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중국의 경제개혁정책과 정치체제변화

Title
중국의 경제개혁정책과 정치체제변화
Other Titles
Chinese Economic Reform Policy and the Chang of Political System
Authors
김소연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Keywords
중국경제개혁정책정치체제변화Chines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hinese socialism', which has been embodied in the course of the re-evalu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Marxism for resolving practical problems in today's China, aims at the restoration of economy and the stabilization of political system by means of introducing capitalistic elements into socialist system. The Chinese leadership defined the present historical status of China as 'the Elementary State of Socialism' which requires the 'theory of socialist commodity economy' as its theoretical basis to carry out 'socialist market economy' in which state regulates the macro-economy and the market operates on the level of micro-economy. Contrasted with the collapse of the former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Europe, China can be estimated as a new developmental model for socialist system in long-term prospect because it has achieved high economic growth comparable to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s and positioned herself as one of major countries in international trade. Though it has passed through the repetitive process of accelerations and regulations brought by continual struggles between conflicting policies and the negative effects of economic growth, the reform and open-door policy during last two decades resulted in gradual reforms and growth in general.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economic outcomes of the reform and open-door policy of China which was started with the 3rd Plenum of 11th Central Commitee in 1978 and has been accompanied by changes in political system and analyze the political meanings and limitations of reforms in China. In addition, it is asked whether a stable system could be built up under the name of 'Chinese Socialism' in spite of the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economic reforms and the limited political reforms. Followings are the main points of this thesis. The reform leaders, including Deng Xiaoping, set the 'Four Modernization' of agriculture, industry, national defense and scientific technology as the national goal of China. They have started economic reforms from with agricultural sector and moved toward industrial sector. In this process, structural transformations in the ownership system have emerged while the gradual introduction of 'markets' of commodity, capital, labor and techniques has achieved 'socialist market economy', which puts and mixes the elements of capitalistic economy into socialist political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open foreign policy, which is to induce foreign capital and advanced technology to China,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for the sake of high economic growth. In practice, the Special Economic Zones have been established throughout favorably located east-coastal area, in which the experimental compound of capitalism and socialist political system has been set about and the effects of the consequential economic growth out of this fusion has been spread&. Encouraged by the successful results in this area, an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has been set up which connects five Special Economic Zones, coastal open cities, open economy districts and inland area with each other. Though it brought about the substantial growth of national economy despite many negative side-effects of the inflow of capitalism, in socio-political aspect, this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has damaged the egalitarian ideal of socialism and thus weakened the public trust in socialism itself by allowing extensive corruptions of bureauctrats. In addition, the demand of further political reforms for higher economic growth leads to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between the party and the government, and the vertical division of power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local