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1 Download: 0

한국의 행동주의적 공공미술 연구

Title
한국의 행동주의적 공공미술 연구
Other Titles
The studies of the korean activist public art
Authors
고윤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숙영
Abstract
This thesis studies on the Korean activist public art. Activist art practices often arise as a direct response to a socio-political issue and challenge form in art. This character was caused with respecting human rights of minority, rediscovering democratic groups, living together with various communities. In 1960's, Chicano art, AWC's activity, Feminism art which were focused on civil rights, war, gender because of Vietnam War's injustice. In 1980's, AIDS art and Gay-lesbian art which are reflecting the critical social issue also raised. Activist artists were very collective and collaborate. Moreover, they used public sphere because of propaganda effect. Suzanne Lacy titled activist public art "new genre public art". The term "new genre public art" includes combinations of different gender, race, class and activist artists must act in collaboration with actual community, and with understanding of social systems and institutions. In Korea, the beginning of activist public art was Min-jung art. Min-jung artists combined korean traditional art and modern art, intervened the minority community's issue, educated art to communities, collaborate on art work with communities. Accordingly, korean activist public art reflect political, social issue of korean society. Therefore Daechuri-public art(2003-2006), 'Pooljang fantasy'(2007), Anyangchun-public art(2004) are influenced by korean political issue, a social stratum, ecological controversy. Daechuri-public art pursued Daechuri's stable life. Because the Korean Government wanted to eject Daechuri's residents from Daechuri which was decided on the new site of Yongsan Garrison. This project was lasted on 4 years with this democratic issue. Therefore Daechuri-public art expanded marginal community issue to korean society's original problem likewise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nd the influence of neo-liberalistism. Daechuri's activist artists healed communitie's psychological wound and recollected the former peaceful Daechuri town. defined the Apartment the representative symbol of Neo-industrial society. Planners of choose Eunhangdong Ju-gong apartment because of great ecological environment. They shared culture with common people who didn't come across art because of busy life. They revived the useless swimming pool, stairway, wall to new cultural space. Especially They applied the community member's individual character to ordinary place. Therefore focused on narrative of each apartment place. Anyangchun-public art informed the rivival of Anyangchun to Anyang citizen and made an effort to realize Anyang ecological society. About 6 km's art works, Samduck closed factory, many kinds of performances conducted living together various minority groups. Thus Anyangchun-public art concentrated on participation of citizens, birth of new life in Anyangchun, tolerating diverse communities. Above three projects commonly made new cultural discursive, communicated artists with various community, led community members to participate to public art project. Thus activist public art intervenes contemporary social issue, transfers marginal issues to central theme, products new alternative community life.;행동주의 미술은 사회, 정치적인 이슈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예술로서 주제적인 면에서는 사회의 개혁을 추구하는 내용을 다루고 예술적인 면에서는 새로운 장르를 실험하는 양상을 띤다. 