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Propofol과 Rocuronium의 동시 주입이 Rocuroniu의 작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Propofol과 Rocuronium의 동시 주입이 Rocuroniu의 작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Rocuronium during Concomitant Propofol and Rocuronium Intravenous Injection
Authors
김혜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종학
Abstract
Propofol은 마취유도와 유지시 및 중환자실에서 진정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맥마취제이다. 이러한 정맥마취제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약물 부적합이 발생할 가능성도 증가하게 되었으나, propofol은 흰색을 띄는 유탁액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약물의 부적합을 판별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목표 농도 조절 주입을 이용하여 propofol로 마취유도하면서 같은 정주로로 rocuronium을 투여할 때 발생 가능한 두 약물 간 부적합 문제를 치료밑 용량 효과(subtherapeutic dosing)로 평가하기 위해 간접적인 방법인 근이완 발현과 지속시간, 기관내삽관 상태, bispectral index (BIS) 측정 등을 이용하여 rocuronium을 propofol과 다른 정주로로 투여한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총 80명의 연구 대상 환자를 무작위로 40명씩 두 군으로 나누었으며 환자들의 양팔에 정주로를 거치하도록 하였다. 마취유도제로는 propofol을 사용하여 목표 혈중 농도 6 ㎍/ml로 지속 정주되도록 하였다. 안검반사 소실로 환자의 의식 소실을 확인하고 1군은 rocuronium 0.6 mg/kg을 propofol이 들어가고 있는 정주로로 투여하였고, 2군은 rocuronium을 propofol이 주입되는 반대편 팔의 정주로로 투여하였다. Rocuronium 정주시 정주통에 의한 팔의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Acceleromyography (TOF-Watchⓡ)로 단순연축 자극을 주어 연축 높이가 95% 이상 억제되었을 때 기관내삽관을 하여 삽관 환경을 평가하였다. 두 군 간 근이완 발현시간, 회복지수, 작용시간을 비교하였다. 근이완 발현시간은 1군에서 유의하게 지연되었으며 두 군 간 삽관 환경의 차이는 없었다. 회복지수, 작용시간은 두 군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의식 소실시 평균 동맥압의 감소가 2군에서 유의하게 컸으나, 그 외의 시점에서는 평균 동맥압과 심박수의 변화는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BIS는 1군에서 삽관시 유의하게 낮았으며 rocuronium 정주통의 빈도는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propofol 목표 농도 조절 주입을 하여 마취유도시 rocuronium과 propofol을 같은 정주로로 투여한 경우 근이완 발현이 더 지연되었으므로, propofol과는 다른 투여로로 rocuronium을 정주하는 것이 근이완 발현의 지연 없이 적절한 기관내삽관 환경을 얻는데 도움이 되리라 볼 수 있다.;The induction and maintenance of intravenous anesthesia by propofol-TCI has been popular in clinical practice. When infusing propofol with other drugs at the same intravenous access line, incompatibility may result. Incompatibilities may result in infusion of particles or subtherapeutic dosing. We attempted to evaluate the incompatibilities between propofol and rocuronium by subtherapeutic dosing of rocuronium. Eighty patients, ASA physical status 1 or 2,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Induction of anesthesia was done by propofol-TCI. The patients in group 1 received rocuronium 0.6 mg/kg at the same intravenous access line with propofol infusion and in group 2 received rocuronium at the different intravenous access line with propofol infusion. One Hz single twitch responses were measured by acceleromyography after rocuronium administration. Intubation was done when the twitch height depressed more than 95% of the baseline. The intubating conditions were assessed and graded as excellent, good, poor and bad. Onset time, recovery index and dura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onset was significantly delayed in group 1 (124.9 ± 35.5 vs. 101.8 ± 22.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ubating condition, recovery index, duration and the incidence of withdrawal response to rocuronium injection. At the time of loss of consciousness, mean arterial pressure change was greater in group 2 than in group 1 (P < 0.05). Bispectral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1 than group 2 immediately after intubation (P < 0.05). In conclusion, using propofol-TCI in induction of anesthesia, onset time was delayed when administrating rocuronium at the same intravenous access line with propofol. So giving rocuronium at the different intravenous access line with propofol infusion would be helpful to achieve adequate intubating condition rapid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