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2 Download: 0

분석-종합명제의 구분과 수행적 발언에 관한 연구

Title
분석-종합명제의 구분과 수행적 발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NALYTIC-SYNTHETIC DESTINCTION AND PERFORMATIVE
Authors
徐貞善 .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분석종합명제수행적 발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에서 다루려한 것은 분석~종합명제의 문제였다. 최초로 분석명제와 종합명제를 뚜렷이 구분해 철학에 소개해 준 이는 I.Kant이다. Kant이후 이 문제는 철학에서 논난의 대상이 되었다. 가령 분석-종합명제의 구분문제가 한때는 20세기 논리실증주의자들에 의해 강력히 지지된 바 있었다. 그러나 W.V.O.Quine에 의해 서는 공격의 대상이 되기도 했던 것이다. 필자는 이와같은 역사성을 가진 문제에 대해 하나의 해결을 시도해 보고자 했다. 이러한 시도는 Oxford 일상언어 학파에 속하는 J.L.Austin의 언어이론에 입각한 것이다. Austin의 이론은 Wittgenstein의 "언어의 의미는 각종 사용법"이라는 철학적 명제를 나름대로 확장시키고 구체화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ustin은 모든 발언에 대해 그 수행적인 기능을 중시하였다. 그에 의하면 하나의 발언은 세가지의 행위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즉 언표적 행위(locutionary act), 비언표적 행위(illocutionary act), 그리고 사역적 행위(Perloc-utionary act)가 그 세가지이다. Austin은 주장하길, 여태까지 많은 철학자들에 의해 이 중에서 언표적 행위만이 중시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결과 Constative(또는 진술)에 대한 우위권이 생겨났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전래의 입장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했다. 그에 의하면 하나의 언어상황에서는 언표적 행위 뿐만 아니라 비언표적 행위와 사역적 행위 역시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그리고 그는 다른 행위보다 비언표적 행위에 더 강조를 주었다. 이렇게 하여 Austin은 인식적 문장(cognitive sentence 또는 진술)과 비인식적 문장(non-cognitive sentence)간의 구분이 만족스럽지 않은 것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그는 이러한 구분에 의거한 전래의 의미.(cognitive meaning)와 무의미의 이분법이란 것도 거부했다. 이러한 것은 모두 記述的 誤診를 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Austin의 이론은 본 논문의 2장과 3장에서 다루었다. 4장에서는 이러한 이론을 받아들여 분석~종합명제의 구분문제를 검토해 보았다. 이 결과 드러난 것은 이 구분이 주장될 수 있는 특유의 수행적인 기능이 없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분석~종합명제의 구분이 철학에서 무의미하거나 불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가령 전통적으로 철학자들에 의해 인정되어온 바에 의하면 Constative 분석명제는 진리치를 보고하는 外에 아무런 힘도 가질 수 없었다· 그러나 분석명제 중에는 환기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예도 있다고 말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능 때문에 수행적 분석명제가 가능해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은 종합명제 가운데서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수행적 분석명제는 비수행적 분석명제와 구분 되어 하나의 특유한 의미있는 문장유형으로 존속할 이유가 없게 된다. 한편 종합명제의 경우를 보면 전래의 철학자들에 의해 인정되어온 Constative 종합명제는 불가능하다. 사실상 Constative로 여겨온 발언들이 실은 수행적인 기능을 가진 것임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수행적 종합명제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수행적 종합명제는 분석명제가 그렇듯이 다른 수행적 발언들에 대해 특유의 위치를 차지할 이유가 없었다. 수행적 종합명제는 cognitive sentence뿐만 아니라 non-cognitive sentence까지도 포함하며 따라서 전래의 철학의 입장과는 달리 의미있는 문장의 영역이 확장되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하여 분석-종합명제의 구분은 흥미없어 보인다. 그리고 우리가 특정한 표현이 의미있는가에 대해서 물어보아야 할 것은 그것이 분석적인가 아니면 종합적인가-마치 전래의 철학에서 처럼-가 아니라 무슨 기능이나 힘을 가지고 있는가 인 것 같다.;In this paper I made an issue of the analytic-synthetic problem. Kant was the first philosopher who proposed clearl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analytic statement and the synthetic After kant introduced this distinction in philosophy, the problem of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has been treated importantly. For instance, this distinction was insisted strongly by 20C logical positivists. But it was questioned by W.V.O. Quine. I tried to raise a new issue of this historical problem in this paper. My attempt here is dependent on the theory of language by J.L. Austin. Austin was one of leading philosophers of the Oxford ordinary language school. In fact, his theory can be said take a concrete form developed out of the Wittgen-stein's philosophical position, which could be summarized by a statement that the meaning of language are its use. Austin took serious the performative view of language. He tried to regard all the utterances as an act. According to Austin one utterance is classified into three acts : locutionary, illocu-tionary, and perlocutionary. Austin thought that many philosophers traditionally attached importance to the locutionary act exclusively, and as a result of this they gave a predominant status to the Constative(or statement). But Austin raised objection against this traditional position in addition to the locutionary act which was emphasized by the traditioners. Austin proposed that illocutionary and perlocutionary act as well are involved in a language situation. And he laid stress on the illocutionary act more than on others. Thus he showed the impossibility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onstative(or cognitive sentence, or statement) and the non-constative(non cognitive). At the same time he rejected the traditional dichotomy between the meaningful and the meaningless. According to him the dichotomy is due to the descriptive fallacy. Austin's theory is treated in chapter 2 and 3. In chapter 1 I looked into what issues are involved in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In chapter 4 I applied the Austinean method of performative analysis to the problem.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reached that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is pointless, pointless in the sense that there is not a single performative function by which the distinction could be maintained.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philosophers, constative analytic statement can't have any force other than that of informing truth-values. But there is a sense in which we could say that some analytic statement has reminding function. If so, then performative analytic utterance seems be possible. But it can't be argued to my mind with much plausibility. It seems that we could not provide any one particular function by which the performative analytic utterance may be distinguished from the non-analytic performative. For this function could well be instantiated in some synthetic statement as well. In the mean while what is called Constative synthetic utterance can't be possible as an utterance which has truth-value function only. In fact, constative utterance appeared to have performative function. In this sense performative synthetic utterance can be possible. Yet performative synthetic utterance could not have any particular function by which the performative utterances could be distinguished from others. Because performative utterance include the non-cognitive utterance, the scope of the meaningful sentences in Austin became wider than that in traditional philosophers. Then, it seems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does not interest us. The real question we have to ask on a particular expression is not whether it is synthetic or analytic, but what kinds of functions or forces it h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