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9 Download: 0

소아의 과도기적 대상 (Transitional object)에 관한 연구

Title
소아의 과도기적 대상 (Transitional object)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Transitional objects in children
Authors
鄭芝娥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소아과도기적 현상의학과도기적 대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very individual is composed of not only an internal and external reality, but a third aspects as well, and this third part is described as an intermediate area of experiencing, to which inner reality and external life both contribute and "transitional phenomena". It is the use of caressing activity, a tune, a word, sound and objects that are not part of the infant's body, yet are not fully recognized as belonging to external reality. Transitional object, that is used during transitional phenomena, is displayed by babies in their use of the first Not-Me possession, weaved by infant other-than-me objects into their personal pattern. The pattern of transitional phenomena begins to show at about 4-12 month of age, persists into childhood and is necessary at bed-time, time of loneliness or a depressed mood. Transitional object is influenced by many factors. This study enrolled 206 infants, aged from 2 to 8 years, at the clinic of department of pediatrics of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par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cidence of the transitional object The incidence of the transitional object was 49.5%. 2. Factors influencing the incidence of the transitional object a. Demographic facto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ge, sex, parent's age,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between group of infants with transitional object and without. b. Socioeconomic facto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ather's education between two groups. The number of college-educated father was 56.9% in infants with transitional object and 76.9% in infants without transitional object(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mother's education, occupation of mother, family income and family shape. c. Feeding factors In infants with transitional object, the incidence of breast feeding was 6.9%, bottle feeding 57.8%, mixed feeding 35.3% and in infants without transitional object, breast feeding was 18.3%, bottle feeding 39.4%, mixed feeding 42.3%. In breast-fed infants, transitional objects were fewer than bottle-fed infants(p<0.05). The length of breast feeding was 2.2±4.31 months in the group of infants with transitional object, and 3.8±6.91 months in the group of infants without transitional object(p<0.05). d. Baby care fact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by care factors(major caretaker, time with mother in a day, cosleeping) between two groups. 3. Kinds of the transitional object The kinds of the transitional objects were, in order of frequency, blanket or towel 30.4%, pillow 23.5%, toy 16.7%, pacifier 10.8%, teddy 6.9%, doll 5.9%, clothes 2.9% and others 2.9%. 4. Onset age of the transitional object The onset ages of the transitional object were 0.5 - 1 year of age in 31.4%, 1 - 1.5 years in 30.4%, 1.5 - 2 years in 20.6%, more than 2 years in 17.6%. 5. Time & frequency per day to find the transitional object The time to find the transitional object in a day was at sleeping, playing, loneliness, crying, going outdoor, presence of stranger, anger and others. The frequencies to find the transitional object in a day were 3 - 5 times per day 32.4%, 1 - 2 per day 29.4%, more than 10 per day 13.7%, 6 - 10 per day 7.8%, nearly always 7.8% and unknown 8.8%. 6. Attitudes and opinions of their parents to the transitional object Most of parents approved transitional object (83.3%). The opinions of their parents towards transitional object were "one stage of development" 43.4%, "emotional stability" 41.2%. "deficiency of mothering" 3.9%, "emotional instability" 1.0%, others 2.9% and unknown 7.8%. 