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中國小說 속에서의 銅鏡의 文學的 受容

Title
中國小說 속에서의 銅鏡의 文學的 受容
Other Titles
The Literary Acceptance of Tongjing in the Chinese Novels
Authors
정영빈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鄭在書
Abstract
本稿는 그간 銅鏡에 대한 연구가 考古學과 美學방면에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던 점을 인식하여 文學的 방면의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中國小說 속에 등장하는 銅鏡의 文學的 受容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의 논의는 크게 緖論 부분인 1, 2장의 이론적인 연구방면과 本論 부분인 3, 4, 5장의 小說 속에 수용된 銅鏡故事에 대한 분석 및 결론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 銅鏡에 대한 문학적 연구가 비교적 부족했던 실정을 인식하여 그간의 硏究現況을 토대로 시기별 銅鏡故事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연구를 시도했음을 밝힌다. 제2장에서는 銅鏡의 이론적인 연구방면에 초점을 맞춰 제1절에서는 銅鏡의 起源과 歷史에 대해 살펴보았고, 제2절에서는 銅鏡이 가진 巫俗과 道敎思想을 바탕으로 銅鏡과 中國傳統文化사이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특히 銅鏡과 관련된 傳統文化를 民俗的ㆍ宗敎的 관점으로 나누어 銅鏡의 능력 및 기능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魏晉南北朝 小說의 銅鏡 受容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시의 혼란했던 사회적 배경과 道敎思想의 발전에 따라 志怪ㆍ志人小說의 출현하게 되면서, 神異的인 색채가 농후한 소설작품이 다양하게 등장하였다. 그 중 대표적 소설인 '神異經', '搜神記', '拾遺記', '西京雜記' 등을 선정하여, 小說 속에 受容된 銅鏡故事의 특징을 시대적 배경과 연관시켜 고찰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唐ㆍ宋代 小說의 銅鏡 受容에 대해 살펴보았다. 당시의 복잡하고 혼란스러웠던 社會風氣의 영향으로 작가들로 하여금 창작 동기가 부여되었고, 이러한 창작관점에서 쓰인 대표적 銅鏡故事가 바로 '酉陽雜俎', '古鏡記', '太平廣記'등이다. 소설의 수용양상을 살펴보았고, 魏晉南北朝의 銅鏡故事와의 차이점인 작가의 창작관점의 변화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즉 소설의 내용이 神異的인 내용에서 人間中心의 내용으로 移行되었다는 것인데, 이를 시대적인 특징과 함께 고찰해 보았다. 제5장에서는 明ㆍ淸代 小說의 銅鏡 受容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銅鏡故事로는 '聊齋志異', '閱微草堂筆記', '西遊記', '紅樓夢'등이 대표적이다. 우선 그 受容樣相에 대해 살펴보았고, 唐ㆍ宋代부터 이어져 온 사회적 風氣와 작가의 창작 관점이 神異的인 것에서 人間中心的인 것으로 移行된 점, 銅鏡이 唐代를 기점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던 점 등을 바탕으로 銅鏡이 지닌 ‘神異性’이 약화된 것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시대적 배경과 銅鏡故事의 盛衰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추론해내었다. 마지막으로 제6장 결론 부분에서는 이제까지 銅鏡과 中國文化를 정리한 이론적 서론 내용을 바탕으로 中國小說 속에서의 銅鏡의 文學的 受容 및 그 시대적 특징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해 보았고, 이러한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중국소설사에서 차지하는 銅鏡의 문학적 위상에 대해 고찰하는 것으로 논문을 마무리 하였다.;This thesis recognizes that the researches on Tongjing (銅鏡, copper mirror) have been done intensively in the fields of archeology and aesthetics, and suggests that studies on it should be conducted systematically from the literary standpoint. With this in mind, we examine how Tongjing was accepted literarily in the Chinese novels. The discussion of the thesis can be divided into three macro groups, i.e., introductory chapters, 1 and 2, which present theoretical studies, main body chapters, 3 through 5, which analyze the ancient happenings related to Tongjing, manifested in novels, and conclusion in the last chapter. While perceiving the lack of literary studies with regard to Tongjing, chapter 1 attempts to investigate the Tongjing anecdotes according to the times in a systematic way, based on the previous approaches. Chapter 2 focuses on the theoretical aspects of Tongjing. Section 1 examines the origin and history of Tongjing, and section 2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ongjing and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grounded in Shamanism and Taoism, which were represented in Tongjing. The Tongjing-relevant tradition, in particular, is bifurcated into ethnic and religious points of view so that we can examine the capacity and function of Tongjing. Chapter 3 accounts for the acceptance of Tongjing in the Wei-Jin-Nan-Bei-Chao(魏晉南北朝) novels. With a basis on the chao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advent of Zhi-Guai(志怪) and Zhi-Ren(志人) novel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aoist Hermit Ideology and Taoism, there appeared mysterious and eccentric novels. Out of them, Shen-Yi-Jing('神異經'), Sou-Shen-Ji('搜神記'), Shi-Yi-Ji('拾遺記'), and Xi-Jing-Za-Ji('西京雜記') are chos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ongjing episodes revealed in these novels are examined in association with the temporal background. Chapter 4 examines the way Tongjing was perceived in the Tang and Song novels. Taking account of the fact that the contemporary turbulent public morals gave the writers a creative motivation, we selected You-Yang-Za-Zu('酉陽雜俎'), Gu-Jing-Ji('古鏡記'), Tai-Ping-Guang-Ji('太平廣記'), etc. In addition to investigating the ways of receiving Tongjing, we try to define the writers' composing points of view as opposed to the Tongjing anecdotes in the era of Wei-Jin-Nan-Bei-Chao(魏晉南北朝). As a consequence,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contents of novels were changed from the mystery-laden to the human-oriented, which seems to be a product of the times. Chapter 5 considers the acceptance of Tongjing in the Ming(明) and Qing(淸) novels. There were such Tongjing episodes as Liao-Zhai-Zhi-Yi('聊齋志異'), Yue-Wei-Cao-Tang-Bi-Ji('閱微草堂筆記', Xi-You-Ji('西遊記'), Hong-Lou-Meng('紅樓夢'), and so forth. First comes the way they were received. It is noted that the 'mysticism' of Tongjing was weakening due to the fact that the social manners, dated back to the Tang and Song era, and the writers' creating viewpoints transferred from the eccentricity to the humanity, and Tongjing, itself, was getting less popular from the turning point of the Tang dynasty. After all, it is inferred that this temporal backdrop and the vicissitudes of Tongjing anecdotes are inseparable to each other. Lastly, the conclusion in chapter 6 recapitulates the literary acceptance of Tongjing in the Chinese novels and its temporal characteristics, in general, based on the theoretical overview of Tongjing and the Chinese culture, as seen in the preceding chapters. Furthermore, the synthesis of these studies made it possible to reassess the literary status of Tongjing in the history of the Chinese nove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