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Rocuronium을 이용한 기관내 삽관시 마취유도 약제와 삽관 시점에 따른 삽관 환경의 비교

Title
Rocuronium을 이용한 기관내 삽관시 마취유도 약제와 삽관 시점에 따른 삽관 환경의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Induction Drugs and Timing on Intubation Conditions using Rocuronium
Authors
박혜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치효
Abstract
Sevoflurane은 호흡계에 자극이 적고 냄새가 거의 없어 처음부터 고농도를 흡입시킬 수 있으며 마취유도시에 폐활량 호흡법(vital capacity breath technique)으로 propofol과 거의 유사한 정도로 빠르게 마취유도가 이루어지므로 성인 환자에서 sevoflurane을 이용한 흡입마취유도가 보다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Sevoflurane은 rocuronium의 작용지속시간을 propofol 또는 isoflurane보다 연장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나 신속한 기관내 삽관을 위해 삽관 용량의 rocuronium을 투여했을 때 기관내 삽관 환경은 propofol과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다. 이에 저자는 rocuronium을 이용한 기관내 삽관시 sevoflurane과 propofol을 마취유도제로 사용했을 경우 기관내 삽관 환경을 비교 평가하고, 또한 기관내 삽관 시점에 따른 삽관 환경과 혈역학적 변화를 비교하여 마취유도제에 따른 효과적인 삽관 시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총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무작위로 15명씩 네 군으로 나누어 propofol군(P군)은 2 mg/kg의 propofol 정주 후 10 mg/kg/hr를 지속정주하고, sevoflurane군(S군)은 thiopental sodium 50 mg 정주 후 sevoflurane 2 vol%부터 시작하여 매 3회 환기마다 2 vol%씩 증가시켜 8 vol%까지 흡입시키면서 안검반사소실로 의식소실시점을 확인하여 약물투여시작부터 의식소실까지의 시간을 기록하고 rocuronium 0.6 mg/kg를 투여하였다. 이후 propofol군과 sevoflurane군을 각각 두 군으로 나누어 rocuronium 투여 60초(P-60군, S-60군) 및 90초(P-90군, S-90군)후에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여 삽관 환경을 평가하였다. Rocuronium 투여 30, 60, 90초 후에 acceleromyography (TOF-Watch??)를 사용하여 단순연축 반응을 측정하여 신경근 차단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모든 군에서 수술실 도착 직후와 기관내 삽관 전후의 심박수와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다. 각 군 간에 기관내 삽관 전후의 혈역학적 변화는 차이가 없었으며 약물투여시작부터 의식소실까지의 시간은 sevoflurane군에서 propofol군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으나 산소포화도 감소 등의 부작용은 없었다. 동일한 기관내 삽관 시점에서 sevoflurane군과 propofol군의 기관내 삽관 환경 및 단순연축 반응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기관내 삽관 시점에 따라서는 90초 후에 기관내 삽관을 한 경우 삽관 환경이 60초에 비해 유의하게 양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sevoflurane을 이용한 흡입마취유도시 propofol과 비교하여 동일한 시점에서 기관내 삽관을 할 때 rocuronium의 근이완 작용에 대한 효과는 차이가 없으나 모두 rocuronium 투여 60초에 비해 90초 후에 유의하게 삽관 환경이 양호하였으므로 신속한 기관내 삽관을 요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90초에 삽관을 함으로써 삽관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임을 보여준다.; Sevoflurane has been reported to potentiate the effect of rocuronium. We compared the effect of sevoflurane and propofol on intubating conditions and their corresponding hemodynamic changes, and also compared intubation conditions at different intubation timing using rocuronium. Sixty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four groups : group P (P-60, P-90) received 10 mg/kg/hr of propofol after 2 mg/kg of bolus injection; group S (S-60, S-90) were inhaled 8 vol% sevoflurane after injection of 50 mg of thiopental sodium. Intubation was attempted at either 60 seconds (P-60, S-60) or 90 seconds (P-90, S-90) after rocuronium administration. Intubation conditions were assessed and evaluated as excellent, good, poor and inadequate. Single twitch responses were measured at every 30 seconds after rocuronium administratio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before induction, before intubation and immediately after intubation. Excellent and good intubation conditions were obtained in 60% (n=9) of group P-60, 73% (n=11) of group S-60, 92% (n=14) of group P-90 and 100% (n=15) of group S-90. Single twitch responses were fewer in group P-90 and S-90 compared to these in group P-60 and S-60 (P<0.01).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after intubation were elevated in all four groups. In conclusion, intubation condi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halation of sevoflurane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propofol when using rocuronium. Prolonged interval between rocuronium administration and intubation resulted in improved intubation condi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