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5 Download: 0

性的 不平等에 關한 社會構造的 認識

Title
性的 不平等에 關한 社會構造的 認識
Other Titles
Toward a theory of sexual inequality : interrelations between sex and class
Authors
李美卿.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Keywords
성적불평등사회구조변화가부장제계급구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interrelations between sex and class both of which effect on the oppression of women. In other words, this thesis is to suggest for a more comprehensive theory of sexual inequality. Within the women's movement, since its emergence in the late 1960s, there have been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which have usually been viewed as opposed; a feminist and a marxist. The femist analysis has addressed itself to patriarchal ideology, that ideological mode which defines the system of male domination and female subjugation in any society. Like other ideologies, it is instilled through socialization and maintained by institutional methods. But it differs in one crucial respect. It is predicated on b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giving it a materialist basis of its own. The feminists have therefore insisted that patriarchy cannot be seen simply as part of the superstructure. The marxist analysis, on the other hand, has located the origins of female subordination in the phenomenon of private property. This analysis sees the oppression of women arising not from biological differences in themselves, but from the acquision of private property which made possible and necessary the exploitation of those differences. For marxists, patriarchal ideology appears as an ahistorical abstraction or, at best, part of the superstructure. This thesis presents a challenge to both marxist and feminist analysis and argues that what is necessary to analyse is the integration of sex and class. The argument put forward here is that while marxist analysis provides essential insight into the laws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ose of capital in particular, the categories of marxism are sex-blind. Only a specifically feminist analysis reveals the systemic character of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Yet feminist analysis by itself is inadequate because it has been blind to history and insufficiently materialist. Both marxist analysis, particularly its historical and materialist method, and feminist analysis, especially the identification of patriarchy as a social and historical structure, must be drawn upon if we are to understand the oppression of women within its historical specificity. Second part of this thesis examines the early and late marxist interpretations to the sexual inequality then in third part, turn to the works of liberal, radical, and socialist feminists. After noting the limitations of marxist and feminst approaches, in the forth part of this thesis attempt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 between sex and class. In section A, the concept of patriarchy is moved from the terrain of universalism and reappropriated in historical terms. Patriarchy is defined as a set of social relations between women and men, which has been maintained on the base of sexual division of labour, patriarchal relations take their particular form from dominant relations of production while it has a relative autonomy. Section B examines the position of women and the nature of patriarchal relation in capitalist society. The understanding of the family and the economy as seperate realms is specific to capitalist society. By the economy, both feminists and marxists mean the sphere in which commodity production and exchange takes place, the production of goods and services to be sold, and their sale and purchase. Within this framework of thought, a house-wife's works is not performing economic activity. However, the wage labour system under capitalism is sustained by the socially necessary but private