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23 Download: 0

1990년대 일본의 정치개혁과 정계개편에 관한 연구

Title
1990년대 일본의 정치개혁과 정계개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Japanese Politics in 1990's and it's Aftermath
Authors
이현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지역연구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어수영
Abstract
본 논문은 1990년대 일본의 정치개혁과정을 연구함으로써 그 개혁이 목표로 했던 점과 정치개혁을 통하여 이룬 성과 간의 간극을 밝혀 90년대 일본정치개혁을 평가하고자 한다. 일본의 정치는 1955년 자민당이 주도하는 보수세력과 사회당이 주도하는 혁신세력으로 양분되어 기타 군소정당들과 의회정치를 전개하여 왔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보수세력인 자민당이 장기집권 하면서 혁신정당인 사회당의 견제를 받는 형태로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1과 1/2 형태의 보수-혁신의 여·야 대치구조는 93년 자민당의 실각과 연립정당으로서 호소가와 내각의 등장으로 와해되었다. 장기간의 자민당 집권은 정치적 부패 스캔들 등의 문제들로 국민의 정치불신을 가져왔고 이에 정치개혁에 대한 요구와 논의가 계속되었다. 이에 대한 귀결로 선거제도 개혁이 추진되었고 중선거구제에서 소선거구제로의 제도개혁이 중심이 되어 정치자금법 등 일련의 개혁입법이 이루어졌다. 새로운 선거제도가 제시되면서 자신들의 생존을 위하여 정치인들은 이합집산에 의한 정계개편을 지속하였다. 호소가와 연립정권에서 가장 다수의 의원을 거느리고 있던 사회당은 자신들이 내각의 주도권을 장악하지 못하자 무라야마로 대변되는 사회당 좌파와 복권을 노리던 자민당이 연합하여 무라야마 내각을 세우게 된다. 그러나 집권여당으로서 노선의 전환이 필요했던 사회당은 그 과정에서 당의 정체성을 잃고 이는 당의 해체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사회당의 해체는 55년 체제의 근간이었던 보-혁 구조의 종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후 전개되는 자민당과 자민당 탈당파가 주도하는 야당들 간의 보수 대 보수 정계 구도를 만들었다. 이는 일본 정계의 전반적 우경화와 정당들의 총여당화 현상을 낳으며 90년대 정계개편을 마무리 하였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정치정화와 정치주도를 위한 정당정치의 회복을 목표로 하던 정치개혁은 그 이루고자하던 바를 이루지 못하는 제도 개혁의 한계를 드러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90년대 일본의 정치개혁 시기를 과도적 길항기라는 시각으로 접근하면서 5개의 장으로 나누어 연구하여 90년대 정치개혁과 정계개편의 성격을 이해하고자 한다. 제 1장은 문제의 제기와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 설정, 그리고 연구의 전재를 언급하였다. 제 2장에서는 일본 정치개혁의 요구가 왜 1990년대에 들어서 이슈화되어 등장할 수 밖에 없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당시의 국내적 제요인과 국제환경, 더불어 국민들의 요구가 고양된 원인과 정계에서 개혁의 문제를 외면할 수밖에 없었던 배경을 살펴보았다. 특히 당시 집권당인 자민당의 개혁요구에 대한 대응논리와 정책적 대응과정, 그리고 사회당의 대중의 변혁요구에 대한 수용과 정책적 대응과정을 고찰하였다. 제 3장은 55년 체제의 붕괴과정과 호소가와 연립정권의 성격, 그리고 정치개혁관련법의 성립과정과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당시의 정치개혁 상황에서 사회당은 어떠한 정책노선으로 당의 위상을 회복하고 대중에게 다가가려 하였는지를 살펴봄과 동시에 집권정당으로 헤게모니를 장악하기 위하여 어떠한 정치노선을 채택하였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사회당의 활로 모색에 있어 국회대책위원회란 극히 일본 정치‧문화적 기구가 어떠한 형태로 가동되었는지를 확인하려 하였다. 제 4장은 정치개혁의 중심적 과제로 다루어진 중선거구제로부터 소선거구 비례대표병립제로의 제도개혁이 어떻게 채택되었는지 알아보았다. 더불어 각 정당의 수렴과정을 살펴 비례대표병립제가 어떻게 정치개혁의 명분과 연계될 수 있었는가와 웨스트민스터(Westminster)형 의회주의를 이입하려던 일본 정치개혁의 명분을 이루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선거제도의 변화를 시도하여 정치충원에 새로운 인재를 입력한다하여도 정계와 정당에 잔존하고 있는 관습적이고 관행적인 정치과정은 새롭게 변화된 정치적 결과물을 생산해내지 못했고 이는 일본적 정치 무관심층인 무당파 유권자가 급속히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정치개혁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정치적 관행을 제 5장에서 분석하였다. 즉 집권당인 자민당의 당방침의 구속원칙, 정치인과 관료의 유착관계, 의원 개인 후원회, 족(族)의원의 역할, 국회대책위원회와 밀실정치, 당내파벌의 잔존 등이 웨스트민스터 모델의 의회정치를 일본의 의회정치에 이입할 수 없게 하는 한계요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려 하였고 이는 정치개혁 이후에도 변화하지 않고 있음을 밝히려 하였다. 제 6장은 본론에서 논의 되었던 소결론들을 귀납하여 90년대 일본정치개혁의 성격과 특징을 거시적 관점에서 잠정적으로 결론하고자 하였다. 20세기를 마감하는 90년대 일본 정치는 55년 체제인 보-혁의 시대에서 보-보의 시대로의 이행을 가져오면서, 일본 정계를 개편하는 변혁의 시기였으며 개혁의 요구와 개혁의 실행 간에 변화를 원하는 힘과 현상을 유지하고자 하는 힘이 서로 길항(拮抗)관계를 유지하는 길항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The Japanese politics of the post American occupation era is characterized by the long-term domination of Liberal Democratic Party(LDP) as single ruling party. The opposition parties are represented by the Socialist party have been played as only checkers role in political arena until 1990's. It was the first time the oppositions seized power when Hosokawa coalition cabinet formed excluding LDP from the cabinet. Losing the power, LDP became to face the crises of party collapse because many members of Diet start to leave LDP seeking for the way of their survival. Those LDP Diet members were not accustomed to the new environments as opposition party member who can not wield their privilege as a ruling party in power and deprived of their vested interest. Therefore the cadre of LDP became very anxious to find out the way to preserve the survival of the LDP otherwise they cannot avoid the fate of dissolution of the LDP. If there is no hope regaining power, the affiliated Diet members sooner or later will leave LDP. Thus they decided to explore the chance to come back to cabinet with the helping hand extended from the insider of Hosokawa coalition camp, which is consisted by seven