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7 Download: 0

스피노자의 국가형성론에 대한 검토

Title
스피노자의 국가형성론에 대한 검토
Other Titles
(The) Study of Spinoza's State Formation Theory : based on his Human Nature Theory
Authors
金垠馨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Keywords
스피노자국가형성론인간본성론Spinoza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 삶의 이상 실현에 있어서 국가의 존재가 가지는 의미, 특히 국가의 필수성에 대한 탐구는 정치철학의 근본 주제들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인간 삶에 있어서 국가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삶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문제. 즉 삶을 구성하는 인간들의 행위에 대한 성찰에 놓여 있다. 그리고 인간의 행위에 대한 이러한 성찰은 인간의 행위를 낳은 것이 인간의 본성이라는 측면에서 곧 인간본성에 대한 성찰로 나아가야 한다. 스피노자(Baruch Spinoza, 1632-77)는 국가의 형성을 인간본성론으로부터 이끌어낸 사상가 중 하나이다. 스피노자가 생존했던 근대는 종교개혁과 르네상스 및 과학혁명 그리고 사회제약론의 시기로서 중세와는 달리 신이 아닌 인간을 중심으로 우주에 대한 시각을 정립하기 시작한 때였다. 스피노자 역시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이성의 힘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그의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는 유대교의 정통교리 및 아리스토텔레스, 마이모니데스, 그리고 스콜라 철학을 비롯하여 근대철학, 특히 합리론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는 데카르트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스피노자의 사상은 그것과는 차별되는 독특한 방향으로 발전해나갔고 그는 이로 인해 당대의 거의 모든 사람들로부터 광범위한 비난을 샀다. 스피노자 사상의 이러한 독특성은 그의 인간본성론, 그리고 그 전제로서 제기될 수 있는 신론에서도 여실히 나타난다. 스피노자의 궁극적인 관심은 바로 인간의 행복이었고 국가는 인간의 행복을 위한 일종의 도구로서 반드시 존재해야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국가는 인간 행복과의 연관성, 구체적으로 말하면 인간의 행복에 있어서 국가가 수행하는 역할 및 그러한 역할을 국가에 부여할 수 있는 형성 방식을 통해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논의는 필연적으로 인간의 행복을 풀이한 스피노자의 인간본성론과 연계된다. 요컨대 스피노자의 국가형성론에 대한 검토는 그의 인간본성론의 연장선상에서. 그것을 토대로 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스피노자의 체계 속에서는 인간본성론 또한 그 자체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스피노자는 자연에서의 인간의 위상을 검토하고, 그것이 인간의 본성을 규정하게 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스피노자의 자연관, 달리 말하면 세계관은 인간본성론의 전제로서 다루어진다. 스피노자의 자연은 간단히 말해 '신' 자신이 창조한 '신' 자체이다. 자연과 신은 동일하며 이러한 동일화는 이전까지의 신의 의미를 뒤엎는 것이었다. 스피노자의 신은 초월적이지 않으며 목적론적이지도 않고 따라서 인격적이지도, 윤리적이지도 않다. 중세적인 신의 개념을 부정하는 결과를 낳음으로써 그를 무신론자라는 비난으로 이끈 스피노자의 이러한 신관은 동시에 자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기도 하다. 스피노자의 자연은 신 바깥에서 목적론적으로 존재하는 창조물도 아니요, 동시에 기계론적인 어떤 것도 아니다. 스피노자의 자연은 신과 함께 살아 있는 생명이다. 신은 자신과 다른 모든 것의 원인으로서 존재하지만 다른 모든 것 없이는 그 존재를 드러낼 수 없다. 그러나 신은 자신의 본질 때문에 필연적으로 존재의 영원성을 향유하며 모든 것의 존재와 활동을 결정짓는다. 따라서 스피노자의 인간은 신에 의해 존재와 활동이 결정되는 신의 한 양태(modus)로 규정된다. 스피노자의 이러한 인간상은 인간으로부터 이른바 '자유의지'를 제거시켰다는 면에서 논쟁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제 스피노자의 인간은 불가피하게 신의 양태가 가지는 특징을 지니게 될 수밖에 없는데 스피노자가 양태의 본질로서 규정하는 것은 자기 존재를 보존하고자 하는 노력. 즉 코나투스(conatus)이다. 그리고 코나투스의 인간적 형태인 욕망은 기쁨과 슬픔과 함께 인간 정념(affectus)을 구성한다. 인간이 신처럼 존재 그 자체일 수 없는 한 인간은 이러한 정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스피노자는 그러나 인식과 연관하여 정념에 수동(passio)과 능동(actio)이라는 중요한 구분을 지음으로써 인간의 행복에 이르는 길을 닫지 않는다. 수동은 잘못된 인식에 의존하는 이른바 맹목적인 욕망에 해당하며 능동은 적합한 인식에 해당하는 이성적 욕망이다. 스피노자는 인간의 이상으로부터 오는 힘을 신뢰하지만 맹목적인 수동정념에 대한 능동정념의 우위를 주장하거나 인간이 수동정념들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고는 믿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이성보다는 수동에 의해 주로 지배되는 인간에 초점을 맞추며 인간의 그러한 정념을 어떻게 능동화할 수 있느냐를 인간 행복의 관건으로 보았다. 정념이 수동일 때 그것은 반사회성을 가지지만 정념이 능동일 때 그것은 사회성을 지닌다. 따라서 인식의 확대를 통한 정념의 능동화는 인간과 인간의 조화와 행복을 보장한다. 문제는 인식의 확대를 위한 어떠한 수단이다. 그리고 스피노자에게 있어서 그것은 바로 국가로 설정된다. 국가는 인간 정념의 반사회성으로 인해 촉발되는 불행한 삼의 극복수단으로 등장한다. 