7. Incidence of attachment of behavior and person The incidence of attachment behavio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 of infants with transitional object and without. Infants with transitional objects were more attached to their mother or grandmother than infants without transitional object(p<0.05). In conclusion, the overall incidence of transitional object was high in Korea(49.5%). In infants with transitional object, the number of breast-fed infants was fewer than infants without transitional object, the length of breast feeding was shorter, the attachment for person was stronger. In relation to breast-feeding, physical contact with mother seemed to be important in transitional object, and transitional object can be considered as substitutes of mother. The transitional objects interfered in separation-individualization, and the infants with transitional objects needed more mothering than infants without transitional object.;개인은 내적, 외적 현실감뿐만 아니라 제 3의 면모를 지닌다고 하였고, 제 3의 면모는 내적 현실감과 외적 생활에 기여하는 경험의 중간 영역이며 이것을 과도기적 현상(transitional phenomena)이라고 하였다. 즉, 외적 현실에 속해 있다는 것을 완전히 깨닫지 못하고 자기 몸의 한 부분이 아닌 물건이나 달래주는 행동, 곡조, 말, 소리를 사용하는 현상으로 이때 사용하는 물건이 과도기적 대상(transitional object)이다. 처음으로 나 이외의 소유물(Not-Me possession)을 개인적인 영역내로 끌어들이는 것으로 주로 잠잘 때, 혼자 있거나 우울할 때 나타나며, 4-12개월의 개인차를 두고 다양하게 시작되어 지속된 후 점차적으로 포기하는데, 여러 인자들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1998년 3월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동대문병원과 목동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2-8세 환아 20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과도기적 대상의 빈도, 영향요소, 종류와 시기 및 기능 등을 조사하였다. 1. 과도기적 대상의 빈도 과도기적 대상이 있는 군은 206례 중 49.5%(102례)였고 과도기적 대상이 없는 군은 50.5%(104례)였다. 2. 과도기적 대상의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가. 인구학적 요소 나이, 성별, 부모의 나이, 재태기간, 출생시 체중은 과도기적 대상이 있는 군과 없는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나. 사회경제적 요소 과도기적 대상이 있는 군에서 아빠가 대졸인 경우가 56.9%(58례)였고, 과도기적 대상이 없는 군은 76.9%(80례)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엄마의 교육정도, 엄마의 직업 유무, 가족 월수입 및 결손 가정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다. 수유와 이유 요소 과도기적 대상이 있는 군은 모유수유 6.9%(7례), 분유수유 57.9%(59례), 혼합수유 35.3%(41례), 혼합수유 42.3%(44례)로 모유수유에서 과도기적 대상이 적었다(p<0.05). 모유수유 기간은 과도기적 대상이 있는 군 2.2±4.31 개월, 없는 군 3.8±6.19 개월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규칙적인 수유와 요구시 수유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이유식 시작시기도 영향이 없었다. 라. 육아 요소 아이를 돌보는 사람, 하루중 엄마와 같이 있는 시간, 한방에서 같이 자는 사람은 과도기적 대상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과도기적 대상의 종류 과도기적 대상의 종류는 담요나 수건이 30.4%(31례)로 가장 많았고 베개 23.5%(24례), 장난감 16.7%(17례), 놀이용 젖꼭지 10.8%(11례), 곰인형 6.9%(7례), 인형 5.9%(6례), 옷이나 옷조각 2.9%(3례)였으며 숟가락, 각티슈, 책이 각 1례였다. 4. 과도기적 대상의 시작 시기 과도기적 대상의 시작시기는 생후 6개월에서 1세 31.4%(32례), 1세에서 1년 6개월 30.4%(31례), 1년 6개월에서 2세 20.6%(21례), 2세 이상이 17.6%(18례)였다. 5. 과도기적 대상을 찾는 때와 횟수 하루중 과도기적 대상을 주로 찾는 때는 잘 때, 기분좋게 놀 때, 혼자 있을 때, 울 때, 꾸중을 듣고 난 뒤, 외출시, 낯선 사람을 대할 때, 화날 때, 기타의 순이었다. 과도기적 대상을 찾는 빈도는 하루 .3-5회 32.4%(33례), 1-2회 29.4%(30례), 10회 이상 13.7%(14례), 6-10회 7.8%(8례), 거의 하루종일 7.8%(8례), 무답 8.8%(9례)였다. 6. 과도기적 대상에 대한 부모의 태도와 생각 과도기적 대상에 대한 보호자의 태도는 인정한다가 대부분이었다(85례, 83.3%). 과도기적 대상에 대한 보호자의 생각은 하나의 성장과정 43.1%(44례), 정서적인 안정을 줌 41.2%(42례), 모성부족 3.9%(4례), 정서적인 불안정을 줌 1.0%(1례), 기타 2.9%(3례), 무답 7.8%(8례)로 나타났다. 7. 행동 애착, 사람 애착의 빈도 과도기적 대상이 있는 군에서 손가락빨기나 엄마젖만지기 등의 특별한 반복행동이 더 있지는 않았다. 과도기적 대상이 있는 군에서 엄마나 할머니에 대한 애착이 있는 경우 55.9%(57례), 없는 경우 29.4%(30례)로, 과도기적 대상이 없는 군의 34.6%(36례), 38.5%(40례)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과도기적 대상아의 빈도는 49.5%로 높았다. 과도기적 대상을 가진 군에서 모유수유가 적었고 모유수유 기간이 짧았으며, 할머니나 엄마에 대한 애착이 더 강하였다. 이는 분유수유 등 수유 방법의 변화로 엄마와의 신체적 접촉이 적어진 아이에서 엄마의 대체물로 과도기적 대상을 선택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과도기적 대상이 엄마와의 분리화를 저해시켜, 그만큼 더 엄마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