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0 Download: 0

<琵琶行>의 音聲學的 考察

Title
<琵琶行>의 音聲學的 考察
Other Titles
(A) Phonetic Study on The Pi-Pa-Xing
Authors
辛承姬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Keywords
비파행음성학음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en one studies Pi-Pa-Xing(琵琶行) written by the greatest poet Bai-Ju-Yi(白居易) in Tang Dynasty(唐代), to understand Bai-Ju-Yi(白居易)'s philosophy and emotions by the meaning system which is symbolized by the whole phonetic structure composed the work, and to investigate the reason that Pi-Pa-Xing(琵琶行) can be on every man's lips. This phonetic observation on Pi-Pa-Xing(琵琶行) is not a simple apprehension. Pi-Pa-Xing(琵琶行) is one of the masterpieces of sentimental poems which has a good melodical depiction, but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entire feelings based on those day's social situation and cognition expressed by Pi-Pa-Xing(琵琶行)'s words composed by met여y and music. and also through the above observation we consider that the value as a genuine poem is discovered by recitation. in order to find the ultimate meaning of Pi-Pa-Xing(琵琶行)'s phonetic observation, the following ways are used. In the second part,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em and sound, is suggested as an essential prereovisite for the general methodology of phonetic observation. In the special category of poem, the sound is not only the component of sound laws in shape, but also the symbol of the content and significances. It is necessary for the process, of Pi-Pa-Xing(琵琶行)'s sound observation to comprehend the sound inflection which symbolized the meaning. In the third part, the ultimate purpose is to observe the organic combination between the sound substances and contents. One should comprehend what kind of philosophy and emotions he had during the composition, and how he could unfold it based on estheticism. In the fourth and fifth, it is to analyse Pi-Pa-Xing(琵琶行)'s sound inflection concretely Pi-Pa-Xing(琵琶行) has Qi-Yan-Ge-Xing-Ti(七言歌行體) the external structure which has an abundant melodical characters. By the structure of vocal sound, they pursued the changes, changeable legends and humanity. In addition to the poet repeated the similar or opposite sound substances which have a potential characters to Manifest his philosophy and emotions efficiently. The supplementary sound, original sound and ending sound were combinated to symbolized the contents which presented the poet's intention. This organic combination composed the total sound crystal Pi-Pa-Xing(琵琶行). Based on such findings, the sound, the laws of sound, the rhythm and the accend are no more ornaments, but an esthetic value which has meaning and relationship. Pi-Pa-Xing(琵琶行) got rid of the gap between contents and forms. Therefore it can reach the 'Interlacing relation' said by Jakobson. Through the study of phonetic observation, the rule about correlation or opposition have an efficiency for the bound tone and composition of poem. As far as the peer expressed and receipted in the way of language, it can have an esthetic value and significant function. It is essential for the composition to expand and apply the sound substances which is one of the language substances.;本稿는 唐代 大詩人인 白居易의 <琵琶行>을 연구함에 있어서, 작품을 이루고 있는 총체적인 음성구조가 상징하는 의미체계를 통해 그 안에 드러나는 백거이의 사상정감을 이해하고, <琵琶行>이 널리 읊조려질 수 있었던 사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琵琶行>에 대한 음성학적 고찰은 지금까지 널리 읊조려지는 <琵琶行>에 대한 "음악묘사가 뛰어난 感傷詩의 걸작"이라는 단면적인 이해를 벗어나, <琵琶行>이 결국 음악 형상화한 언어를 매개로 하여 표현해낸 백거이의 당시 사회인식과 이에 기반한 情感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시도이다. 또한 이와 같은 고찰은 시가 낭송됨으로써 진정한 시문학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琵琶行>의 음성학적 고찰의 궁극적인 의미를 도출해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제2장에서는 음성학적 고찰을 위한 개괄적인 방법론의 제시로서 시와 음성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전제되었다. 시라는 특정한 범주안에서 음성은 외형적인 틀인 聲律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기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의 내용을 상징하고 있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개발되고 있다. 의미를 상징해주는 음성활용에 대한 이해는 구체적으로 진행될 <琵琶行>의 음성고찰을 위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 과정이다. 제3장은 음성자질들이 시의 내용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활용되고 있는 모습을 살펴보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므로.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전제 단계로서 제시된다. 작자는 어떤 사상과 정서를 지니고 <琵琶行>을 지었으며, 그의 사상 정감에 바탕한 審美傾向을<琵琶行>을 통해 어떻게 전개시키고 있는가를 인식해야 한다. 제4장과 제5장은 구체적인 <琵琶行>의 음성활용에 관한 분석부분이다. <琵琶行>은 七言 歌行體란 자체적으로 풍부한 음악성을 지닌 구조적 틀을 활용하여, 聲韻의 구조 속에서 변화를 추구하며 변화무쌍한 故事와 人情을 풀어냈다. 또한 시인은 자신이 표현해내고자 하는 사상감정을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해서 잠재적 특징을 지닌 상반되거나 유사한 음소들을 내용에 맞게 되풀이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보음과 원음 그리고 운미가 작자가 의도하는 내용을 가장 핍진하게 상징해내기 위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었으며, 이렇게 유기적 결함으로 이루어진 음성들이 어우러져 총체적인 음성 결합체인 <琵琶行>을 이루었다. 이처럼 음성·성율·리듬·억양 등이 더 이상 의미의 장식물이 아니라, 의미와 긴밀하게 얽혀있는 미적 가치를 지닌 것이라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琵琶行>에서는 내용과 형식간의 간극을 없앰으로써 야콥슨이 말한 것처럼 "interlacing(상호 얽혀있는)" 관계에 도달할 수 있었다. 本稿의 음성학적 고찰을 통해서 음소들의 상관성 혹은 대립성을 지배하는 규칙체계가 시의 음성층위는 물론 作詩術에까지 미친다는 사실 역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시라는 문학쟝르가 언어를 매개로 하여 표현되는 한 그리고 낭송됨으로써 그것의 미적 가치를 지니는 한, 언어 자질의 하나인 음성자질을 확장하고 응용하는 일은 詩作의 중추적인 기능을 하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