특히 1960년대의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예술에서도 정치, 사회적인 면에서 비판적인 시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소수 공동체의 인권을 존중하고 다양한 저항적 주체들을 재발견하여 대중에게 사회적 이슈를 알리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한 예술의 영역이 신체, 대지, 언어 등으로 확장되면서 예술가와 관람자의 소통 과정이 부각되었던 점은 행동주의 미술이 예술가와 공동체의 교류 과정에 주목했던 점에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행동주의 미술의 특징은 특히 1980년대에 선동적인 성격이 강조되면서 조직적이고 집단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으며, 지역 사회를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적 장으로 활용하게 되면서 공동체 중심의 공공미술의 흐름과 조우하게 된다. 수잔 레이시는 이를 ‘새 장르 공공미술’이라고 정의하면서 이는 동시대의 사회적 이슈에 주목한 것으로, 이를 실천하기 위해 계층, 젠더, 인종 등에서 오는 차이를 수용하며 예술가가 사회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새 장르 공공미술’은 설치, 행위 예술, 개념미술, 혼합 매체 등의 새로운 장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공동체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이슈를 담아낸다. 우리나라에서는 민중미술에서부터 행동주의적 공공미술의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민중미술은 전통미술과 현대 미술을 적극적으로 접목시켜 솟대, 걸개그림 등의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켰으며, 사회 비판적인 시각으로 공동체에 개입하고, 공동체에 대한 예술 교육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현장주의적 성격을 띤다. 이러한 민중미술의 성격은 오늘날의 행동주의적 공공미술로 이어져, 예술로써 사회에 개입하고, 한국 사회의 소수 공동체를 발견하고 이를 대중에게 드러내는 공공미술에 영향을 주었다. 한국의 행동주의적 공공미술은 사회 구조를 개혁시키고자 하는 정치적 개입, 소외 계층을 위한 문화 나눔, 생태 공간을 중심으로 정치, 사회, 문화적 연대를 추구하는 생태 주의적 공공미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치적 공공미술로서의 대추리 현장 예술은 용산의 미군기지가 평택으로 이전되는 결정으로 대추리 주민들을 강제 이주시키도록 공권력이 발동되면서 촉발된 공공미술이다. 2003년부터 약 4년에 걸쳐 펼쳐진 대추리 현장 예술은 대추리 주민들의 생활 하나하나가 공권력의 감시 대상이 되고, 주민들의 일상인 농사가 금지되면서 공동체의 맥이 끊기게 된 것에 대한 반발이다. 미술, 영화, 음악,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대추리의 문제에 경도되어 대추리 주민과 적극적으로 교류하였고, 촛불집회, ‘비닐 콘서트’ 등을 열어 담론의 장을 생성했다. 이러한 결과 대추리 현장 예술에 세워진 솟대, 벽화와 벽시, 각종 퍼포먼스, 그리고 대추리의 빈집을 채워 넣은 프로젝트들은 대추리 주민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그들의 상처를 치유시켰으며, 나아가 대추리 현장 예술이 기존의 한국 사회의 부당한 권력 구조에서 비롯된 것임을 대중에게 천명하였다. 문화 나눔의 예술을 실천하는 <풀장환상>은 2007년 성남시의 공공미술 공모에 당선된 프로젝트로 현대 사회의 소외 문제를 가장 명확하게 드러내는 아파트 생활에 주목하였다. 은행동 주공아파트는 특히 생태 환경이 매우 뛰어난 곳으로 곳곳에 숨어 있는 주민들의 이야기가 확장되어 그대로 공공미술로 이어졌다. 특히 <풀장환상>에서 공공미술은 주민들의 개성과 공공영역을 연결시키는 촉매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버려져 있던 풀장, 사람들이 잘 찾지 않는 103계단, 수영장의 탈의실, 산책로 등은 아파트 주민들의 주요한 문화 공간, 강의실 등으로 거듭났다. 공공미술가들의 매개적 실천 방식들은 문화를 나누는 예술이 단순히 소외 지역에 문화의 혜택을 심어주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구성원이 자발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서로 교류할 수 있는 장을 생성시키고 새로운 문화 공동체를 만들 수 있게 하였다. 생태주의 공공미술을 실천한 안양천 프로젝트는 시민운동과 예술 운동이 결합된 양상으로 2004년에 실행된 공공미술 프로젝트이다. 시민단체들은 복원된 안양천의 생태 환경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안양을 생태도시로 발돋움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민운동의 목표에 부합하는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해 스톤앤워터는 석수시장을 중심으로 생명의 소중함을 환기시키고 생태 공간의 대안적 모습을 제시하는 작품들을 전시하였다. 안양천 프로젝트는 약 6Km에 걸친 작품들과 폐공장이었던 삼덕제지공장, 그리고 다양한 개막식 퍼포먼스를 통해 안양시의 생태 환경에 시민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안양천을 중심으로 한 생태 사회를 추구하여 삼덕 제지 공장의 노동자들, 이주 노동자들 그리고 여성, 재래시장 상인들의 소수 공동체가 연대하는 삶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은 한국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은 각각의 지역과 공동체의 특성에 맞는 이슈를 끌어내어 공동체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예술가와 공동체의 교류를 통하여 새로운 문화적 담론을 생성하였다. 여기에서 행동주의적 공공미술은 장소적 맥락을 고려한 소수 공동체의 이슈를 발견하여 대중에게 흡수시키는 개입적 역할을 하였으며, 한국 사회의 새로운 대안 공동체에 대한 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