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蘇軾 豪放詞의 分類에 관한 硏究

Title
蘇軾 豪放詞의 分類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Sohsik(蘇軾)'s vigorous poetical chinese compositions(豪放詞)
Authors
呂承娟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Keywords
호방사소식분류Sohsik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Former studies of Sohsik(蘇軾), who developed a form of Chinese poetical composition(詞) to one of the literature categories, and his works tended to focus on the fact that he had been a leading Chinese poem composer of Vigor(Hobang) since the Song dynasty. The studies praised him as a main member of the vigor group(Hobang). They emphasized vigor(Hobang ) too much because they thought his works reflected the reality of society profoundly especial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is study examines the accuracy of those estimations. Discussing one author as a leading person of vigor character in the Chinese poetic composition(Sa) category performs the large portion of vigorous character in his total works or even a few of his works should be able to affect immensely. The writer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in this study, researching the relation with vigor(Hobang) inn Sohsik's Chinese poetic compositions(Sa). In the introduction,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former studies were discussed, suggesting the purposes and methods for this thesis. The effects of Sohsik's ideas and the vicissitudes of his political life on his works were researched. He had composed his best Chinese poems(Sa) in the years after he survived political fighting was sent away to Hwangju. This study analyzed irn many ways the reflection of his principle of noninvolvement gained from the harsh and desperate situation on his works. He was able to find the true beauty of life because he overcame reality with his noninvolvement idea. The writer drew up the notion of specific character of vigor, considering the history of changes of Wanyak(婉約) and vigor(Hobang). The vigorous style encouraged the other people including himself to reflect the lofty aspiration and pursue the reorganization of the real world. Historically, the vigorous style has been recognized in a narrow sense, not in a broad sense to include every style of Yanggang(陽剛). The style of vigor that appeared in Sohsik's works came to confirm the classfication of the vigorous style when it could reveal the vigorous character in both the content and the forms. The seven scholars' points of view in collecting only the typical styles of vigor among about 350 poems of Sohsik's shows that they all classified the style of vigor according to the dichotomy of Wanyak and vigorous character. But the dichotomy could not distinguish the main style of Sohsik's work from various styles and the opinion about the vigorous style was also different. It was hard to find out the poetical composition that reflected vigorous style of Sohsik's works because he did not regard the vigorous style as the best one to embody in his literary works. After researching Sohsik's life which was full of ups and downs and his thoughts on art. This thesis confirms that the reason that Sohsik was wrongly considered a poet of vigorous style even though the vigorous style was not his main style was the political ideology present in his work. The writer also suggested that his works were all considered the vigorous style because of these political, social ideologies even though there were other fine poetical compositions contained his philosophy of life that remained obscure. The writer demonstrated that Sohsik should not be recognized in a broad sense of vigor including transcendentalism(Gwangdal) and bohemian(Pyoil), and demonstrated the difference by comparing and analizing the specific character of transcendentalism, bohemian to vigorous character. They all have the common specific characteristic of trying not to be restrained. These two styles were based on his idea to keep aloof from the practical life. Transcendentalism(Gwangdal) seeks for the efforts of making the actual life more valuable based on the reality and finds significance and joy of life even in the small things of daily life although both contain the idea of selflessness. Bohemian(pyoil) appears when the current life is too tiring to overcome even with transcendentalism(Gwangdal) so it shows the elegant mental world could be reached Utopia pursued as escaping from the real