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6 Download: 0

관계(Between)를 주제로 한 인터랙티브 아트 표현연구

Title
관계(Between)를 주제로 한 인터랙티브 아트 표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ractive Art titled "Between" Focused on the audience participation through interacting
Authors
김정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현정
Abstract
21세기에 들어 한국의 미술사는 ‘미디어아트’란 용어를 접하면서 새로이 조명되기 시작하였다. 다시 말해 미술이 교육으로 위대한 예술가를 키워내는 것이 아니라 과학기술 발전에 의해 조성 가능한 미디어환경을 생활 속에서 예술과 접목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미디어 아트는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를 시작으로 친숙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예술을 사람들로 하여금 좀 더 대중적으로 접하도록 시도하였다. 그러나 추상미술과 같이 난해한 작품들이 대부분이며 최근까지도 미디어아트는 관객으로부터 어려운 예술 작품이란 이미지로 인식하며 그 이미지를 변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최근 1여 년 동안 여러 미디어아트 전시를 진행하면서 살펴 본 관객의 반응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관객은 미디어아트에 관해 학습해야 작품을 이해할 수 있다는 부담감을 지니고 있었다. 한 점의 추상화를 보듯 혹은 회화를 보듯 이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하였고 관객이 학습에 실패하면 작품을 무심코 지나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관객은 작품을 해석해야만 한다는 압박감도 지니고 있었다. 마치 한 문장에서 어휘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학자와 같이 작품에서 표현되어지는 요소들의 의미를 분석하려고 무난히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모든 미디어아트에 대해 관객의 반응이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상호작용 예술로써 경험을 통해 작품을 이해하도록 유도한 인터랙티브 아트는 관객의 흥미를 유발시키기도 하였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관객이 참여함으로써 작가와 의사소통을 하고 관객과의 지속적인 피드백에 의해 작품의 순화를 이끌 어 낼 수 있는 특성을 지녔다. 관객의 참여는 미디어아트를 소통의 예술로 승화시키는 장치이며 보다 쉽게 생활 속에 스며들 예술의 핵심방법이다. 이런 인터랙티브 아트는 예술로써 시각적 조형미를 추구하며 시각적 유희도 경험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산업혁명 이후 현대사회의 특성에 따라 인간관계를 조명하여 그 유형을 시각화 해보고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보다 쉽게 경험하고자 하는 인터랙티브 아트 표현방법에 의의가 있다. 현대사회의 인간관계는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형성된다. 사회적 환경 혹은 문화적 환경에 의해서도 학연, 지연 등의 관계를 이루게 되며 가족, 직장 등의 조직적 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는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기에 혼자 살아갈 수 없는 존재로 관계를 통해 성장하게 되며 생활을 하게 된다. 특히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는 이런 인간관계 형성에 있어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에 대한 논의는 심리학자 린다(Linda)에 의해서 제시되었으며 그 인간관계의 유형을 세 가지로 설명하였다. 비자기표현형, 공격형, 자기표현형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이 유형별에 의해 시각화된 작품을 제작하려고 하며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단순화된 인터랙티브 아트의 환경을 조성해 보고자 한다. 또한 소통의 장치 인터랙션을 통해 작품의 의도를 관객이 경험해 보도록 유도하고자 한다.;Entering upon the 21st century, the history of Korean art is being illuminated again by a new trend called ‘media art.’ In other words, art does not raise great artists through education but it is trying to join its hands with media environment in people’s life that can be crea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edia art, which began with Baek Nam-jun’s video art, has been looking for ways for people to get closer to art through utilizing familiar media. However, most of media art works are hardly understandable abstract ones and, as a result, media art has been regarded as incomprehensible and the image has been unchanged up to recently. Such a tendency has also been confirmed through viewers’ responses observed in various exhibitions of media art for the last one year. Viewers had the burden that they had to learn media art in order to understand media art works. As if they saw an abstract work or a painting, they felt the need of knowledge about media art and those who failed to learn occasionally passed by unconsciously. Furthermore, viewers were driven to interpret media art works. As if a scholar tried to analyze words in a sentence and comprehend their meanings, they exerted efforts to analyze the meanings of elements expressed in media art. However, not all of viewers’ responses to media art were negative. Interactive art, which induced viewers to understand the works through experience, stimulated their interest. In interactive art, viewers communicate with the artist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work and the work is refined through continuous feedback from the viewers. Viewers’ participation is a means for media art to be sublimated into communication art and a key method for art to permeate people’s life. In this way, interactive art pursues visual formative beauty as an art and, at the same time, gives experience of visual entertainment. This study illuminated human rel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society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visualized its types, and developed methods of interactive art expression for easi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of art work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viewers. In contemporary society, human relations are formed by various elements. School relations, regional relations, etc. are created by social environment or cultural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relations are formed at home and in workplace. Because human beings are social animals, they cannot live isolated but grow and live through relations. In particular, language used by people play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human relations. Discussion on this theme was presented by psychologist Linda who explained human relations in three types - non-self-expressive type, aggressive type, self-expressive typ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create works that visualized these types and to crate environment for more easily understandable simplified interactive art. In addition, we tried to induce the viewers to experience the intention of works through interaction with communication devi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