labour of housewives and mothers. Child bearing and rearing, the preparation of food, daily healthcare, etc. constitute a perpetual cycle of labour necessary to maintain in the capitalist society. In this sense the family is an integral part of the economy under capitalism. In other words, patriarchy as a system of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exists in capitalism, and furthermore strong cohesion exists between patriarchy and capital. Yet the cohesion of patriarchy and capital was not inevitable, men and capitalists often have conflicting interests, particularly over the use of women's labour power. In examining the tensions of this conflict over women's labour power historically, this thesis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relative autonomy of patriarchy to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Section C considers how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1960s was rised and that future prospects of social change by it. Since patriarchal and class systems are so closely intertwined in an identical social organization, that change in patriarchal relations ordinarily creates movement, tension or contradiction in class system. In this context, four ideal types of the relationship is provid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ous conditions of women's position and various patterns of women's m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al situations. In the concluding chapter the previous analysis is reviewed and some assignments are provided for future work.;이 논문의 목적은 가부장제와 계급구조의 연관성을 검토함으로써, 성적 불평등을 사회구조적 차원에서 새롭게 인식하고자 하는데 있다. 1960년대 후반이후 급속히 신장되어 가고 있는 여성해방운동의 자극에 의해 성적불평등에 관한 학문적 논의와 연구가 최근 10년 동안에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 졌다. 성적불평등에 관한 연구에서 그동안 가장 중요한 논쟁점이 된 것은 여성의 사회적 위치에 관한 것이라고 하겠다. 즉 계급적 불평등이 존재하는 사회에서 여성의 사회적 위치는 性에 의해 일률적으로 여성 모두를 공통적 이해를 지닌 집단으로 규정할 수 없으며 여성 개인이(또는 그녀의 가족이) 속해있는 계급이 사회적 위치를 규정짓는 보다 근본적인 속성이라는 것이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여성해방론적 관점에서는 인류의 역사이래 성적불평등구조인 가부장제가 지속되어 왔으며 이러한 사회에서 여성은 그들의 계급적 위치를 불문하고 성적인 억압과 차별을 당하고 있기 때문에 性은 여성의 사회적 위치를 규정하는 가장 근본적인 속성이되며 따라서 여성은 분명한 공통적 이해관계를 지닌 집단이라고 주장한다. 이상과 같은 마르크스주의와 여성해방론의 주장은 모두 일면 타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서로 통합될 수 없는 것은 이들 분석의 역사적 접근의 결여와 이에 따른 사회구조 인식의 한계에 기인하고 있다. 즉 마르크스주의나 여성해방론은 사회구조를 계급구조나 가부장적 구조중 어느 하나만의 단일적 구조로서 인식하고 있으며 따라서 양 구조(계급구조와 가부장적 구조)가 모두 동일한 물질적 토대 위에 서로 하부와 상부구조의 관계에 놓여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가부장제나 계급사회의 형성과 전개를 역사적 맥락에서 검토해볼 때 가부장제와 계급사회는 거의 동시적으로 형성되었으며, 서로 독자적인 물질적 토대위에서 서로 공존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가부장제는 인간의 생산(출산)기능의 구별에 의한 성별노동분업을 토대로 형성 유지되어 왔으며, 계급구조는 재화의 생산수단에 대한 사적소유에 의해 형성 유지되어 왔다고 하겠다. 이러한 사회구조적 시각에서 가부장제와 계급구조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검토해볼 때, 양 구조는 전체 사회 구조의 변동에 대해 불가분의 연관성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생산양식의 변동에 따라 가부장제는 그 형태와 강도면에서의 변화가 이루어 졌음이 발견된다. 특히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으로서의 전환은 가정에서의 생산과 공장에서의 생산을 완전히 서로 다른 질적 가치를 가치는 것으로 만들었으며, 가족차원의 성별노동분업을 사회적 차원의 성별노동분업으로까지 확대시켰다. 그 결과 가사노동만을 담당하는 여성은 남성에게 더욱 종속적인 존재가 되었으며, 여성노동자는 성과 계급의 이중적인 착취를 당하게 되었다. 그러면 어떠한 사회구조적 조건 하에서 현대여성해방운동의 대두가 가능했으며, 사회에 따라 여성해방운동의 요구(또는 유형)가 다른 것은 무엇 때문인가라는 물음이 제기된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사회구조를 가부장제와 계급구조가 교차되어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할 때, 가부장제와 계급구조가 어떤 성격으로 교차하는 가에 따라 특정한 사회나 시대의 사회구조적 성격이 결정되며, 여성의 사회적 위치나 여성운동의 성격 역시 이러한 사회구조적 성격에 의해 조건지어 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대 서구의 여성해방운동이 대두될 수 있었던 사회구조적 조건은 한편으로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계급간의 갈등이 상당히 완화된 것과, 다른 한편으로 여성임금노동과 여성의 사회적 진출의 증가등에 의해 지금까지 가족의 차원에 머물러 있던 양성간의 갈등이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된 데 있다고 하겠다. 또한 오늘날 서구여성해방운동과 제3세계 여성운동의 성격상의 차이는 계급구조와 가부장제가 교차하고 있는 사회구조적 성격과 여성위치의 차이때문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