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교사의 인식

Title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ver the Curriculum Development Dealt with the Grade Level Articulation Meetings
Authors
황현숙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Keywords
동학년회의교육과정개발교사의 인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 동학년회의에서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그러한 활동에 대하여 교사들은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 알아보고 교사들이 인식하는 바람직한 동학년회의의 교육과정개발 방향을 전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는 학교중심 교육과정개발의 의미를 교육과정 재구성과 숙의의 측면에서 고찰하였고 교사의 교육과정개발 참여의 필요성과 참여수준을 다루었다. 그리고 동학년회의의 성격과 동학년회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 교육과정개발의 장으로서의 동학년회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의 실태는 무엇인가?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 교사가 인식하는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교육과정개발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서울시내 초등학교 교사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개발의 실태와 바람직한 교육과정개발은 학교유형별, 담당학년별로 분석하였고 만족도는 학교유형별, 담당학년별, 직위별, 교직경력별로 분석하였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의 실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동학년회의에서 주로 하는 일을 학교일정과 업무의 전달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개발이라는 인식은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교육과정개발은 상부의 지시라기 보다는 동학년 교사들의 자발적인 활동으로 전원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학년회의에서는 매주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필요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발하며 교육과정개발에 할애되는 시간은 전체 회의중에 20-50%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소재를 수정·보완하는 1주일 분량의 교육과정개발이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개발의 논의를 시작하게 하는 사람이 정해져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립학교의 교사들이 공립학교의 교사들보다 동학년회의에서 교육과정개발이 더 많이 이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공식적이고 정기적으로 정해진 동학년회의 이외에 티타임이나 방과후의 모임과 같은 비공식적인 동학년회의에서도 일주일에 평균 2.4시간의 동학년교육과정개발이 이루어진다고 교사들이 응답하여 공식적인 동학년회의에서 교육과정개발이 이루어지는 시간보다 비공식적인 동학년회의에서 교육과정개발이 이루어지는 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학년 담당교사들이 고학년 담당교사들보다 비공식적인 동학년회의에서 교육과정개발이 더 많이 이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교사만족도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의 전체 만족도는 중간 수준이었다. 동료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학교지원에 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학교유형별로 보면, 사립학교 교사들이 교육과정개발의 운영방식, 학교지원, 자기준비의 측면에서 공립학교 교사들보다 더 만족하고 있었다. 담당학년별로 보면, 저학년 교사들이 교육과정개발의 운영방식, 학교지원, 자기준비의 측면에서 고학년 교사들보다 더 만족하고 있었다. 직위별로 보면, 부장 교사들이 평교사들보다 학교지원에 더 만족하고 있었다. 교직경력별로 보면, 교육과정개발의 운영 방식, 학교지원, 동료관계, 자기준비의 만족도 모두에서 6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5년 이하의 경력교사보다 더 만족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교육과정개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매주 동학년회의에서 20-50%미만의 시간이 소재를 수정·보완하는 1주일 분량의 교육과정개발에 할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실태와 비교하여 큰 차이는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현재보다 동학년회의에서 더 많이 교육과정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과정개발은 정보의 공유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교사들의 시간이 부족하면 교육과정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교사의 업무가 경감되고 시간적인 여유가 필요하다고 교사들은 응답하였다. 동학년회의와 함께 학교중심 교육과정을 개발을 위한 바람직한 장은 교과협의회로 나타났다. 또 교사들은 현재와 같은 동학년회의 방식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육과정개발을 위하여 방학이나 퇴근시간 후에도 동학년회의에 참여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 연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했기 때문에 동학년회의에서 실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의 모습을 파악하기에는 제한점이 따른다. 따라서 실제 동학년회의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개발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질적연구를 통해 보다 생생한 교육과정개발의 모습과 문제점을 밝혀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o make School- Based-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Grade Level Articulation Meetings at an elementary school, to know how many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his activity and to prospect the reasonable direction of the Grade Level Articulation Meetings [GLAM] over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vestigate the meaning of School-Based-Curriculum development in terms of the curriculum restructure and deliberation. 2. Study the necessity of teacher's participation and degree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GLAM. 3. Review characteristics of the GLAM and key factors for the GLAM and finally investigated it as a field of curriculum development. Main questions dealt with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realities about curriculum development doing in the GLAM at the elementary school? 2. How many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GLAM? 3. What is a desirabl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GLAM? To answer the questions raised above, a survey was conducted on 307 teachers, serving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realities over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sirable direction recognized by teachers are categorized by school- type and teaching grade. The satisfaction level are researched by school-type, teaching grade, duty, teaching career.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over the realitie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GLAM are as follows. While many Teachers recognize the GLAM's main role as school schedules and affairs, reorganization GLAM a s a curriculum development was not so much.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curriculum development is not a direction of the upper part but all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GLAM voluntarily. In the GLAM, teachers develop a curriculum development every meeting or on occasion of demands. The time used for a curriculum development is less than 20- 50% of the meeting time. Teachers recognize that modifying one week's job of curriculum development occurred a t the GLAM and the person who initiates the subject of curriculum development was not dedicated at the meeting. And they understand that a private school is more advanced than a public school in the field of curriculum development a t the GLAM. Except for the GLAM, teachers reply that a curriculum development has been occurred about 2.4 hours per week at the unofficial meeting such as teatime or meeting after school. This fact shows that unofficial meeting has been used more than official meeting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ny teachers in charge of lower grade think that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unofficial meeting is important than teachers in charge of upper grade.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abou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GLAM are as follows. The total satisfactions of teachers are middle level. The satisfaction level of relationship among teachers is highest. Whereas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support for the meeting is lowest. In the sight of school-type, private school teachers are more satisfactory than public school teachers such as operation type, school- support, self-readines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sight of charged grade, teachers in charged of lower grade are more satisfactory than teachers in charged of upper grade in the areas of operation type, school-support, self-readines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sight of duties, high ranked teachers are more satisfactory than general teachers in the field of school support. In the sight of teaching career, in the fields of operation type, school-support, colleague relationship, self-readines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teachers have more than 6-year are more satisfactory than less than those of having experience of 5-year. The study results that how do teachers recognize reasonable the GLAM doing a curriculum development are as follows. Teachers are recognizing that it is necessary for curriculum development per every week to allocate less than 20-50% of the meeting time shared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to amend a subject. The merit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s sharing an information but the demerit is the shortage of time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he question to reduce this problem, teachers reply that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get a reduction of work and room of time. And teachers recognize current GLAM is good role but they also said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GLAM after school or vacations to develop a curriculum. And they also recognize the curriculum development is reasonable in parallel with Discipline Council together GLAM. This study has a restriction to understand real curriculum development because this is based on survey. Therefore high level of research for the subsequent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take a view of developing curriculum and analyze it. In consequence of this study, a curriculum development that connects a real field and the GLAM's problems may be reveal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