parties. Among them, the majority was the Socialist party members. That is why LDP leaders tried to seduce the leader of JSP, Murayama. By utilizing the secret channel of 'Gokutai' which was used to be the under-table dealing machine among the political parties. In case of JSP, Murayama himself has been long time partner of Gokutai. Within the Hosokawa Coalition camp, Murayama faction was alienated by the Ozawa colleague because the competing ambition of hegemony over the ruling coalition camp. Such internal political conflict development to split between Ozawa vs. Murayama and it has served good chance for the LDP leaders to exploit it. Finally Murayama decided to leave the coalition to join LDP's intrigue to form a new cabinet with the concession of premiership for Murayama as a leader of the new cabinet. That was the compromise between LDP and JSP to form a new coalition cabinet provided that Murayama to be elected as prime minister. However, LDP gained ruling party status without premier post, but socialist won the prime minister post, however, instead they had lost their party's identity and confidence among the people. Thus the main feature of the Japanese politics of the 90's is characterized by the disappearance of JSP from the Japanese political arena. That was the side effect of the political reform in 1990's Japan. This dissertation is focused to clarify the subtle features of the political process which has been conducted under the banner of political reform modeled after the British Westminster way of parliamentary system. Such efforts might be required to discern the real aspects of conventional political practice which is included in political culture of Japan. In order to evaluate the historical meaning of political dynamics in Japan, during the period of 1990's the dissertation embraces 6 chapters including introductory and conclusion chapters. Chapter one is devoted to enumerate the problem, purpose and scope of study. Besides, it is also attempted to explai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study. Chapter two is devoted to explain regarding the background of reasons behind the mounting demands of political reforms among the voters during the certain period of the time. Besides, it is also attempted to review the responses of the main political parties such as LDP and JSP toward the mounting demands of the voters for political reform. Chapter three is devoted to explain the process of power shift from LDP to Hosokawa coalition and its aftermath. For instance, the weakness of the coalition cabinet and mutual competition for hegemony within the coalition camp will be re-examined. Particularly the status of the JSP within the coalition will be examined. Chapter four is devo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stitutional reform regarding national election process . Besides, it is attempted to find out the latent relevance between the political reform measures and the increasing numbers of political apathy among the voters. In this connection, it is examined the functions of political system which has failed to meet the voters expectation toward politics. For instance the in-put of the newly recruited political man-power dose not necessarily means the better political performances as out-put result. It means that the latent traditional political practices might play retarding roles during the political processes. Thus, the endeavor of political reform strived at the stage of in-put does not guarantee the better qualities of performances of the final stage of out-put because the distortion through the internal political process within the party politics. The increasing political apathy among Japanese voters and their distrust toward the politician could be interpreted as the disappointment to the failure of political system itself. In the light of the above premises, chapter five is devoted to clarify the retarding factors which deter the ideal implementation of the reform policy. Many of the retarding factor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conventional Japanese political practices and behaviors imbued with the traditional cultural values which can be observed as a prevail phenomena among the politician and bureaucrats. The last chapter is devoted to arrive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in the previous chapters by inductive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지역연구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