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四聲等子》 硏究

Title
《四聲等子》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Sishengdengzi(四聲等子)》
Authors
李玉珠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Keywords
사성등자중어중문학Sishengdengzi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漢語의 가장 큰 특징은 매우 이질적인 方言의 分化와 方言을 하나의 言語로 결속시키는 表意文字 체계가 竝存하는 이중적 언어 체계라는 점이다. 일찍이 漢語에 대한 硏究가 文字와 의미적 측면에서 비롯된 것도 입말과 글말의 불일치 및 表意文字의 사용으로 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南北朝代에 東漢代 이후 발달한 反切을 이용한 韻書가 대량으로 생산되었지만, 이것이 '소리로서의 언어'에 대한 독립적 硏究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漢語에 대한 독립적 인식과 연구는 唐末宋初에 이르러서이다. 이 시기에는 정확한 암송을 중시하는 密敎의 성행으로 經典을 音譯하는 일이 매우 중시되었고, 이미 상당한 수준에 달해 있던 梵語學의 지식을 이용하여 漢語의 '音'에 대한 본격적 硏究가 시작되었다. 이로써 체계화된 음운론적 분석 양식이 바로 等韻圖이다. 《四聲等子》 역시 佛家의 인물에 의해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四聲等子》 에 사용된 反切·字母·七音·淸濁·等呼·攝·內外轉·輕重 등의 개념으로 미루어 당시 語音 분석 기술이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四聲等子》 에서 비롯된 '攝'이나 等韻 門法 등은 이후 等韻圖 체제의 기틀이 되고 있다. 本稿에서 음운론적 관점에 입각하여 분석한 결과, 《四聲等子》 는 현실음을 반영한 等韻圖의 先聲임과 동시에 古官話의 연원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韻書의 韻母를 16攝으로 귀납시키고 이를 다시 13攝으로 병합함으로써 현실음의 韻母 체계를 반영할 수 있는 기틀을 제시하였다. 둘째, 《四聲等子》는 이미 四呼 체계 보다는 兩呼 체계에 근접해 있다. 일부 1·2等과 3·4等의 구분의 소실이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이와 같이 파악된 《四聲等子》의 韻母 체계는 唐末 詩人의 押韻 현황 및 《中原音韻》의 19韻部와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다. 셋째, 《四聲等子》는 聲調 체계에 있어서 入聲韻을 陰聲韻과 陽聲韻에 동시에 대응시킴으로써 각기 口語音과 讀書音에서의 入聲 韻尾의 소실 과정을 반영한다. 入聲韻이 陽聲韻과 開韻尾에 동시에 대응되는 현상은 讀書音에서도 이미 入聲韻이 탈락했을 가능성을 내포하는 단서가 되며, 口語音에서의 入聲의 변화 또한 《中原音韻》의 성조 체계와 연관된다. 이로써 《四聲等子》는 현실음 분석을 위한 체제로서의 等韻學의 성립을 의미하며, 《四聲等自》에 반영된 음계는 古官話 형성의 면모를 제시함으로써 漢語音의 近古 시기를 《中原音韻》 이전인 《四聲等子》시기로 소급시킬 수 있다는 語音史的 의의를 지닌다.;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Chinese lies in its two-tier linguistic system where both disparate dialects and their governing ideographic system in higher level coexist. Both of this inconsistency between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and the usage of ideographs are the reasons why studies on Chinese began with Wenzi(文字) and Xungu(훈고). Owing to Fangie(反切) which had developed since Donghan(東漢) dynasty, rhyme books were produced in large amount since Nanbeichao(南北朝) dynasty, this, however, does not mean any independent study on "a language as a sound. Not until in the late Tang(唐) dynasty and the early Song(宋) dynasty was there any independent study on sounds of Chinese. In those days, emphasis was usually put on phonetic transcription of religious textbooks because then prevalent Esoteric Buddhism(密敎) valued the exact remembrance of the textbooks. Moreover. with accumulated knowledge on Sanskrit, it became possible to begin serious studies on sounds of Chinese. Rhyme Table(等韻圖) is a method for phonological analysis which was systemitized through this history. is also believed to have been made by Buddhists. Judging from the concepts such as Fanqie(反切) · Zimu(子母) · Qiyin(七音) · Qingzhuo (淸濁) · Denghu(等呼) · She(攝) · Neiwaizhuan(內外轉) · Qingzhong(輕重), we can conclude that analysis of sounds of a language in those days reached at a considerably high level. Especially, She(攝) and Dengyun Wenfa(等韻 門法) in gave solid bases for other Rhyme Tables(等韻圖).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analysis of this thesis, is believed to be both the origin of Old Mandarin and the precursor of Rhyme Tables(等韻圖) which reveal the contemporary pronunciation. The reasons for this assertion are as follows : First, categorizes finals in Rhyme Books(韻書) into 16 She(攝), and later into 13 She(攝). Second, is closer to Lianghu(兩呼) system than to Sihu(四呼) system - this assertion is backed by no differences between some 1 Deng(等) and 2 Deng(等) and between 3 Deng(等) and 4 Deng(等), 'respectively. Thus, the finals system in has direct relationship with rhymes of poets in the late Tang(唐) dynasty and with 19 rhymes of .In addition, by inserting entering tones both into Yangshengyun(陽聲韻) and into Yinshengyun(陰聲韻), demonstrates the loss of entering tones .with the stop of /t/ or /k/ of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Futhermore, inserts some entering tones of written language both into Yangshengyunwei(陽聲韻尾) and Kaiyunwei(開韻尾), this implicitly suggests that some entering tones with the stops of /p/ or /k/ were ruled out of written language(讀書音). And the changes of entering tones in spoken language are related to tonal system of . In conclusion, enables us to establish Dengyunxue (等韻學) as a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pronunciation, and phonological system in demonstrates the origin of Old Mandarin. These findings have a historical implication for phonology that Jingo(近古) period of Chinese belongs to a period of which precedes that of .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