국가는 삶의 안전과 평화를 보장하는 동시에 인간의 이성적 인식을 배양하기 위한 안정적 장으로서 기능한다. 스피노자 사상에서 국가의 역할은 인간 대부분의 행복과 직결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스피노자의 사상에서 국가의 형성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다뤄질 수 있다. 그러나 스피노자는 국가의 형성에 대한 두 가지 상이한 전제를 사용한다. 스피노자가 국가 역할의 필수성을 도출하는 행위자로서의 인간과 국가 형성의 필연성을 도출하는 행위자로서의 인간을 다르게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스피노자가 국가의 발생을 국가의 필수성을 도출시킨 그 수동정념에 빠진 인간들에게서 연유하고 있는 것으로 주장하는 것과 달리 국가를 발생시키는 개인들은 실제로는 이성적인 인간들이다. 스피노자의 국가형성론은 따라서 필연성의 부분에서 내적 모순에 빠진다고 할 수 있다. 스피노자가 인간의 행복에 궁극적인 관심을 두고 그 중요한 수단으로서 국가를 상정하고 그것이 인간의 본성상 자연적으로, 즉 정념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주장하고 싶었다면 그는 그 형성과정을 일관성 있게 그려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체계적인 신론이나 인간본성론과는 달리 그의 국가 형성론은 특히 국가의 필연성의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전개되지 못하였다.;The study of the meaning of state, especially of its necessity in the realization of human ideals is one of the fundamental themes of political philosophy. Basically the study of the meaning of state depends on consideration of what human life is, that is, what behavior a human adopts to make his life is. And this consideration should proceed to the consideration of human nature, because human behavior is born by human nature. Baruch Spinoza(1632-77) is one of philosophers who thinks that state formation is derived from human nature theory. Spinoza had lived in the which was opened and developed by Reformation, Renaissance, Scientific Revolution and Social Contract theory. The periods Philosophers started to establish view of the universe based not on God but on man. Spinoza's philosophy is based on belief of human reason which man is able to acquire too. On one hand, Spinoza is under the influence of Aristotle, Maimonides, Scholastic philosophy and especially Descartes, father of Modern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he developed his philosophy into new and unique directions distinguished from them, and consequently was censured furiously by most philosophers in those times. This unique direction appears in his human nature theory and the view of God evidently. He whose ultimate concern is human happiness insisted that state should exist necessarily as a kind of means for it. Since state has relevance to human happiness, state is understood through relevance to role for it and how to form state for it. These arguments are necessarily connected with his human nature theory explicating human happiness. In short, the study of Spinoza's theory of state formation should be developed in the continuity of and on the base of his human nature theory. But in Spinoza's philosophy, human nature is not capable of being understood alone. First, he investigates humans position in nature, and thinks that it determines human nature. Therefore his view of nature is the premise of human nature theory. In brief, nature(universe) in Spinoza's philosophy is God itself created by God. This identity of nature as God overthrows the established meaning of God. God in Spinoza's philosophy is not transitive but immanent. So, God is not teleological, personal and moral. Since Spinoza denied the established idea of God, he opened himself to criticism for being an atheist. At the same time, this new view of God is identical with the new view of nature. Nature in Spinoza's philosophy is neither a creature that exists outside of God teleologically