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표피증식 유무에 따른 피부섬유종의 임상, 병리조직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비교분석

Title
표피증식 유무에 따른 피부섬유종의 임상, 병리조직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비교분석
Other Titles
Comparative analysis of clinical,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zation in dermatofibromas according to the epidermal change
Authors
임지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유원
Abstract
Dermatofibromas are common, benign cutaneous nodules that frequently occur on the extremities and buttocks. Epidermal hyperplasia in dermatofibroma is well documented and considered as an important value in diagnosis. The overlying hyperplasitc epidermis may suggest interaction between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Possible mediators for keratinocyte proliferation include keratinocyte growth factor, insulin-like growth factor, and epidermal growth factor (EGF). The expression of EGF receptor (EGF-R) is equal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hyperplastic epidermis, suggesting an etiologic factor of EGF/EGF-R in the induction of epidermal hyperplasia. In this study, we aimed to assess the differences by the clinical,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pidermal change. Total 110 specimen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epidermal changes: 100 specimens showed epidermal hyperplasia (designated as group I), and 10 specimens showed no epidermal change (designated as group II). We compared the differences of clinical data in two groups by sex, age, and site. We investigated the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in two groups using six immunohistochemical markers: CD68, Factor XIIIa, beta-catenin, bone morphogenetic protein-4 (BMP-4), stem cell factor(SCF), and c-ki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nd age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 in sit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Dermatofibromas were frequently occurred on the extremities in group I, but they were more commonly observed on the trunk in group II. 2. Epidermal changes overlying dermatofibromas observed in group I ranged from psoriasiform simple hyperplasia to basaloid hyperplasia. There were no distinct differences in dermal histological findings between two groups.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between two groups. In conclus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according to the epidermal change except the predilection site.;피부섬유종(dermatofibroma)은 사지와 몸통에 갈색 또는 홍갈색의 단단한 구진이나 결절로 나타나는 흔한 양성 피부 종양으로 병리조직학적으로 진피내 섬유모세포, 조직구, 아교질 섬유 및 모세혈관으로 구성되며, 80% 이상에서 표피 증식 소견을 보인다. 표피의 변화는 피부섬유종을 진단하는데 가치가 있으며 최근 표피 증식에 표피-진피 간의 상호작용이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어 피부섬유종의 병인 연구에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표피 변화 유무에 따른 비교 연구는 발표된 바 없다. 이에 연구자는 피부섬유종에서 표피변화 유무에 따른 임상, 병리조직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소견을 비교해 보고, 피부섬유종의 표피 증식에 표피-진피 간 상호작용이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털집 형태발생 시 상피-중간엽 간 상호작용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는 c-kit/SCF, BMP-4 및 β-catenin 등의 발현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총 100예의 표피변화 양성군과 총 10예의 표피변화 음성군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 소견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비교하였고, 표피변화 양성군에서 음성군과 연령 및 발생 부위가 유사한 총 20예를 수집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 소견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임상적으로 성별이나 연령 등은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발생 부위에 있어 표피변화 양성군은 사지에, 표피변화 음성군은 몸통에 더 호발하는 경향을 보였다. 병리조직학적으로 두 군에서 유사한 소견이 관찰되었고, CD68 발현에서도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피변화 양성군과 표피변화 음성군 사이에 있어 발생 부위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향후 더 많은 표본수를 대상으로 한 임상, 병리조직학적, 면역조직화학적 비교 연구 및 표피 증식의 병인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