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경사면의 특성에 따른 자세유지 및 보행 관련 어포던스의 발달 단계적 분석

Title
경사면의 특성에 따른 자세유지 및 보행 관련 어포던스의 발달 단계적 분석
Other Titl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ffordance for upright posture and walking on slope
Authors
지정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본 연구는 경사 표면 재질과 경사 각도에 따라서 취학 전/후 아동과 성인의 자세 유지 및 보행 관련 어포던스 지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어포던스 지각과 실제 수행 결과 간의 관계가 연령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자세 유지와 보행 관련 어포던스 지각 간 관계의 발달 단계적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취학 전 아동과 취학 후 아동, 성인 각 12명씩 총 36명을 대상으로 7가지 각도(12°, 17°, 22°, 27°, 33°, 39°, 45°)에서 두 가지 표면 재질(거친 표면, 미끄러운 표면)에 따라 직립 자세 유지와 보행의 가능성에 대한 언어적인 “예” 반응과 실제 수행을 살펴보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을 통해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립 자세 과제에서 취학 전 아동이 취학 후 아동과 성인보다 “예” 반응 비율이 높았고, “예” 반응 시간도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수행에서는 취학 전 아동의 성공 수행률이 취학 후 아동과 성인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취학 후 아동과 성인은 지각 판단과 실제 수행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취학 전 아동은 실제 수행보다 지각 판단 비율이 크게 나타났고, 각도가 커질수록 차이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행 과제에서도 직립 자세과제와 마찬가지로 취학 전 아동이 취학 후 아동보다 “예” 반응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보행에서도 33°에서 반응 시간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의 실제 수행에 있어서는 27°에서는 거친 표면이 미끄러운 표면에 비해 약 2배 정도의 성공 비율을 보였고, 33°에서 거친 표면과 미끄러운 표면간의 성공 비율 차이가 가장 크게 벌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취학 전 아동의 지각 발달 수준이 아직 성인의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수행에 있어서 취학 전 아동의 자세 조절은 아직 성인과 비슷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며, 보행의 자세 조절은 직립 자세의 자세 조절보다 약간 늦게 발달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취학 전 아동은 “예” 반응 비율이 실제 수행보다 높은 것으로 보아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differences in upright posture and walking related affordance perception of preschool children, school children and adults examined on slope of different surface materials and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and how the relationship of affordance perception with the result of actual performance appears differently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in age and also to analyze the change in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ure maintenance and walking related affordance perceptions. For the study, 12 preschool children, 12 school children, and 12 adults, total 36 people, were examined with 7 different angles on two different surface materials and they were asked to give verbal response of "Yes" for their potential in maintaining upright posture and walking on slope and also to perform the said task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SPSS 17.0 and the results were shown in the following. First, the response ratio for "Yes" appears higher than actual performance in preschool children than in school children and adults, and also the response time for "Yes" was longer. Concerning the actual performance, the success rate of preschool children was lower than that of school children and adults. School children and adults showed similar ratio for perceptive judgment and actual performance, but preschool children showed higher ratio for perceptive judgment than actual performance, and the difference becomes greater as the inclination angle increases. Second, the response ratio for "Yes" appears higher than actual performance in preschool children group than in school children also in the walking task similar to the result of upright posture task, and the response time was the longest with the slope of 33° also in the walking task. The actual walking performance on rough surface showed approximately twice higher success rate than that on the slippery slope to 27°, and the difference in success rate between rough surface and slippery surface is even greater on the slope to 33°. The analysis shows that the level of perceptiv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 has not reached that of adults after all. Concerning the actual performance, the level of postural control of preschool children has not reached that of adults, and the postural control for walking develops a little slower than that for upright posture. Also, preschool children appear to have overestimated their skills as their response ratio for "Yes" is higher than the actual performance. It shows also the level of perceptive development and actual performance school children has reached that of adults after all. School children show that the level of perceptive response and actual performance are similar level of adults. Actual performance is lower than ratio for perceptive response when examined walking task because of psychological fea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