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남궁곤-
dc.contributor.author황정원-
dc.creator황정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6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0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627-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의 목적은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중국의 대외직접투자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저우주취(走出去)란 표어 아래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자본’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중국의 대외직접투자(Outward Direct Investment)는 각국의 관심을 받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개발도상국인 중국과 세계에서 가장 많은 개발도상국을 가진 지역인 아프리카는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들이다. 특히, 이 두 지역 간의 계속적인 무역 교류는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최근 중국은 아프리카의 두 번째 교역국으로 올라설 정도로 빠르게 아프리카 지역으로 대외직접투자를 늘리고 있다. 중국의 아프리카에 대한 대외직접투자 특징을 분석하는 것은 자원과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다른 나라들에게도 중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은 2000년 이후의 중국의 아프리카 투자에 대해 중국 정부의 협력 관계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자원 확보와 시장 개척을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 동기로 판단하고 대외직접투자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의 대외직접투자는 은행과 정부의 금융 정책 지원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원 확보 측면에서는 국유기업 중심으로, 시장 개척 측면에서는 현지 기업과 합작 중심의 기업을 중심으로 활동 특징을 보이고 있다. 자원 확보는 자원과 인프라 프로젝트를 맞바꾸는 앙골라 모드(Angola Mode)와 국제적으로 문제국으로 분리되는 틈새 시장 공략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의 시장 개척은 생산 거점 다변화와 새로운 제품 판로 개척의 두 분야로 나누어 추진되고 있다. 중국은 인력과 자원을 바탕으로 한 제조비 절감과 해외경제협력특구 건설이란 특징을 가지고 생산 거점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상품 판매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저렴한 가격, 합당한 품질, 다양한 물품을 통해 아프리카 시장을 개척하고 있으며, ‘Made in Africa’로 제조국을 변경함으로써 통상 마찰을 줄이고 아프리카 뿐만이 아니라 유럽까지 시장을 확대하려 하고 있다. 위의 투자 방식 특징을 바탕으로 분석했을 때, 중국이 아프리카 시장에서 단기간에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는 1960년대부터 제공되던 원조를 원조 투자 방식으로 변화시켜 단순히 금전적 수혜를 주던 과거의 원조 형태에서 벗어나, 자원 또는 인프라 프로젝트로의 적극적 교환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의료와 교육 분야의 원조를 통해 ‘중국’이란 국가 및 제품 브랜드에 대한 호감도를 높이고, 의료 상품 판매와 친중파(親中波) 아프리카의 젊은이를 양성하는 장기적 목적을 가진 투자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또 다른 성공 요인은 중국의 발전 모델인 베이징 컨센서스(Beijing Consensus)다. 중국은 일당정치와 급성장한 자본경제가 맞물린 중국의 발전 모델을 아프리카 지역에 효율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베이징 컨센서스에 대한 아프리카 정부의 흥미를 높이고 있다. 정치적으로 아프리카의 불안정한 대내외적 정치 문제에 관여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제조업 중심의 생산 방식과 아프리카 기업들과의 적극적 합작 방식을 통해 아프리카 실정에 맞는 투자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중국의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대외직접투자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국제적으로 아직 중국위협론, 문제 국가들과의 관계, 아프리카 투자개발국들의 발전과 부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 등의 한계점을 보이기도 하지만, 중국의 아프리카 지역으로의 대외직접투자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은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대외직접투자를 통해 국제적으로 아프리카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를 만들었고,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 중국의 투자에 대한 지지를 받으며, 국제 정치 및 경제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한 단계 높이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features of China’s Outward Direct Investment (ODI) in Africa since 2000. It is this ODI by China, which has gotten such significant worldwide attention that is transforming the world’s factory into the world’s capital under its ‘Going Abroad’ strategy. China, the largest developing country in the world, and Africa, home to the greatest number of developing countries in the world, have tremendous potential to develop further in the future. Notably, the continuous trade between the two regions will provid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national economy and politics. Recently, China became the second trading partner in Africa and is continuing to increase its ODI efforts. Therefore, analyzing China’s ODI in Africa will be important for other countries that intend to invest in Africa for resource extraction and market extension. This thesis will examine the process of the Chinese government’s support for investment in Africa and will analyze China’s ODI on the continent for these purposes. The market extension will be divided into