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유미-
dc.contributor.author김아영-
dc.creator김아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7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80-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는 이미지의 시대라고 불린다. 일찍이 캐나다의 문명 비평가인 마샬 맥루한(Marshall McLuhan)이 그의 저서 '미디어의 이해 Understanding Media'(1964)에서 ‘활자 매체의 죽음’을 선언한 것과 같이 정보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문자와 언어의 시대에서 이미지의 발산이 강한 영상의 시대로 영상의 영향은 날로 확대되고 있다. ‘모든 미디어는 인간이 지닌 재능의 심리적 또는 물리적 확장이다’라고 말한 맥루한의 언급처럼 텍스트나 언어가 가진 한계를 뛰어넘는 가공할만한 위력을 지닌 영상의 힘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의사소통 능력의 확장을 의미하는 것이다. 20세기 이미지의 전송기구, 즉 영상 미디어의 발전과 확장은 인간이 언어적인 사고의 틀에서 인지하고 이해하던 모든 개념을 시각화된 사고를 통해 인지하고 이해하도록 만들었다. 인간의 기존 가치와 인식체계까지 뒤바꾸는 이면에 우리가 예술이라고 통칭하는 모든 장르들 역시 경계를 넘나들며 크로스오버적인 탈장르의 양태와 함께 예술이 지닌 전통적 가치와 권위를 해체하고 나섰다. 무대 공간에서는 바그너(Rudolf Wagner)가 ‘시각문화’의 무한한 표현의 가능성을 예시하고 나섰다. 19세기 중엽 ‘종합예술론(Gesamtkunstwerk)’을 제창한 것이다. 무대 공간에서의 중심축이 텍스트에서 시각적 이미지로 넘어간 것이다. 바그너의 뒤를 이은 예술가들의 실천적 실험들은 공연예술에 있어서 시각적 이미지가 부상하게 만들었고 공연의 주요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회 문화적 영향력을 확대하며 영상 미디어의 무대 공간으로의 개입은 점점 증폭되어 다른 공연예술 매체와의 관계 개선뿐만 아니라 관객과의 관계를 확대시켜왔다. 예술 창작의 입장에서 보면 영상 미디어의 테크놀로지는 인간의 상상력을 실현시켜줄 수 있는, 현실의 기록과 재현을 뛰어넘어 가상의 세계를 창조하여 우리에게 경험시켜주는 단계에 다다랐다. 이러한 영상의 발달은 17세기 이후 환등기의 등장과 사진, 영화, TV 등으로 기록과 현실을 담아내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있었기에 가능했으며 이후 서로 영향을 주며 복합적으로 고도화되고 있다. 이제 영상 미디어는 뛰어난 표현 수단으로 예술의 한 분야로까지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현재 영상 미디어는 음악 공연을 비롯한 연극과 무용 등 공연 예술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쓰이고 있다. 각 분야에서의 활용 형태를 보면 음악 공연의 경우 대부분 영상의 동시 재생이라는 형태가 주를 이루며 자리 잡았지만 그 외의 경우 센서와 같은 기타 기술을 연동한 복합적이고 실험적인 시도까지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이처럼 공연 예술 분야에서 영상 미디어는 다양한 형태로 무대의 한 공간을 차지하며 표현 영역의 확대로 큰 호응을 얻고 있어 영상 미디어 활용에 대한 요구는 점점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영상 미디어의 확산과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각 분야의 특성에 따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As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makes progress, the role of image has much influence on human being in space as a medium for information delivery and a means of artistic communication. Therefore image media has been utilized in various types of arts. In the area of art, image media makes it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pression. Nowadays, the image media is in use actively and even created a new artistic form. In this study, investigator specifically focused on the image media using in the area of the performing arts. In the Performing arts just like the other area of arts, image media has been tested and showed on the stage in various ways along with higher technologies like motion capture or sensor and so on. The combination of the art and the image takes the performing arts to the next level of artistic development. It seems use of the image media in the performing arts will increase continually and in end it might considered as prerequisit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in point of the image media itself. Therefore, throughout a great deal of literatures, investigator first studied the history of using the image media in performing arts and studied more about two specific fields of the performing arts which are a play and a dance. And try to find out the current condition of use in the area of performing arts through past two years of records of a public perform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II. 공연예술에서의 영상 미디어 = 4 A. 공연예술에서 영상 미디어가 주는 변화 = 7 1. 시공간 확장 = 8 2. 표현력 확대 = 10 B. 공연예술에서의 영상 연출 요소 = 12 C. 장르별 영상 미디어의 활용 = 15 1. 무용 예술에서 나타나는 영상 미디어 = 15 2. 연극 공연에서 나타나는 영상 미디어 = 22 III. 공연예술에서의 영상 미디어 활용 = 26 A. 공연예술에서의 영상 미디어 분류 및 특성 = 26 1. 기술적 분류 = 29 2. 표현적 분류 = 36 3. 공간적 분류 = 39 B. 활용 사례 = 42 1. 국외 = 42 2. 국내 = 45 C. 활용 현황 및 분석 = 48 V. 결론 = 57 참고문헌 = 61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089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공연 예술에서의 영상 미디어 활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Use of Image Media in the Performing Arts-
dc.creator.othernameKim, Ah Yung-
dc.format.pagevi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