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동료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의 효율성

Title
동료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의 효율성
Other Titles
(The) Efficiency of Peer Discourse in Argumentative Writing Process
Authors
鄭美賢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동료협의논설문효율성Peer Discours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at peer discourse in argumentive writing process should have efficiecy in learning Korean Wr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three major points in learning purposes, one is language knowledge, other is language usage, and the other is language-related thinking ability. 'These can be taught through combinig tal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Especially, Writing area in national curriculum consists of process, principle, and actual activity parts. So writing teachers have to consider what kind of strategy can put these parts together and integrate the purposes of Korean Language Art. So I chose 'argumentive prose' from actual activity part, and with it tried to find out the method which is best for integrating all those purposes and writing parts. Of any other thing, argumentive writing is traditionally supposed as good vehicle that operates thinking and communicating. Argumentive prose is defined as prose in which the writer logically presents his arguments with their supporting evidence, aiming to persuade the reader of his point of view. From this definition, the structere of argumentive text can be anayzed as Problem-Solving structure or Conversation Structure. Peers in writing process have a role as viduable readers by direct comments each other's work. And especially peer group interaction can serve problem solving process in writing. So I supposed that peer discorse in writing process should be an appropriate strategy for writing argumentive prose. "Is peer discourse in argumentive writing process efficeint?" For the answer, there ar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Does peer discourse in argumenative writing have efficiency in learning language knowledge? 2. Does peer discourse in argumentative writing have efficiency in developing language usage ability? 3. Does peer discourse in argumentative writing have efficency in developing language-related thinking ability? Using peer discourse in writing process, I investigated with a whole class of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I developed new assessment standards, and scoring rubrics based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t-test and the special cases were described. The results follow; 1. Peer discourse in argumentive writing had effectiveness on the organization of argumentive prose, sentense combining, and mechnic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ing in using vocabularies. 2. Peer discourse in argumentive writing had effectiveness on the clarity of thesis, paragraphing, and cohesion. But there was no evidence of improving the relevance to sentense type. 3. Peer discourse in argumentive writing was effective on the description of situation, considered alternatives, justifying supports, and logical concusion. The conclusion can be drawned that peer discourse in argumentive writing procee have efficiency of integrated learning between the purposes of Korean Language in three major areas and those of Korean Writing parts.;국어과 교육에서는 언어에 대한 기초 지식을 익히고 이를 바르게 사용함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고, 이를 통해 사회 제반 문제를 해결하는 고등 사고 능력을 돕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삼는다. 이러한 목적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각 영역의 본질, 원리, 실제를 통합하여 지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작문 교육은 작문의 본질인 절차와 상황, 작문의 원리인 내용, 조직, 표현, 그리고 작문의 실제로 나누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작문의 과정 속에 널리 쓰일 수 있는 지도 방법인 동료 협의를 통한 글쓰기가 논설문 쓰기의 실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 지 고찰하고 이를 통해 국어과 기본 목적을 충족 시키는 동료 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 모형을 개발하였다. 논설문은 자기의 의견을 주장하기 위하여 다른 사람을 설득하는 글로서, 독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조직이 이루어지는 '대화 구조'와 사회 문제에 대한 규정과 해결에 있어서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을 설득하는 '문제 해결 구조'로 분석된다. 글쓰기 과정에서 동료 협의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눈에 보이는 독자의 역할을 해주며 문제 해결 과정에서 문제 상황의 인식, 대안의 모색, 대안의 평가에 있어서 집단적 사고를 통해 협력적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동료 협의는 논설문의 목적과 구조에 알맞은 글쓰기 방법이다. 특히 논설문 쓰기에 알맞은 동료 협의 전략에는 문제 해결을 위한 토론, 토의 과정과 동료간에 심도 있는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돌려 읽기와 재고 회의 과정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글쓰기 절차 내내 일어나는 동료 협의를 중심으로 논설문의 대화 구조와 문제 해결 구조를 조직하는 데에 알맞은 전략을 활용하여 동료 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 모형을 만들었다. 동료 협의를 통한 글쓰기 모형이 국어과 작문 교육에 효율적인 지도 방안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제시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동료 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는 국어과 언어 지식 학습에 효율적인가? 2. 동료 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는 국어과 언어 사용 기능 신장에 효율적인가? 3. 동료 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는 국어과 고등 사고 기능 신장에 효율적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와 동료 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를 시행했으며, 이 논설문들을 평가하기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하고 Herman(1992)이 제안한 방식에 따라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사용했다. 동료 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의 통계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개선된 논설문 실례를 기술하여 실제적 효과를 파악했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 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는 국어과 언어 지식 영역에서 작문조직과 표현에 효과적이었으나 내용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동료 협의를 통하여 쓴 논설문은 논설문 형식, 문장호응, 그리고 표기법에 있어서 긍정적 평가를 많이 받았다. 그러나 어휘에 있어서는 사전 검사로 행해진 논설문 쓰기 결과와 차이가 없었다. 둘째, 동료 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는 국어과 언어 사용 기능 영역에서 작문 내용과 조직에 효과적이었으나 표현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동료 협의를 통하여 쓴 논설문은 문단 나누기, 명확한 주제, 응집성에서는 긍정적 평가를 많이 받았으나 문체에 있어서는 일반적 글쓰기와 차이가 없었다. 셋째, 동료 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는 국어과 고등 사고 기능 영역의 작문 내용과 조직에 효과적이었으나 표현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동료 협의를 통해 쓴 논설문은 상황의 기술, 타당한 해결, 정당화 과정, 적절한 결론에서 사전 검사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창의적 표현에서는 사전 검사와 동료 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 모두 평균이 매우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동료 협의를 통한 논설문 쓰기는 국어과 작문 교육의 목표 달성에 대체적으로 효율적이다. 그러나 효과를 보지 못하는 부분과 인과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므로 이의 보완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