two areas; diversification of production zones, and market extension for sale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Chinese banks and the nation’s government have offered financial policies and support to Chinese companies. This comes in several forms. For example, Chinese state-owned companies are mainly focused on securing resources. To diversify its production zones and extend markets for sales, Chinese companies have engaged in joint ventures with local African companies. In the aspect of resource extraction, China has adopted the Angola Mode, which replaces resources with infrastructure projects and focuses on the niche market, for which countries have been blamed internationally because of unstable politics or human rights concerns. Further, China seeks to establish production base in Africa to employ affordable African labor and inexpensive resource costs, and by building several special economic zones. To extend the market for sales, China thus offers affordable prices, reasonable quality, and a variety of goods to African customers. Moreover, there is an intention to reduce international trade friction and enter the European market by changing the country of origin from China to Africa. Two factors that have demonstrated China’s short-term success with ODI in Africa can be derived from these analyses. One is to change the aid given in the past in the form of monetary benefits paid out through resources or infrastructure projects. In addition, by offering assistance in the fields of health and education, China seeks to make a good impression for itself as a friendly nation and good production brand within Africa. Based on this assistance, it plans to increase its medical products sales and create a pro-Chinese African youth. The other successful factor is seen in the Beijing Consensus. China applies its development model efficiently to Africa, which itself coexists with socialism and capitalism. Because of this unique characteristic, African governments have significant interest in the Beijing Consensus. Politically, China does not intervene in the unstable politic situations of African countries. Economically, China suggests investment strategies that are appropriated for Africa, such as manufacturing production and joint ventures with African local companies. These political and economical approaches assist Chinese companies in investing smoothly in Africa. Still, the investments by China are scrutinized because of the threat posed by China, its relationship with countries such as Sudan, the republic of Congo, and the anxiety that China’s ODI in Africa will not help African countries develop. However, China’s ODI in Africa will indeed increase continuously in the future. Based on this Outward Direct Investment in Africa, China will improve the status of Africa internationally. Moreover, by gaining support from African countries through its investments, China will enhance its influence with international economy and politic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Ⅱ. 2000년 이후 중-아프리카 관계: 21C 새로운 파트너쉽 형성을 위한 노력 = 4 A. 2000~2002년: The 1st FOCAC = 6 B. 2003~2005년: The 2nd FOCAC = 6 C. 2006~2008년: The 3rd FOCAC = 7 Ⅲ. 중국의 아프리카 대외직접투자(ODI) 특징 = 10 A. 중국의 아프리카 대외직접투자(ODI) 현황 = 10 B. 중국의 아프리카 대외직접투자(ODI) 동기 = 15 1. 자원 확보 = 17 가. 공공기관 지원 = 18 (1). 은행 = 18 (2). 정부 = 20 나. 국유기업 중심의 진출 = 20 다. 투자 전략 = 22 (1). 앙골라 모드(Angola Mode) = 22 (2). 틈새 시장 공략 = 25 2. 시장 개척 = 27 가. 공공기관 지원 = 28 (1). 은행 = 28 (2). 정부 = 29 나. 합작 기업 중심의 투자 = 30 다. 생산거점 다변화 = 31 (1). 제조비 절감 = 31 (2) 해외경제협력단지(境外經濟貿易合作區) = 32 라. 제품 시장 개척 = 33 (1). 제품다양성, 가격, 품질 경쟁력으로 시장 점유 = 33 (2). 유럽시장 진출을 위한 전진기지 = 36 Ⅳ. 중국의 아프리카 대외직접투자(ODI) 전략 성공 요인 = 37 A. 성공 요인 = 37 1. 원조 투자 방식 = 37 가. 금전적 원조 = 38 나. 의료 외교 및 교육 협력 = 39 (1). 의료 외교 = 39 (2). 교육 협력 = 41 2. 중국식 발전 모델의 수용-베이징 컨센서스(Beijing Consensus) = 44 B. 한계 = 47 Ⅴ. 결론 = 49 참고문헌 = 51 부록 1-1 중국의 아프리카 수출품 다양화 = 59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320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국의 아프리카 대외직접투자(ODI)에 대한 특징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China’s Outward Direct Investment(ODI) In Africa-
dc.creator.othernameHwang, Jung Won-
dc.format.pageⅶ,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지역연구협동과정-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지역연구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