world with the reversed style when despair and pain is the utmost. In other words, if transcendentalism(Gwangdal) and bohemian(Pyoi1) are the styles created with the result of inner self-reflection, vigor(Hobang) can be distinguished with extroversive character to express the strong spirit in the passion of life. At this point, transcendentalism(Gwangdal) and bohemian(Pyoi1) reflect the philosophical and artistic sense, not to belong to vigor(Hobang). Therefore transcendentalism(Gwangda1) and bohemian(Pyoi1) could not be classified as the essential parts of vigorous Chinese poetic composition. The three Chinese poetic compositions were presented as the vigorous style with the standardized content and form. The most corresponding poetic composition to definition of vigor(Hobang) was the only one, 'Kangsungja, Milju(江城子 密州出獵)' and the two, 'Yangkwangok(陽關曲)' 'NamHyangja (南鄕子)' were the works close to the vigorous poetic compositions. Sohsik's vigorous poetic compositions should be seen as the experimentally attempted work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poetic composition with the gentry's spirit against the former Umpungyoungwol(吟風詠月) compositons. Therefore the point of view which considers Sohsik as a great authority on vigorous poetic compositions and a leading exemplor that style does not corresponded to the facts. If Sohsik and his poetic compositions are studied more openly and systematically as being free from the former points of view, various artistic styles will be newly discovered in his Chinese poetic compositions.;'詞'를 문학의 한 장르로 정착시킨 蘇軾과 蘇軾 詞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소식 이 宋代 이후 '豪放'을 주도한 대표적인 사인이라는 사실에만 집중된 경향이 있었다. 특히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사회 현실을 심도있게 반영하였다 하여 '豪放'을 과도하게 강조하면서, 소식을 豪放派의 주도 인물로 칭송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평가가 정당한 지를 규명하였다. 한 작가를 詞 문학 장르에서 호방 풍격을 대표하는 작가로 논하려면, 전체 작품에서 호방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다든지, 혹은 소수의 작품일지라도 그 영향력이 지대한 경우에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필자는 본고에서 소식 詞에서 나타나는 豪放의 상관 관계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서론으로 연구 목적과 그 방법을 제시하면서 기존의 연구 성과가 거둔 득실을 논의하였다. 소식의 파란만장한 정치생애와 그의 사상이 詞作에 미친 영향을 살펴 보았다. 소식은 거의 죽음직전에서 살아나 黃州에 貶謫된 뒤부터 주옥같은 詞篇들을 지었으며 특히 고통스럽고 힘든 상황에서 체득한 '超然曠達'한 사상을 詞作에 반영한 점을 다각적으로 조명하였다. 필자는 婉約과 豪放 개념 변천을 역대로 살펴보면서 호방의 개념의 특성을 도출해 내었다. 호방은 원대한 포부를 반영하고 적극적인 현실 개조를 드러내는 풍격으로 자신을 비롯하여 타인을 고무하는 작용을 하였다. 역대로 호방은 陽剛의 모든 풍격을 포괄하는 광의의 호방이 아닌, 협의의 호방으로 인식되어 왔다. 소식 詞에 나타나는 호방 풍격은 그 내용과 형식 兩面에서 호방성을 드러 낼 수 있을 때 호방사로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소식 사 350여 수 가운데 대표적인 豪放詞만을 수록한 7인 학자들의 분류관점을 살펴본 바 그들은 모두 '婉約과 豪放이란 二分法'을 취하여 호방사를 선별하였다. 그러나 '이분법'은 소식 사의 주요풍격과 다양한 풍격을 제대로 辨別 할 수 없었으며 호방사에 대한 관점도 相異하였다. 소식은 호방풍격을 그가 예술 작품에서 구현하려는 최상의 풍격으로 간주하지 않았기에 그의 작품에서 호방 풍격을 반영하는 詞를 찾기는 힘들 수 밖에 없었다. 필자는 風波가 많은 소식의 일생과 그의 에술론을 살핀 결과 호방사는 그의 사를 대표하는 주요풍격이 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豪放詞人으로 誤認된 데는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개입된 것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소식의 인생철학에 담긴 다른 우수한 사편들이 이러한 정치, 사회적 이념으로 인해 빛을 발하지 못하고 모두 호방으로 개괄되어진 것에 대해 異議를 제기하였다. 豪放이 曠達과 飄逸까지도 포괄하는 광의의 豪放으로 인식될 수 없음을 증명하였다. 曠達, 飄逸의 특성과 호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언급하였다. 곧 曠達, 飄逸과 豪放은 모두 구속받지 않으려는 공통적인 특질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 두 풍격은 모두 出世의 상황에서 기인 된 것이었다. 같은 초월이라 해도 曠達은 세상에 바탕을 두고 현재의 삶을 가치 있게 살아 보려는 노력의 결과로 형성된 풍격으로 일상의 조그마한 것에서도 삶의 의미와 기쁨을 느낄 수 있다. 飄逸은 현재의 삶이 지치고 힘들어 광달로도 이겨 나갈 수가 없을 때 출현한다. 곧 절망감과 고통이 극에 달해 오히려 反轉을 이룬 풍격으로 속세를 완전히 이탈하여 天上의 세계를 추구함으로써 高雅한 정신 세계를 보여준다. 곧 광달과 표일이 내부를 향하는 자기 성찰의 결과로 탄생된 품격이라면, 호방은 강한 기개를 기세있게 표현하는 외향적 성향의 풍격으로 삶에 대한 열정이 강하다는 점에서 구별 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광달과 표일은 호방에 편입될 수 없는 풍격으로서 哲理와 예술적인 美感을 반영한다. 따라서 광달과 표일온 호방사를 구성하는 필수적 풍격으로 볼 수 없었다. 내용과 형식이 통일되어 출현하는 호방사로 3수를 제시하였다. 호방의 정의에 가장 잘 부합하는 사는 <江城子·密州出獵> 단 한 首였으며 <陽關曲·贈張繼愿> <南鄕子·정패만강호> 2수는 호방사에 근접하는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소식의 호방사는 기존의 吟風詠月하는 사들에 대해 士大夫다운 詞를 創新하려는 과정에서 실험적으로 시도된 작품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詞作을 지칭해 소식이 호방사의 대가이며 호방사풍을 主導했다고 보는 관점은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하겠다.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蘇軾과 소식 詞를 좀더 개방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한다면 그의 詞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藝術風格을 새롭게 발견하게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