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5 Download: 0

미군정기 귀속농지 불하의 정치적 성격에 관한 연구

Title
미군정기 귀속농지 불하의 정치적 성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posal of Japanese Vested Land under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Authors
김한샘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Keywords
미군정기귀속농지불하정치적성격경상북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미군정 시기에 행해졌던 귀속농지 불하를 놓고 벌어진 여러 정치세력의 입장과 귀속농지 불하의 진행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해방이후 한국의 정치세력판도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남한을 점령한 미국은 극동아시아의 안정된 정치정세를 위하여 남한이 자본주의 반공국가로 건설되기를 바랐다. 해방이후 우파보다 앞서 정치조직을 건설하는 등 좌익의 활동에 불안을 느꼈던 미국은 혁명예방조치의 하나로 농지개혁을 고려하게 되었다. 농가인구의 70%를 소작농이 차지하던 상황에서 국내 여러 세력들도 농지개혁 실시를 통해 정권을 장악하려는 의도를 지녔으므로 어떠한 형태와 입장으로든 농지개혁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국내 정치세력은 농지개혁 시행시기를 자신들이 정권을 장악하고 개혁을 주도할 수 있는 한국정부 수립이후로 원하였으므로, 1946년 3월 북한지역의 토지개혁으로 인하여 북한점령군 소련과 비교하여 농지개혁 실시의지에 대한 비난을 받게 되었을 뿐 아니라 같은 해 10월 전국을 범위로 발생한 농민소요에서 정치적 불안정을 경험한 미군정의 신속한 그러나 자발적인 농지개혁 시행요구와 대립하고 있었다. 좌우합작과 과도입법의원에서의 농지개혁법 제정의 실패를 통하여 한국인의 자발적 합의에 의한 개혁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한 미군정은 한국정부 수립을 위한 선거를 앞두고 선거전에서의 우파승리라는 목적을 위해 농지개혁을 늦출 수 없다고 판단하여 귀속농지만이라도 단독 불하하게 되었다. 귀속농지는 한국인 지주소유토지인 분배농지(일반농지)와는 구별되는, 식민지 시기 동척의 토지와 일본인 개인 및 법인소유토지를 일컫는 것으로 점령국인 미국에 귀속되었다. 미국은 귀속농지를 포함한 귀속재산에 대해 장차 한국인의 소유가 될 것이지만 지금 당장은 미국이 소유권자로서 처분권도 가진다고 보았다. 농지개혁 시행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 속에서 선거전략으로서의 모종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본 미군정은 분배농지개혁을 이끌어내면서 미국의 권한 범위에서 시행할 수 있는 정책으로 미국이 처분권을 가진 귀속농지를 불하하였다. 미군정의 조치는 소작농에게 토지를 주어 자작농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불만을 잠재우려했다는 점에서 타당성을 지녔다. 10월 소요의 중심지였던 경상북도의 달성군과 문경군의 비교사례연구에서 확인되듯이 해방이후 좌익의 활동이 활발하고 1946년 10월 전국에서 발생한 농민소요가 강도 높게 일어났던 곳은 농가인구 중 소작농 비율이 높은 지역이었기 때문이다. 소작농 비율이 높고 그 중에서도 분배농지 소작농과 자작 겸 소작농계층이 두터운 달성군은 소요의 중심지로 기능하면서 격렬한 시위를 보여주었고 자작농과 귀속농지 소작농이 많았던 문경군에서는 소요의 강도가 매우 미약했다. 이처럼 소요의 중심역할을 했던 소작농계층은 지주-소작관계의 제약을 많이 받은 순소작농보다는 불만 표출에 대한 제약에서 자유로웠던 자작 겸 소작농계층으로 나타났다. 농민이 소요에 가담하는 등 자신들의 요구를 드러내어 표현하려면 외부로부터의 제약의 부재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미군정기 중요한 농민통제기구였던 신한공사 관리 아래의 귀속농지 소작농이 많이 문경군에서 소요의 강도가 미약했다는 점으로 입증되었다. 정치세력화하지 못하고 있던 농민은 미군정에 의해 수동적으로 귀속농지를 불하받음으로써 한국 정치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기회를 잃게 되었다. 좌파는 초기의 조직적 우세와 지지를 무모한 소요로 소모하고 몰락하였다. 지주 중심의 우파세력은 귀속농지에 이어 분배농지개혁이 실시되기까지 자신들의 이해의 보존과 확장에 급급하여 정치 주도권 장악에 실패하였다. 한편 이승만을 중심으로 한 우파는 지주대신 귀속기업체 관리인을 자본가 계층으로 육성시키면서 지배계층으로 부상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군정이 행한 귀속농지 불하의 실질적 내용이 분배농지개혁법의 적용을 받으며 수정되었고 농지개혁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 행사는 수포로 돌아갔다. 이처럼 귀속농지와 분배농지에 대한 개혁 논의에서 해방이후 여러 정치세력의 명멸을 볼 수 있다.;This study analyzes the interests of various political forces concerning the disposal of Japanese vested land under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MG) and the proceed of disposal. Furthermore, the study purports to uncover the effects of the disposal of Japanese vested land on the distribution of political power during the period following the liberalization of Korea from Japanese rul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eld a strong interest in the Korean peninsula following World War Ⅱ, since it had designs to turn South Korea into a the frontlines of anti-communism and capitalism in the Northeast Asian area for the sake of global political balance and stability in the region. Following the liberalization of Korea from under Japanese rule, the political forces of the far left were quicker in action, carrying out the initia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such. As a means of deterring a revolution, the AMC began considering land reform. Korean political forces also showed a