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4 Download: 0

60세 이상 고혈압 환자의 척추-경막외 병용마취 시 심박수 변이도 변화

Title
60세 이상 고혈압 환자의 척추-경막외 병용마취 시 심박수 변이도 변화
Other Titles
Changes in Heart Rate Variability in Elderly Hypertensive Patients during Combined Spinal Epidural Anesthesia
Authors
권미숙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희정
Abstract
심박수 변이도의 분석은 심혈관계에 대한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평가하는 간단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그 사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항고혈압제제로 치료받고 있는 노인 환자에서 척추-경막외 병용마취 시 혈압, 심박수 및 심박수 변이도의 변화 양상을 아는 것은 임상적으로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60세 이상의 환자에서 3개월 이상 항고혈압제제를 투여 받고 있는 환자와 고혈압 병력이 없는 환자의 척추-경막외 병용마취 전과 후의 혈압, 심박수, 심박수 변이도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함에 있다. 슬관절전치환술을 받기 위해 척추-경막외 병용마취를 받는 60세 이상의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고혈압으로 진단받고 최소 3개월 이상 항고혈압제제 투여를 받고 있는 28명을 고혈압군(H)으로, 고혈압 진단을 받은 적이 없는 환자 32명을 대조군(C)으로 하였다. 마취전처치는 하지 않았으며 수술실 도착 후 심전도, 비침습적 자동혈압계, 맥박 산소포화도 계측기 등의 환자 감시 장치를 부착하고 5분간 앙와위 자세에서 안정을 취한 후 심박수, 비침습적 혈압(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평균 동맥압)을 측정하였다. 심박수 변이도 측정용 장비인 QECG-3 (Model LXC3203, LAXTHA Inc, Korea)의 심전도 전극을 환자에게 부착하고 심박수 변이도 분석 프로그램인 TeleScan version 2.0 (LAXTHA Inc, Korea)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5분간 심전도(lead Ⅰ, Ⅱ, Ⅲ)를 기록 저장하였다. 척추-경막외 병용마취 후 앙와위 자세로 한 시점으로부터 30분에 걸쳐 심전도를 기록 저장하였고, 5분 간격으로 30분까지 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하고, 마취의 높이를 평가하였다. 심박수 변이도의 분석은 후분석으로 저주파수(low frequency: LF, 0.04-0.15 Hz) 및 고주파수(high frequency: HF, 0.15-0.4 Hz) 파워의 로그값(Ln LF 및 Ln HF), 총파워(total power: TP, ≤ 0.4 Hz)의 로그값(Ln TP), 표준화된 저주파수 및 고주파수 파워(normalized LF: LFnorm 및 normalized HF: HFnorm), 저주파수 대 고주파수의 비(LF/HF)를 구하여 마취 전 안정 시, 척추-경막외 마취 후 0-5분, 5-10분, 10-15분, 15-20분, 20-25분, 25-30분의 값을 구하였다. 두 군 사이에 척추-경막외 병용마취 전과 후의 심박수 변이도, 혈압, 심박수를 비교하였다. 척추-경막외 병용마취 후의 비교 시에는 각 군에서 고정된 피부분절 높이에 따라 T7 이하인 군(L)과 T6 이상인 군(H)으로 다시 나누어, 네 군간에 마취된 피부분절 높이가 고정된 시점에서의 마취 전에 대한 혈압, 심박수 및 높이 고정 시점 5분전에서 높이 고정 시점까지 5분간의 심박수 변이도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또한 마취 후 시간에 따른 각 변수들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항고혈압제제를 투여 받고 있는 60세 이상의 고혈압 환자의 심박수 변이도는 C군에 비해 Ln LF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P < 0.05), C군에서 연령 증가에 따라 Ln TP, Ln LF, Ln HF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으나 H군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피부분절 높이가 고정된 시점의 혈압, 심박수 및 심박수 변이도 변수들의 마취 전 수치에 대한 변화를 네 군간 비교해 본 결과 HH군에서 CL군에 비해 수축기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21.7 ± 11.6%), 다른 변수들은 네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네 군의 척추-경막외 병용마취 후 30분까지 시간에 따른 혈압, 심박수의 변화에서는 네 군 모두 마취 직후부터 30분까지 마취 전에 비해 혈압은 유의하게 감소, 심박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마취 후 15분에 HH군의 수축기혈압이 CL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77.9 ± 1.4%), 심박수의 증가도 마취 후 5, 10분에 HL군과 HH군에서 CH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다. 