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3 Download: 0

전공의와 수련의의 수면부족 실태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itle
전공의와 수련의의 수면부족 실태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urvey of the Sleep Deprivation and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s in Residents and Interns of Training Hospital
Authors
김희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국내 대부분의 수련병원의 전공의와 수련의들은 수련과정에서 당직과 연관된 급성 수면박탈 외에도 수개월에서 수년간에 걸쳐 누적된 만성적인 수면부족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화여대 부속병원에 근무하는 수련의 및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신경심리 검사를 통해 1) 수면 부족의 실태를 알아보고 2) 신체 증상 및 기분상태, 3) 수면 부족이 인지기능, 작업기억(working memory) 및 근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들에게 설문지와 2주간의 수면일기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은 생활습관, 신체증상 및 근무 경험에 관련된 질문과 Stanford sleepiness scale (SSS),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Eysenck Personality Index (EPI)17 등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actigraphy와 스트룹 검사, 연속수행 검사, 한국판 캘리포니아 언어학습 검사 등의 인지기능 검사도 시행하였다. 대상군은 최근 2주간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는데, 총 수면시간이 4시간 미만인 경우를 중증도 수면부족군(severe sleep deprivation group, S-SD)으로 하였고, 4시간에서 6시간 사이인 경우 경도의 수면부족군(mild to moderate sleep deprivation group, M-SD), 6시간 이상인 경우를 수면부족이 없는 군(non sleep deprivation group, Non-SD)으로 정의하였다. 전체 58명(S-SD군이 11명, M-SD군이 30명, Non-SD군이 17명)의 전공의와 수련의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71%가 만성적인 수면부족 상태에 해당되었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27.2±2.25 세였으며, 평균 수면시간은 5.0±1.17시간, 근무시간은 14.9±2.66시간이었다. 수면 부족이 심할수록 주간 졸림 지수가 높았고, 주관적으로 느끼는 수면 부족의 빈도가 높았으며 수면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또한 스트레스와 집중력 및 학습 능력 장애를 더 자주 호소하였다. Actigraphy는 대상군 중 총 24명에서(수련의가 4명, 전공의 20명) 당직과 비번시 각각 하룻밤씩 시행하였는데, 평균 수면 효율은 84.2±12.81%, 수면 후 각성은 13.3±12.17%였다. 신경심리 검사는 32명에서 시행하였으며, S-SD및 M-SD군이 Non-SD군에 비해 A-CPT에서는 오경보 오류(commission error)가 유의하게 많았고(p=0.020), V-CPT에서는 S-SD군이 M-SD나 Non-SD군에 비해 반응시간은 더 짧고(p=0.068), 누락 오류(omission error)가 더 많은 경향을 보여(p=0.079) 부주의하게 반응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응급실과 병실에서 일차적으로 환자를 접하고 치료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공의와 수련의들에게 수면 부족이 매우 심각한 상태이며 환자 진료 뿐 아니라 의사 자신의 건강과 업무수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기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향후 수련과정 중 수면실태와 이로 인한 영향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 실태분석과 개선을 위한 현실적인 기준 마련을 위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개선하고자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Background and Objectives: Many residents and interns in training hospital suffer from chronic sleep deprivation, which might affect their work performanc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1) patterns of sleep deprivation, 2) physical symptoms and mood, and 3)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cognitive functions, working memory and work performance in residents and interns. Methods: Fifty eight residents and interns in training at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were recruited. They completed sleep diary for 2 weeks and questionnaires including health complaints, daytime sleepiness scale, work performance. Actigraphy, Stroop test,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PT), trail making test (TMT) and Korean-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K-CVLT) were perform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average night sleep hours for more than 2 weeks; less than 4 hours as severe sleep deprived (S-SD), between 4 and 6 hours as mild to moderate sleep deprived (M-SD), and more than 6 hours as non-sleep deprived (Non-SD) groups. Results: Forty one out of fifty eight subjects (71%) showed mild to moderate or severe sleep-deprivation (11/58, S-SD and 30/58, M-SD). The mean sleep duration was 5.0±1.2 hours/night whereas the work duration was 14.9±2.66 hours/day. Subjects in the S-SD group showed higher Stanford and Epworth sleepiness scales (p=0.012 and p=0.026) than other groups. Severe sleep depriv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stress (p=0.003), more frequent attention deficit (p=0.005) and difficulty in learning (p=0.001), but also with dissatisfaction of sleep quantity (p=0.010) and frequent sleep deprivation (p=0.008). Four interns and 20 residents were participated in actigraphic study, which was performed during one duty and one off nights. Sleep efficiency decreased to 84.2±12.81% and WASO increased to 13.3±12.17%. The reaction time in CW condition of Stroop test was longer (p=0.063) and commission errors of A-CP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20) in S-SD and M-SD groups compared with Non-SD group. In the V-CPT, S-SD group showed shorter reaction time (p=0.068) but higher omission errors (0.079) than M-SD and Non-SD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MT and K-CVLT between groups. Conclusion: This investigation revealed that majority of residents and interns in our hospital suffer fromsymptoms and may influence their work performance. We need a special guideline on their work hours to avoid any unnecessary errors or adverse effects on medical decision and clinical perform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