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0 Download: 0

루카치의 物象化理論에 대한 一考察

Title
루카치의 物象化理論에 대한 一考察
Other Titles
(A) study of Lukacs' Theory of reification
Authors
李惠媛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루카치물상화이론철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필자는 본 논문에서 루카치의 物象化 이론에 대하여 고찰하고자한다. 필자는 物象化이론의 발전양상을 기술함으로써, 변증법적 사회이론을 정식화하려는 그의 체계적 시도를 明示하고자 한다. 그의 物象化이론은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루카치는 자신의 物象化이론을 전개하기에 앞서 마르크스의 '상품에 대한 物神崇拜'에 입각하여 物象化의 개념을 도출해 낸다. 그에게 있어서 物象化란 i) 그것을 발생시키는 인간활동과는 무관하게 物象化가 하나의 객관성을 확보한다는 것과 ii) 생산과정에서의 인간관계를 物的 관계로 만드는 '경제적인 것'이 자율성을 갖는다는 측면을 지닌다. 그리하여 物象化란 '物性'이라고 하는 특징이 객관적 실재의 척도로서 등장하는 것을 말하며, 그것(물상화)은 소외과정에서의 하나의 계기를 이루는 것이다. 루카치는 현실세계의 곳곳에서 이러한 物象化 현상의 보편적 침투를 본다. 그는 物象化현상을 자본주의사회의 고유한 산물로 규정하며, 자본주의사회 전국면에 걸쳐서 나타나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그는 物象化현상의 대표적 전형을 자본주의적 시장 체계내에서 모든 인간관계가 상품관계로 대치되는 것에서 발견한다. 그러나 物象化의 현상은 경제분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행정, 법률, 근대과학 그리고 심지어 일상생활에까지 확장된다. 그 결과, 도처에서 보이는 것은 인간의 원자화, 고립화이며, 그러한 현상을 변화될 수 없고 영구한 것으로서 받아들이는 수동적·정관적 자세이다. 루카치는 이러한 物象化현상의 동결된 직접성을 극복할 수 있는 '객관적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그 자신의 노력을 경주한다. 그에게 있어서 物象化현상의 극복은 현실세계의 역동성을 파악할 수 있는 주체를 통하여 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 루카치는 그러한 주체를 프로레타리아에게서 발견한다. 이것은 프로레타리아가 필연적으로 '상품의 자기의식'을 지니게 된다는 것에 근거해서, 루카치가 프로레타리아의 자기인식과정과 대상의 객관적 구조를 인식하는 과정을 동일한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프로레타리아는 계급의식을 지닐 객관적 가능성을 지닌 주체로 부상한다. 그리하여 이 주체가 자신의 객관적 상황을 이론적으로 점차로 파악하고 그러한 상황을 타기하려는 실천을 향해서 定向되는 이론과 실천의 변증법적 교호관계 속에서, 점차로 자본주의사회의 총체적 발전에 있어서의 그 내재적 모순의 의미를 인식하고 부단히 그 物象化된 존재구조를 타기하려고 노력하는 가운데 物象化의 현상은 극복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 소외되고 사물화된 자본주의적 인간관계는 순수한 인간관계로 지양·발전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루카치의 물상화이론의 전개에 있어서 몇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그가 '주체성'에 대해 과도하게 강조함으로써 자본주의사회에서의 허위의식의 문제를 '주체성의 축소'로 환원시키는 데서 따르는 문제점을 들 수 있으며, 둘째 상품의 자기의식에서 나오는 최소한의 소외의식이 어떻게 프로레타리아의 자기의식 (계급의식)으로 고양될 수 있는지가 분명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세째, 프로레타리아의 정치적 의식의 각성과정과 현실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게 하는 매개항이 분명히 나타나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필자의 주목적이 루카치의 물상화이론에 대한 이해와 설명에 두어졌기 때문에, 루카치의 물상화이론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발전시키거나 또는 루카치적 입장에서 그에 대한 비판에 대한 재답변을 시도해 보지 못하였다.;In this paper, I intend to examine Luka'cs' theory of reification. In order to explicate his systematic formulation of the dialectical social theory, I try to describe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reification. Before Luka'cs develops his theory of reification, he deduces a concept of reification which is based on Marx's notion of 'the fetishism of commodities'. In him, reification has two aspects : (ⅰ) reification ensures an objectivity regard-less of human activity which causes it, and (ⅱ) 'the economic character', that reduces a relation between people into a relation between things, has an autonomy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This reificat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thing-hood that manifests objective reality, and becomes a moment in the process of alienation. What Luka′cs saw in a real world was a universal pervasion of the phenomenon of reification. In his theory of reification, he defines this phenomenon of reification as the product of capitalist society itself, and regards it as a phenomenon of capitalist society in all its aspects. The typical pattern of reification that Luka′cs finds in a capitalist market system is the replacement of all human relations with the commodity relation. However the phenomenon of re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conomic range, but it expands to administration, laws, modern sciences, and even to everyday life. As the result, what appears everywhere is the atomization and isolation of men from each other, and their passive, contemplative attitude which accepts this phenomenon as an immovable and persistent. Luka′cs exerts himself to investigate the objective possibility of the subject who is able to subjugate the immediacy of reification. In him, the subjugation of reification is possible by the subject who is able to grasp the dynamics of the real world. And Luka′cs finds such a subject in the Proletariat, because the process of self-consciousness for this subject means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structure of objective reality. So, when this subject grasps and accomplishes the totality in the dialectically reciprocal relation of theory and practice, his objective situation gradually will change so as to make the alienated and reified capitalistic human relation develops into a sublated, pure human relation. But Luka′cs' theory of reification, as explicated here, maybe subjected to criticisms: first, he emphasizes the subjectivity so excessively that he seems to the false consciousness in the capitalist society reduces into the 'reduction of subjectivity', second, it is not clear that how the self-conscious-ness of commodity (minimal consciousness of alienation) can be elevated to the class-consciousness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proletariat), and third, it is not clear what the mediation is, from which the process of political awareness in the proletariat could be identified with the objective recognition of the reality. However, in this paper, my main objective is to explicate Luka′cs' theory of reification so that I did not try to develop the critical points on Luka′cs' theory, nor the Luka′csian answer on these criticis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