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임신성 융모 종양의 Immunoperoxidase 방법에 의한 HCG, HPL 및 SP-1의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Title
임신성 융모 종양의 Immunoperoxidase 방법에 의한 HCG, HPL 및 SP-1의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Other Titles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LOCALIZATION AND INTENSITY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UMAN PLACENTAL LACTOGEN AND PREGNANCY SPECIFIC NEOPLASMS BY IMMUNOPEROXIDASE METHOD
Authors
정미경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임신성융모 종양ImmunoperoxidaseHCG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Human placental lactogen(HPL) 및 Pregnancy specific β-1 glycoprotein(SP-1)은 태반의 영양아세포에서 생성·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정상임신 뿐아니라 임신성 융모 종양같은 영양아세포의 이상증식을 보이는 질환에서 혈중농도가 증가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 임신성 융모 종양의 악성정도와 이들 호르몬의 혈중 내지는 조직내 농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임신성 융모 종양에서 HCG, HPL 및 SP- 1의 분포양상과 영양아세포의 분화·증식정도에 따른 양성반응정도를 면역조직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 관찰하여, 임신성 융모 종양과 HCG, HPL 및 SP-1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1981년 1월부터 1986년 12월까지 6년간 이화대학병원 병리과에 의뢰되어 포상기태, 침입성기태 및 융모상피암으로 진단받았던 총 163예중 전형적인 형태학적 소견을 보였던 46예와 정상임신 5예를 대조군으로 하여, immunoperoxidase염색방법에 의한 조직내의 HCG, HPL 및 SP-1의 분포와 양성반응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CG는 주로 합포체성 영양아세포에서 양성반응, 세포성 영양아세포에서는 음성반응을 보였으나. 침입성기태와 융모상피암의 경우는 세포성 영양아세포에서도 양성반응을 보였다. 2. HPL과 SP-1은 모두 합포체성 영양아세포에서만 양성반응을 보였다. 3. HCG의 합포체성 영양아세포의 양성반응정도는 악성도가 높은 융모성질환일수록 증가되었다. 특히, 융모상피암에서 고도의 양성반응을 보였다. 4. HPL의 합포체성 영양아세포의 양성반응정도는 침입성기태까지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다가 융모상피암에서는 다양하게 양성 내지는 음성 반응을 보였다. 5. SP-1의 합포체성 영양아세포의 양성반응정도는 gradeⅡ 포상기태까지는 증가하다가 그후는 오히려 감소 혹은 다양한 변화를 보여 주었다. 이상의 연구성적을 종합하여 보면, HCG, HPL 및 SP-1 모두 주로 합포체성 영양아세포에서 합성 분비되며 HCG가 가장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고, 악성농도가 높아질수록 HCG 양성반응정도가 증가되었다. 또한 HPL은 침입성기태까지는 점점 증가되는 양성반응을 보이다가 융모상피암에서는 다양한 변화를 보였고, SP-1은 gradeⅡ 포상기태까지는 증가되는 양성반응을 보이다가 그후는 감소 혹은 다양한 변화를 보였다. 이것으로 HCG가 합포체성 영양아세포의 양성반응정도로써 임신성 융모 종양 예후판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Fourty-six cases of gestational trophoblastic neoplasms (32 cases of hydatidiform mole; 4 cases of invasive mole; 10 cases of choriocarcinoma) and five cases of normal pregnancy as control group were studied for the distribution and intensity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human placental lactogen (HPL) and pregnancy specific beta-1 glycoprorein (SP-1) by immunoperoxidase metho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HCG was seen in the syncytiotrophoblasts, but not cytotrophoblasts of normal placental tissue and hydatidiform mole in all 3 grades. However, in the invasive mole and choriocarcinoma, the HCG was also seen in the cytotrophoblasts. 2. The HPL and SP-1 were only seen in the syncytiotrophoblasts in all those trophoblastic neoplasms. 3. The more malignancy was progressed, the more intensity of the HCG in the syncytiotrophoblasts was increased. Especially, it was severe intensity of positivity in the choriocarcinoma. 4. Intensity of the HPL in the syncytiotrophoblast had the tendency of increase in the invasive mole. But, it was variable in the choriocarcinoma. 5. Intensity of the SP-1 in the syncytiotrophoblast had the tendency of increase in the grade Ⅱ of hydatidiform mole. But, thereafter, it was decreased or variable in more aggressive trophoblastic neoplasms. In conclusion, the HCG, HPL and SP-1 were present in the syncytiotrophoblasts of normal placental tissue and various trophoblastic neoplasms. And, the more severe hyperplasia and undifferentiation of trophoblasts were seen, the more intensity of the HCG was increased, suggesting that the HCG can be a useful tumor marker of prognosis in gestational trophoblastic neoplas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