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장소 특정적 공공미술로서의 위치기반 미디어 예술(Locative Media Art)연구

Title
장소 특정적 공공미술로서의 위치기반 미디어 예술(Locative Media Art)연구
Other Titles
Study on locative media art as site-specific public art
Authors
우숙영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호
Abstract
도시의 거대화와 정보통신 기기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 이에 따른시간과 공간의 개념 재조직화와 도시의 질적인 변화들은, 우리로하여금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를 단순한 공간적인 개념이 아닌 유기적인 존재로 파악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시를 배경으로한 '공공미술(Public Art)'은 그 모습을 끊임 없이 변화시켜 가며 존재의 이유를 찾으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고 있으며, 최근에는 간을 채워야 할 대상이 아닌 사람과 사람이 서로 어울러지는 현장성의 공간으로 파악하는 장소 특정적 공공미술(Site-Specific Public Art)의 개념을 제시, 유기체적인 도시공간 자체를 작품의 의미와 형식의 주요 속성으로 활용하며 도시의 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핸드폰과 무선 네트워크, 위치기반 기술 등 새롭게 등장한 기술들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유비쿼터스(Ubiqitous)라는 신조어를 낳으며 인간 삶의 모습들을 변화 시켜 가고 있으며, 예술계에서도 이러한 기술과 미디어를 이용한 위치기반 미디어 예술(Locative Media Art)작품들이 증가하고 있다. 위치기반 미디어 작품들은 도시와 밀접관 관계를 가지고, 도시에 대한 이야기와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풀어간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도시의 질적인 문제들, 그 중에서도 특히 장소성의 상실과 공공 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부재를 해결 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술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발달로 점차 늘어 나고 있는 예술 작품의 흐름 중 하나인 위치기반 미디어예술(Locative Media Art)이 도시 공간 안에서 공공미술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위해 도시를 주요 배경으로 진행되는 '공공미술(Public Art)'의 개념변화에 관한 조사와 위치기반 미디어 예술(Locative Media Art)의 정의와 유형을 분류하는 작업을 선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위치기반 예술이 최근에 나타난 '장소 특정적 공공미술'의 특징을 가지고 도시 안에서 사람들에게 공공미술의 한 형태로 도시의 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부산 중구의 광복로를 대상으로 위치기반 미디어 작품인 프로젝트를 제안해 보았다. 본 논문은 아직은 초기 단계에 있어 그 개념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위치기반 미디어 예술을 정의하고, 유형을 분류하고, 도시공간 안에서의 역할을 탐구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단순히 이론적인 연구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공간을 대상으로 장소성의 회복과 커뮤니케이션의 부재를 해결할 수 있는 작품을 제안해 보았다는데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The enlargement of a cit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technology, the reorganization of a concept of time and space, and the qualitative changes of a city pursuant to such development enable us to understand a city where we are living not as a simple spatial concept but as an organic substance. In the meantime, ‘public art’ has continuously changed its form and striven to seek out the reason of existence against the backdrop of a city, and recently, public art has proposed a concept of site-specific art that views a space not as a space to be filled, but as a space of field where humans associate with each other, and is moving to solve qualitative problems of a city while utilizing an organic urban space itself as a main nature of the meaning and form of work. On the other hand, newly emerging technologies such as mobile phone, wireless network, and location-based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media have changed the aspects of human life, while generating a newly-coined word, ubiquitous, and locative media artworks are increasing by using such technologies and media. Those locative media arts are featured that they are closely coupled with cities and developing stories of people who are living in the cities. Based on the features, the arts demonstrate a possibility of solving the qualitative problems of a city, particularly, the forfeiture of the sense of place, and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in the public space. Therefore, this the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kind of meaning locative media art has in the urban space as one of the flows of artwork which is gradually increasing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media. Also, there were research about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public art’ which is pursued against the backdrop of a city, the definition of locative media,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 of the ar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the procedures, it was found that locative art has a possibility of solving qualitative problems of a city as one form of public art for people in the city with the features of ‘locative public art’ that has recently appeared. Also, a locative media work, was proposed targeting Gwangbok street at Joong-gu, Busna by using such features. This thesis is meaningful in that it defined locative media art of which concept has not been properly defined since the art is in a nascent stage, classified the type of the art, sought out the role within the urban space, and proposed works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restore the nature of space for actual space instead of being completed as a simple theoretic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