nor a mechanistic thing. Indeed Nature is the life breathing with God. God exists as a cause of all things; he is unable to express himself without all things. But only God enjoys the eternity of being caused by his own nature necessarily and determines the existence and the action of all things. Therefore man in Spinoza's philosophy is defined as a mode(modus) of God. This view of man is very controversial because it rejects what is called human free will. In Spinoza's philosophy, as far as man is a mode of God, he/she has some properties of a mode necessarily. What Spinoza defines actual essence of a mode is "striving to preserve in its being', Conatus. And desire, human form of Conatus, is comprised in Affection(Affect) with sadness and joy. As far as men cannot be existence itself like God, men are necessarily subject to these affections. But Spinoza intends to open a door to human happiness by setting up important distinction in affections, what he ca 1s Action(Actio) and Passion(Passio). The former is blind desire dependent on incorrect knowledge, and the latter is reasonable desire dependent on adequate knowledge, reason. Though Spinoza trusts the power of human reason, he dosen't insist that reason has an absolute advantage over Hind passion, nor that men are free from passion. On the contrary, he focuses on men overwhelmed by passion, and insists that the key to human happiness is whether men transform passion into action or not. Action corresponds with sociality; and conversely, passion corresponds with anti-sociality. transformation from passion to ac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knowledge secures harmony and peace among men. The subject is the means for the expansion of knowledge. State appears as a means for overcoming unhappy lives caused by the anti-sociality of passion. State as a stable ground for the expansion of reason is established to remove general fear, to dispel general suffering, and to ensure peace and harmony. Therefore, in Spinoza's philosophy, the role of state is directly connected with most mens' happiness. So men do need state. Indeed, state formation is capable of being treated as one of most important subjects Spinoza's philosophy. But Spinoza's state formation theory adopts two different assumptions. Though Spinoza insists state is naturally formed by the same men who cause the necessity of state, namely men subjected to passion, actually he distinguishes between men who cause the necessity of state and men who cause state as natural outcome. Although men need state because of anti-sociality caused by their passion, men who form state cannot actually be subjected to passion and must be reasonable. If we consider his view of human knowledge including relationships between passion and reason, we can recognize it easily. As long as they are subjected to passion, they can never form any kind of state. Therefore 'Spinoza's state formation theory is inconsistent. The purpose of Spinoza's philosophy lies in human happiness. And if he insists that state is the most important means for human happiness, and can be established naturally, by human passion, he should reason about state formation more carefully and consistently. Though his view of God OF human nature theory is systematic, Spinoza doesnt develop his state formation theory systematically nor consistent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