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토끼에서 실험적으로 유발된 상악동염이 비점막의 섬모운동횟수 및 병리조직학적 형태에 미치는 영향

Title
토끼에서 실험적으로 유발된 상악동염이 비점막의 섬모운동횟수 및 병리조직학적 형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Experimentally Induced Maxillary Sinusitis on Ciliary Beat Frequency and Histopathology of the Nasal Mucosa in Rabbits
Authors
윤선옥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상악동염비점막섬모운동횟수병리조직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부비동염은 비성 부비동염, 즉 비강 질환에 의한 ostiomeatal unit의 장애에 이차적으로 속발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그러나 부비동염의 원인으로 비성이 아닌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악안면 외상에 의한 상악동염 및 치아 질환에 의한 상악동염 등이다. 이때는 비강 질환 없이 상악동 자연 계구부가 일차적으로 기계적 폐쇄를 일으켜 상악동염이 발생하거나 치아 질환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상악동에 염증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악동염이 역으로 비점막의 기능 및 형태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끼에서 실험적으로 유발된 상악동염이 비점막의 섬모운동횟수 및 병리조직학적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15마리 정상 토끼(Pasturella-free New Zealand white rabbit) 중 10마리에 대하여 우측 상악동 자연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쇄한 후 녹농균을 주입하여 상악동염을 유발시켰다. 유발 4주 후 상악동 재개방시 비강의 하비갑개와 비중격 점막을 채취하여 섬모운동횟수와 병리조직학적 형태를 관찰하였다. 상악동염을 유발시킨 토끼의 우측 점막을 실험군, 좌측 점막을 대조군 A로 하였으며, 나머지 5마리 정상 토끼의 양측 비점막을 대조군 B로 하였다. 섬모운동횟수와 병리조직학적 관찰상의 염증 점수에 대하여 세 군을 비교하였고 실험군의 비점막과 상악동 점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군 하비갑개와 비중격 점막에서의 섬모운동횟수는 대조군 A와 B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다. 또한 실험군 하비갑개와 비중격 점막에서의 염증 점수도 대조군 A와 B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섬모운동첫수에 있어서 실험군의 비점막과 상악동 점막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염증 점수에 있어서는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다. 토끼에서 실험적으로 유발된 상악동염은 동측 비점막의 섬모운동첫수를 감소시키고 병리조직학적으로 염증을 증가시키나 반대측 비점막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악동염이 심할수록 비점막 염증이 심한 경향을 보이나 상악동 점막과 비점막의 섬모운동횟수의 감소는 일치하여 발생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원발성으로 발생된 상악동염은 국소적으로 비점막의 기능 저하 및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Although sinusitis is commonly caused by nasal diseases that interfere with ostiomeatal unit, non-rhinogenic sinusitis Is often encountered in clinical setting. For examples, maxillofacial trauma can give rise to maxillary sinusitis by causing mechanical obstruction to the natural ostium and dental diseases induce inflammation directly in the maxillary sinus. However, it remains unclear whether non-rhinogenic sinusitis affects the function and morphology of the nasal mucosa.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observe effects of experimentally induced maxillary sinusitis on ciliary beat frequency and histopathology of the nasal mucosa in rabbits. Maxillary sinusitis was induced in the right sides of 10 Pasturella-free New Zealand white rabbits by partially occluding the natural ostia and inoculating the maxillary sinus with P.aeruginosa. After 4 weeks, the nasal mucosa was obtained from the inferior turbinate and the septum in the right side (experimental group) and the left side (control group A). Both sides of the nasal mucosa in another 5 normal rabbits were used as control group B. Ciliary beat frequency (CBF) was measured by video-computerized analysis and degree of inflammation in histopathology was graded using a 100-point scale of inflammation score. CBF and inflammation score were compared between the three groups, and correlation was analyzed between each variable of the maxillary and nasal mucosa in the experimental group. CBF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s A and B. Inflammation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s A and B.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CBFs of the maxillary and nasal mucosa, but weak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nflammation scores of the maxillary and nasal mucosa. Experimentally induced maxillary sinusitis in rabbits significantly decreases CBF and increases inflammation of the ipsilateral nasal mucosa with no effects on the contralateral side. As inflammation of the maxillay sinus is severer, the nasal mucosa tends to be more severely inflamed. However, decrement of CBF in the maxillary sinus does not always coincide with decrement of CBF in the nasal mucosa. In conclusion, primary maxillary sinusitis can locally induce dysfunction and inflammation of the nasal mucos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