keen interest in land reform of any sort, since farmland tenants were a vast majority of the voting population during that perio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a successful land reform would mean authentic political power. The political forces present during the AMG had opted for land reform under a newly established Korean government, under which they would have power t o control the reform. They wanted to delay the reform. therefore, had confronted with the AMG. AMG was criticized for its delay since North Korea and the Russians had decided that land reform should take place in March 1946. The nation soon entered into turmoil as the agricultural population revolted in October 1946. The political forces of the South were pressed by not only the people but the AMG which wished to carry out swift but autocratic land reform. At this time, the Confederation of the Left and the Right and the Assembly on the term came together to initiate land reform, however, failed to reach consensus. The AMG had concluded from this incident that autocratic reform could not be realized and initiated the disposal of Japanese vested land before the elections as a means of campaigning for the political Right. Japanese vested land is defined apart from the Korean nationals- owned land, land owned by Japanese nationals and corporations and the Oriental Development company under Japanese rule for which ownership was turned over to the AMG upon liberalization. The AMC concluded that as holder of the property and land, it also reserved the right of disposal. As a result, the AMC exercised the right of disposal on the property disposing of Japanese vested land as a part of a political strategy to elect an anti-communist government. The AMG ' s disposal of Japanese vested land was well justified in that it aimed to distribution the land to tenants. The Kyunsang Buk Do area, in which the October revolt found its focal point, showed a high proportion of tenants among its agricultural populatipn. The revolt was most active and widespread in Dal Sung Gun, an area in which tenants rented from Korean landlords and Part-owner, part-tenants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In Moon Kyung Gun, an area in which the proportion of Owner-farmers and tenants of japanese vested land was high, the revolt had been weakest. Among the tenant class, the Part-owner. part-tenant class had relatively more freedom to express their displeasure against the current system, whereas the Full tenants were more strictly bound by their status. The absence of outside control is an integral part of the participation of the tenant class. Since Moon Kyung Gun, the area which showed the least participation in the revolt, had been the epicenter of the New Korea Company, an establishment under the AMG controlling tanants of Japanese vested land. The Tenants which received land through the AMG's disposal of Japanese vested land had been rendered politically passive. The Left had collapsed under the exhaustion of the revolt also losing its political position early on. The landlords formed the majority of the Right had been concentrating their efforts on preserving their interests since they were alarmed by the disposal of japanese vested land. On the other hand, the Right centered around Rhee Seung Man rose to power as it had focused on the capitalists which was mostly management of the vested enterprises. The ABG's disposal of Japanese vested land had been challenged by the newly implemented land reform concerning, Korean landlords-owned land, relieving AMG of political influence. The land reform of Korea including the disposal of the Japanese vested land had formed the political forces which would lead Korea for the following decad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