시간에 따른 심박수 변이도의 변화에서는 CL군과 CH군에서 마취 후 15-20분에 Ln TP, Ln LF, Ln HF가 마취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HH군에서 마취 후 10-15분에 Ln TP가 마취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군 간 비교에서는 HH군의 Ln TP, Ln LF, Ln HF가 다른 군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고, 마취 후 0-5분과 10-15분에 CH군이나 HL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LFnorm, HFnorm 및 LF/HF는 시간에 따라 네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항고혈압제제를 투여 받고 있는 60세 이상의 고혈압 환자의 심박수 변이도 분석 결과 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Ln LF를 보였으며, C군에서 보인 연령 증가에 따른 Ln TP, Ln LF, Ln HF의 유의한 감소는 H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척추-경막외 병용마취 후에는 피부분절 높이 고정 시나 시간에 따른 변화에서 HH군에서 수축기혈압의 감소가 가장 심한 반면, 심박수의 증가는 유의하게 작았으며, Ln TP, Ln LF, Ln HF가 다른 군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고, 마취 후 0-5분과 10-15분에 CH군이나 HL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자율신경계 균형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Ageing and hypertension affect autonomic cardiovascular control mechanism.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widely used as an indicator of activity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We evaluated the changes in HRV bands in 60 elderly patients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antihypertensive agents before and after combined spinal-epidural anesthesia (CSE). Twenty eight elderly hypertensive patients administering antihypertensive agents more than 3 months (group H) and 32 elderly non-hypertensive patients (group C) for elective total knee arthroplasty, ASA physical status 1 or 2, were recruited. We analyzed the spectral components of HRV, total power (≤ 0.4 Hz), low frequency (0.04-0.15 Hz) and high frequency (0.15-0.4 Hz) power expressed as natural logarithm (Ln TP, Ln LF, and Ln HF), normalized HF (HFnorm), normalized LF (LFnorm), and LF/HF ratio, from 5-minute electrocardiography (ECG) recordings before and 0-5, 5-10, 10-15, 15-20, 20-25, and 25-30 min after CSE. We also measure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SBP and DBP), mean arterial pressure (MAP), heart rate (HR) and analgesia level by pinprick test before, immediately after, 5, 10, 15, 20, 25 and 30 min after CSE.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 T7 [L] or ≥ T6 [H]) according to fixed analgesia level for comparison of parameters after CSE. Before CSE, group H showed significantly lower Ln LF than that of group C (P < 0.05), and in group C, but not in group H, Ln TP, Ln LF, and Ln HF significantly decreased as age increases. At the time of fixation in analgesia level, only SBP in group H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21.7 ± 11.6%) compared with group CL. In all four groups, SBP, DBP and MA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H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pre-CSE values. Fifteen and 10 min after CSE, % decrease of SBP and % increase of HR in group HH were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with group CL and lesser with group CH, respectively. Ln TP, Ln LF and Ln HF in both control groups (CL and CH)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15-20 min after CSE compared with pre-CSE values, and Ln LF and Ln HF in group H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group HL 10-15 min after CS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LFnorm, HFnorm and LF/HF in all four groups according to time after CSE. In conclusions, the group H showed significantly lower Ln LF than that of group C before CSE. Fifteen and 10 min after CSE, % decrease of SBP and % increase of HR in group HH were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with group CL and lesser with group CH, respectively. Ln LF and Ln HF in group H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group HL 10-15 min after CSE. But the LFnorm, HFnorm and LF/HF, which reflect the balance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