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5 Download: 0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정좌불능증과 혈청 철분에 관한 연구

Title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정좌불능증과 혈청 철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for Serum Iron Level in Neuroleptic Induced Akathisia
Authors
조은희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항정신병 약물정좌불능증혈청 철분의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Neuroleptic induced akathisia is an unusal state of subjective feeling of tension to move and objective motor restlessness, so frequently results in non-compliance.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akathisia is associated with low serum iron but there is no general agreement nowadays. Author investigated whether akathisic patients had lower indices of serum iron status than matched non-akathisic controls by 2 weeks-prospective study. The subjects were 30 inpatients who were receiving antipsychotic medication. Akathisia seventy was measured by Chouinard rating scale, then 15 akathisic patients were matched with 15 non-akathisic controls for age, sex, lengh of illness, duration of treatment, the highest dosage of antipsychotic medication, and use of antiparkinsonian agents. The frequency of acute dystonia and AIMS for other extrapyramidal side effects were examed, also. Venous blood samples of all subjects were analysed for serum Fe, ferritin, TIBC on the lst, 7th, and 14th medication d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sex, mean ag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ength of illness, duration of treatment, the kinds and mean dosage of neuroleptic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akathisia and the control group(p > 0.05). 2. The akathisic patients ha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serum Fe than the control on 14th day(p < 0.05), but no significant decrease during the 2 weeks follow-up(p > 0.05). 3. The frequency of acute dystonia, and anticholinergic medication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p > 0.05), but AIMS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kathisia group(p < 0.05). In conclusion, neuroleptic induced akathisia may be related to the low serum Fe. So, this study supports that low serum iron, via doparnine (D2) receptor hypofunction, increases the susceptibility to akathisia on antipsychotic medication.;항정신병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정좌불능증은 운동성 초조를 보이는 주관적이면서 객관적인 이상상태로(Soni등, 1993) 적절히 조절되지 않으면 약물 치료의 순응도를 떨어뜨리는(Raskin, 1972; Van Putten, 1974) 약물부작용이다. 혈청 철분 농도 저하가 정좌불능증과 연관이 있다고(Brown등, 1987; Barton 등, 1990; Sachdev와 Kruk, 1994)하였으나 일치되는 결과는 아니다. 저자는 혈청 철분 농도와 정좌불능증이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2주일간의 전향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본원에 입원하여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30명이었다. 모든 대상자에서 정좌불능증의 정도를 Chouinard rating scale(Chouinard등, 1980)로 측정하여 2점을 기준으로 정좌불능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이들에서 성별, 나이, 이병기간, 입원전 치료기간을 조사하였고 투여되는 항정신병 약물의 종류와 용량을 chlorpromazine 등가량으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추체외로계 부작용의 정도를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이하 AIMS) (Rockville, 1976)로 구하였고, 급성 긴장이상반응의 빈도와 부가약물의 유무도 비교해 보았다. 또한 투약 제 1일, 7일, 14일째에 정맥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Fe, ferritin, TIBC 농도를 측정하여서 혈청 철분에 대한 두 집단간의 차이와 시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였다.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좌불능증의 소인이 되는 요소를 알아보기 위한 성별과 나이, 이병기간과 입원전 투약 및 치료기간, 그리고 투여된 항정신병 약물의 종류와 최고 용량은 모두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2. 제 1일, 7일, 14일에 측정된 혈청 Fe, ferritin, TIBC 농도중 14일째의 혈청 Fe 농도는 대조군(120.4 ±49.30 ㎍/㎗)에 비해 정좌불능군 (79.5±29.53 ㎍/㎗)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 < 0.05). 그러나 약물 투여후 시간 경과에 따른 혈청 철분 농도의 변화는 정좌불능군 및 두 집단 사이에서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p > 0.05). 3.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추체외로계 부작용중 급성 긴장이상반응의 빈도 및 치료를 위한 항콜린성 약물 투여 여부는 두 집단에서 차이가 없었으나(p > 0.05), AIMS 점수는 대조군(3.24±2.22)보다 정좌불능군(8.81±3.27)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 < 0.05). 결론적으로 2주간의 전향적 관찰 방법으로 시행된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항정신병 약물 투여후 나타나는 급성 정좌불능증은 상대적으로 낮은 혈액내 Fe 농도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급성 정좌불능증의 병태생리에 관련하여 두뇌 철(Fe)이 도파민 수용체에 관여하며 결국 정좌불능증의 발현 기전에 영향을 미치는 한 요소라고 추론할 수 있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