3 ± 4.3 ug/mL , P=0.00 ; 5.1 ± 3.0 ug/mL vs. 6.8 ± 3.9 ug/mL , P=0.00, respectively). Obesity, HOMA-IR and having metabolic syndrome increased ORs for NAFLD compared to non-alcoholic control (Obesity OR=10.31, 95% CI =3.29-32.25, p=0.00 ; HOMA-IR OR=5.63, 95% CI =2.80-11.32, p=0.00 ; metabolic syndrome OR=3.17, 95% CI =1.27-7.91, p=0.00). After adjusting for age, BMI, metabolic syndrome and HOMA-IR, adiponectin was a strong predictor for NAFLD with dose-dependent manner (Adiponectin 1^(st) vs.4^(th) of OR = 8.24, 95% CI = 2.46-27.60, p=0.00 ; Adiponectin 2^(nd) vs. 4^(th) of OR = 4.03, 95% CI = 1.19-13.65, p=0.03). Conclusion: Low serum adiponectin level is inversely correlated with clinically diagnosed NAFLD in dose-dependent manner, independent of insulin resistance,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diponecti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tiopathogenesis of NAFLD.;목적: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에서 유리되는 호르몬의 일종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고, 지방산 산화를 증가시키며, 항염증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있는 성인 남성에서 인슐린 저항성,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함께 혈청 아디포넥틴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2007년 종합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한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한 단면조사 연구이다. 허리둘레를 포함한 신체계측, 복부 초음파, 혈청 ALT,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IR) 를 측정하였고, 혈청 아디포넥틴은 효소면역측정법(ELISA)로 측정하였다. 지방간질환은 초음파에서 지방간을 보이고 혈청 ALT가 40 IU/mL 초과인 사람으로 정의하였고,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앞의 조건을 충족하며, 1주 140g 미만으로 음주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혈청 아디포넥틴은 수치에 따라 사분위수로 나누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는 총 653명이었고 평균연령은 45.4 ±9.5세였다. 대조군에 비해 지방간질환을 가진 남성에서 혈청 아디포넥틴은 유의하게 낮았고 (4.8±3.2 ㎍/mL vs. 7.1±4.1 ㎍/mL, P=0.00),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서는 4.6 ± 3.3 ㎍/mL, 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서는 5.1±3.0 ㎍/mL였다. 연령, 비만, HOMA-IR, 대사증후군을 보정한 후 아디포넥틴 저하는 지방간질환과 유의하게 관련성이 높았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과 비알코올성 대조군을 비교하였는데, 비만군 (OR=10.31, 95% CI =3.29-32.25, p=0.00), 인슐린 저항성 (OR=5.63, 95% CI =2.80-11.32, p=0.00), 대사증후군 (OR=3.17, 95% CI =1.27-7.91, p=0.00) 은 유의하게 연관성이 높았으며, 특히 아디포넥틴이 감소 정도 심해질수록 지방간 질환과 연관성이 증가하였다. 아디포넥틴의 가장 높은 사분위수에 비해 가장 낮은 사분위수에 속한 그룹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위험도가 8.24배 ( 1^(st) vs.4^(th) of OR = 8.24, 95% CI = 2.46-27.60, p=0.00) 증가하였다. 결론 : 혈청아디포넥틴은 지방간질환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고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서 비만, 인슐린 저항성 및 대사증후군의 유무와 무관하게 유의한 예측인자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