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유방촬영술상 밀집된 미세석회화의 조직 병리학적 위치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Title
유방촬영술상 밀집된 미세석회화의 조직 병리학적 위치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Mammographic clustered microcalcifications : correlation with histopathological locations
Authors
金和英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유방촬영술밀집미세석회화조직병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유방의 병변을 진단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중 유방촬영술은 일차적 선별검사로 중요한 검사방법중의 하나이다. 다양한 유방촬영술의 소견중 석회화는 종괴 등 다른 소견없이도 유방의 병변을 진단할 수 있는 중요한 소견으로 이는 유방의 병변이 석회화를 유발하는 특성때문이며 악성이나 양성등 병변의 특성에 따라 석회화의 모양이 다양하다는 것은 이미 보고되어 있다. 그리나 이 석회화 병변의 모양과 악성 및 양성에 따른 조직병리학적 위치와의 관계를 연구한 논문은 많지 않다. 이에 본연구는 유방촬영술상 보이는 미세석회화의 모양과 조직병리학적위치를 악성과 양성에 따라서 분류하고 이들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유방촬영술상 밀집된 미세석회화병변이 보여 수술 및 생검을 통해 확진된 84 예를 대상으로 악성 (33 예) 및 양성 (51 예) 따른 조직병리학적위치를 분석하고 그중 65 예에서 유방촬영술의 미세석회화의 모양과 조직병리학적 위치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양성병변에서 미세석회화의 조직병리학적 위치는 관강내가 45 %로 가장 많았고, 관강내와 간질내에 섞인 경우가 19 %, 간질이 12 %, 소엽이 10 %, 소엽과 간질에 섞인 경우가 4 %, 소엽과 관강내에 있는 경우가 2%의 순이었다.그리고 양성병변중 석회화가 유방촬영술상 보이나 조직병리학 검사에서 보이지 않는 경우가 4 예 있었다. 악성병변은 관강내에 있는 경우가 58 %로 가장 많았고 다음 관강내와 간질내에 공존하는 경우가 24%이었으며, 간질이 6 %, 소엽에 있는 경우가 3 % 였다. 이중 종양세포가 없는 곳에서 미세석회화가 공존하는 경우가 9 % 였다. 유방촬영술상 보인 미세석회화는 점상, 선상, 가지상으로 나누고 이를 조직병리학적위치와 비교하였을 때 점상 혹은 선상등 미세석회화의 모양에 따른 조직병리학적 위치의 차이가 없이 악성에서는 주로 관강내에 위치하고 양성에서는 관강, 소엽 및 간질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악성병변일 경우 관강과 간질에 석회화가 편재된 것을 알 수 있고 양성일 경우 관강, 소엽, 간질내에 고루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Clustered microcalcifications on mammography are considered to important finding in the diagnosis of the breast pathology, especially in the early stage of breast cancer without evidence of other findings such as mass density. We analyze the pathologic location of the microcalcification in total 84 cases which are pathologically diagnosed as benign or malignancy by operation or biopsy and correlated between the shape of the microcalcifications and patholgic locations in 65 ca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patholgic locations of the microcalcification were classified into intraductal, stroma, and lobule.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intraductal irrespective of benignicy and malignancy. The stroma and lobule were next in order. The distribution of the microcalcifications was different between the benign an malignant disease such as the microcalcifications in the malignant disease were mostly located in the intraductal location(58%) but those in the benign disease were variable Locations as intraductal (45%), stroma (12%), lobule (10%) or mixed (33%). However, there was no stastical significance between pathologic diagnosis arid pathologic locations (p = 0.191) 2. As the shape of the microcalcification on mammography was classified into granular, linear and branching patters. The granular pattern was most common in 53 % of all cases, linear pattern in 32% pattern of the linear and branching which was present only in malignancy in 15%. The shape of microcalcifications was not correlated with the pathologic locations (p>0.05). 3. Among 33 cases of malignant disease, thee cases (9%) represented microcalcifications that were located in the non - tumorous region without malignant cell. We concluded that the most common site of the microcalcifications on mammography was within duct in malignancies and somewhat variable location in benign lesions. This result support the basic concept that most malignant lesions are arising in the duct, but benign lesion is variable si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hape and pathologic location of the microcalcifications was no stastical significance.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predict the location from the shape of the microcalcification on mammography of our results. The microcalcifications in the area of non-tuomorous region of the malignant lesions should be considered the extent of the resection at ope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