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발치교정 치험례에서 구개주름의 위치 안정성에 대한 3차원 역공학적 평가

Title
발치교정 치험례에서 구개주름의 위치 안정성에 대한 3차원 역공학적 평가
Other Titles
Positional stability of the palatal rugae as landmarks for dental cast analysis by 3D reverse engeneering technologies
Authors
김소양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발치교정구개주름치험례위치 안정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정 치료 전후 평가를 위해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해 왔는데 방사선을 이용한 평가 방법은 방사선 노출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을 갖고 있고 촬영시의 오차와 시상면 상에서 구조물의 중첩으로 인한 왜곡 등으로 정확한 평가가 어렵기 때문에 보다 개선된 평가 방법으로 치아 석고모형을 이용한 교합면 평가 방범을 고안하였다. 교합면 평가도 3차원 구조물을 2차윈 사진으로 평가하기 보다는 3차원 역공학 기술을 통한 3차원 중첩으로 평가한다면 상대적으로 더욱 정확한 평가가 될 것이다. 그러나 3차원 역공학 기술을 통해 치아 석고모형을 중첩할 때 정밀한 중첩을 하기 위해선 안정된 기준점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악석고모형 중첩시 기준점으로 사용해 온 상악 최후방 구개주름의 위치 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3차원 범용 역공학 소프트웨어인 Rapidform2002□(INUS Korea)을 이용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동대문병원과 목동병원에 내원한 성인 여자 환자의 치료 전후 상악 치마 석고모형의 구개주름 후방부에 위치한 경구개부를 중첩하여 상악 전치부밀생량(crowding)과 최후방 구개주름 내방점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교정치료시 상악 치아의 후방 이동시 관련된 구개 주름의 위치 안정성을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상악 치아 밀생량과 관계없이 치료후 최후방 구개 주름은 약 0.5mm정도의 변화량을 보였다. 임상적으로 0.5mm정도의 변화량은 미미한 양으로 구개주름을 비교적 안정된 구조물로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3차원 역공학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악 치아 석고모형을 중첩할 때 기준이 되는 지표로 상악 경구개 부는 물론 구개 최후방의 구개주름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last palatal rugae area during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backward movement, and then orthodontists could use as the landmarks for the analysis of dental cast in extraction cases. Dentoalvoelar changes following an orthodontic treatment or with matural growth,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evaluated by cephalometric analysis, were assessed by the registration function of Rapidform 2002^(R) 3D-reverse model soft ware. The amount of the change at the last rugae mesial point after the orthodontic treatment was measured at the model. Also the amount of crowding was measured. To assess the relation of the change of the last rugae mesial point and crowding Pearson correlation coeffcient was us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last palatal rugae mesial poi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crowding. 2. It was approximately 0.5mm which was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last palatal rugae mesial point after the orthodontic treat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