governments. This decentralization has weakened the controlling power of the center; the private sector, which has grown from the outside of the state sector, has caused the divergence of social strata in Chinese society; the foundation of civil society is being built up on grass-roots level. On the other hand, the achievement of economic policy and the following changes in political system caused by the strong control of the state demonstrate the similarity between China and the East Asian Model in which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promotes the economic growth under the leadreship of authoritarian regime. This makes Chinese political system in the reform era characterized as "the Socialist Developmental Country" that has aspects of the capitalist developmental country based on Socialism. However, it is not easy to predict whether the political system of China could make a forward to democratic regime while maintaining stability hereafter, since the structure of political development in China has a different path from that of the East Asian Model which shows the course of "economic liberalization → economic growth →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on the other side, the resistance of power elites wh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olitical culture and the imperfect developmental status of the market operate as the factors that hinder the fundamental reform of China.;‘중국특색의 사회주의’는 오늘날 중국의 현실적 당면 문제 해결에 마르크스주의의 적실성을 재평가하면서 본격적으로 구체화되었으며, 사회주의체제에 자본주의적 요소를 도입함으로써 경제를 회생시키고, 정치체제의 안정을 도모하는 데에 목적을 둔 중국식 생존전략이 되고 있다. 중국은 現중국사회의 역사적 지위를 ‘社會主義初級段階’로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社會主義商品經濟論’을 경제논리로 이론화하였고, 국가가 거시적으로 조절하고, 시장이 미시적으로 작동하는 ‘社會主義市場經濟’를 공식적으로 표방하고 있다. 동구 및 구소련의 몰락과 대비되는 새로운 사회주의체제의 발전모델로 평가되고 있는 중국은 이제 ‘동아시아발전국가’에 비견될 만큼 고도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세계경제에서도 주요무역국가의 일원으로서 그 위상을 정립하고 있다. 등소평을 위시한 진보적 개혁세력들이 추진해 온 지난 20년간의 개혁·개방정책은 계속되는 노선투쟁과 성장의 부작용들로 인해 가속화와 조정을 반복하는 기복을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점진적 개혁과 성장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것은 장기적 전망에서 중국이 새로운 사회주의체제의 발전모델을 제시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마저 모으고 있다. 본 연구는 1978년 제11기 3중전회를 기점으로 시작한 중국의 개혁·개방정책의 경제적 성과가 어떠한 정치체제의 변화를 수반해왔는가를 검토해 보고, 중국개혁이 가지는 정치적 함의와 한계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또한 ‘중국특색의 사회주의’라는 명목 하에 계속되고 있는 제한된 정치구조개혁과 경제개혁의 편중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체제를 구축해 줄 수 있을 것인가 전망해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의 논의는 다음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등소평을 위시한 개혁지도부는 국가목표를 농업·공업·국방·과학기술의 ‘4개현대화’에 두고, 농업부문에서 시작하여 공업부문으로 경제개혁을 추진해왔다. 이 과정에서 소유제(ownership)의 구조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상품시장, 자본시장, 노동력시장, 기술시장이 점진적으로 도입됨으로써 사회주의정치체제에 자본주의경제의 효소가 혼합된 ‘사회주의시장경제(socialist market economy)’를 이루게 되었다. 한편, 외자도입 및 기술도입을 통한 경제의 고도성장을 이루기 위하여 대외개방정책을 활발히 전개해왔다. 그 일환으로서 입지조건이 유리한 동해안 지역에 ‘경제특구(Special Economic Zone)’를 설치하고, 이 지역에서 사회주의체제에 대한 자본주의요소의 도입을 실험함과 동시에 성장의 파급효과를 점차적으로 넓혀 왔다. 이에 따라 중국은 5개경제특구-연해개방도시-경제개방구-내륙으로 이어지는 경제발전전략을 수립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경제개혁은 고도성장이라는 긍정적 결과와 함께 평등주의의 이상이 훼손되고, 관료의 부정부패가 만연됨으로써 인민대중의 사회주의체제에 대한 신념의 위기를 가져오는 등 부정적 결과를 가져왔다. 이것은 중국의 정치체제 전반에 걸친 포괄적인 변화를 초래하였다. 당과 정부의 기능분화 그리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권한하방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분권화(decentralization)는 중앙의 통제력을 악화시켰다. 또한 사유화(privatization)와 시장화(marketization)의 진행에 따라 국가영역(state sector)의 외부에서 성장한 사적영역(private sector)은 중국사회의 계층분화를 초래했으며, 기층인민차원에서 시민사회(civil society) 형성의 토대가 되고 있다. 한편, 중국이 강력한 국가의 통제력을 바탕으로 추진하여 거두어 온 경제정책의 성과와 이에 따른 정치체제의 변화는 오늘날 ‘동아시아 발전모델(East Asian Model)’에서 보이는 권위주의 정권하의 경제성장이라는 ‘개발독재(development dictatorship)’와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개혁기의 변화된 중국의 정치체제를 사회주의 토양 위에 자본주의 발전국가의 양상을 보이는 ‘社會主義發展國家’로서 특징짓게 하고 있다. 그러나, 향후 중국의 정치 질서가 안정을 유지하면서 민주화로 나아갈 것인가를 전망하기란 쉽지 않다. 중국의 정치발전구조는 동아시아 모델이 보여준 ‘경제자유화→경제성장→정치적 민주화’의 경로와 구별되는 독특한 경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 정치문화의 특성과 국가권력의 상층부를 점하고 있는 권력엘리트들의 저항 및 불완전한 시장의 발달 상황이 중국의 개혁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