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1970년대 소설에 나타나는 하층계급 인물 연구

Title
1970년대 소설에 나타나는 하층계급 인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nderclass characters in the works of 1970’s Novels
Authors
권경미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현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underclass characters shown in the novels authored by Lee Moon Gu, Cho Se Hee and Hwang Seok Young in the 1970s. In addition, it intended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ocess which such underclasses’ characteristics have been interspersed with ‘resistance’ and ‘struggle’ in the process of high level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it assumed that the President Park Jeong Hee government system mainly focused on anticommunist policy an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as its top priority policies, and attempted to find out that the President Park Jeong Hee government system’s violent structure induced (un)conscious compliance of the low-classes through the President Park Jeong Hee government system and the underclasses’ response to it. In Chapter II, it defined farmers as the underclasses in the 1970s, focusing on the novel by Lee Moon GU, and examined that the farmers consciously use their local language in coping with the puristic policy. The President Park Jeong Hee government system attempted to unify only South Korea through language purific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values for South Korea in the mist of North Korea-South Korea tension. So, Lee Moon GU attempted to rupture the unification policy by using local language. However, rural community which is based on Confucian values of farmers is intersected with political ideology of the President Park Jeong Hee government system. Therefore, farmers showed bifacial aspects by criticizing the President Park Jeong Hee government system as well as following the system. Meanwhile, the President Park Jeong Hee government system intended to cover the need of labors according to high level of industrialization by using rural workforce. So, through the story of the settled farmer, Lee Moon Gu showed resistance to dominant discourse seeking rural labors as the source of providing industrial men power. Paying attention to the story of farmers who were excluded due to the 1970s’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an be considered as showing resistance. However, the President Park Jeong Hee government system mobilized farmers to Saemaeul Movement, seeking modernization of rural areas. In addition, TV dissemination and urban culture brought into rural areas caused misunderstanding that rural areas also received the benefits of modernization. As such, farmers in the 1970s resisted and criticized the irrationality of reality but could not maintain their resistant attitude due to the government’s inducement. In chapter III, it defined workers engaging in labor-intensive light industry as the underclasses, focusing on the novel by Cho Sae Hee. Even though it is not easy for worker to obtain their identity in the anticommunism society, workers assumed by Cho Sae Hee showed the figure of structuring their identity in accordance with laws. His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their awareness as legal entities tells the worker’s resistant system to us. In addition, among the characters made by Cho Sae Hee, a worker who recognized himself as a legal entity awakened others’ awareness and made other work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labor movement, which showed his aspect of a hero. As such, the advent of resistant workers caused the government’s suspension of legal assurance through revision to the existing laws. However, the government caused confusion that such suspension was due to employers’ failure to comply with laws. In the President Park Jeong Hee government system, employers acted as agents of the government in the field of labor law, and workers conflicted with their employers. However, the core of such struggle is the ignorance of laws. Laws were never on the side of workers and existed as empty agent which had nothing to do for workers. In other words, workers fought against their employers without knowing their ignorance of laws and a working class hero killed a brother of CEO by mistaking him as CEO. This caused the continuous existence of law as an empty agent without disclosing such fact. Meanwhile, in the President Park Jeong Hee government system focusing on economic development with priority, labor force 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In addition, both control over labor force and organization in the nation-driven industry are essential elements in the economic development. Cho Sae Hee shows ownership of and control over labor force which are differentiated between father’s generation and son’s generation. In other words, he criticized the government’s discourse on economic development by embodying the image in which labor force is structured into the discourse of nation into the novel. However, in the already organized industrial system, a worker must be responsible for work for living in the nuclear family, not merely for himself. The workers who are family leaders or the eldest sons in their family encounter a circulation structure where they have to continue working for their family, interlinked with family discourse and industry discourse. In addition, once labor force has been established in the national system, a nation implanted an illusion of social welfare in the people. Social welfare, such as medical service, education, etc played a pivotal role in attracting workers taken into the industrial structure. In chapter IV, it examined the images of urban strangers, focusing on the novel by Hwang Seok Young. All of them are the underclasses from other regions such as rural areas or North Korea, not cities. People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in the President Park Jeong Hee government system where anticommunism has been widely spread had to imitate and accept the ideology and culture of South Korea in order to settle as South Korean. Hwang Seok Young exposes the reality of the identification with South Korea by showing South Koreans soliciting corruption and venality to them. However, the President Park Jeong Hee government system was reproducing various ideologies and values set forth by the society in South Korea through the modernized regulation spaces, such as school, army and jail. The logic of economic development caused urban strangers to have useful body. It made them extra and surplus men power, presenting a slogan of ideal of man power necessary for the city. There surplus human resources have fell to the subjects of distorted desire of urban people without being an industrial labor in the industrial era. By drawing attention to surplus man power as projections for satisfying the desire of urban people, Hwang Seok Young exposed the illusion of the focus on economic development. Meanwhile, in the 1970s, industrial structure had been changed from light industry to heavy chemical industry, and from that time, the meaning of ‘human resource’ has been added into work force. Work force as a human resource became one item of the industry which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can be measured through objectification. So, in the novel by Hwang Seok Young, we can identify workers who develop themselves for enhancing their own competitiveness. As the above, the study of the underclass characters shown in the novels of the 1970s has the implication that it could rediscover the underclasses within literature by examining the structure where the underclasses are germinated, getting out of the single interpretation the underclasses as fighters struggling against the era. This examines the aspect of the underclasses’ resistance and criticism as well as the aspect as a living person. In addition, by deepening the irrational and contradictory problems of politics and society into the literature, the scope of the literature was expanded more than the previous studies. Finally, the study on the underclasses shown in the 1970s novels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fact that we can induce the origin of various underclasses shown in the literatures published after the 1970s because the background of the 1970s is an era of industrial capitalism.;본 논문은 1970년대 이문구, 조세희, 황석영의 소설에 나타나는 하층계급 인물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도의 근대화·산업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하층계급의 성격이 ‘저항’과 ‘투쟁’으로 점철되는 것의 의의와 한계를 아울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70년대 박정희체제가 반공주의와 경제성장 제일주의를 지배담론으로 삼았음을 전제하고 박정희체제의 통치와 그에 따른 하층계급들의 반응을 통해 박정희체제의 폭력적인 구조가 하층계급의 (무)의식적 순응을 유도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Ⅱ장에서는 이문구 소설을 중심으로 농민을 1970년대 하층계급으로 규정을 하고, 언어 순화 정책과 상관없이 농민들이 농촌 지방의 지역어를 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박정희체제는 대북(對北) 관계의 긴장 속에서 남한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자 언어순화를 통해 남한만의 통합을 꾀하려고 하였다. 이에 이문구의 지역어 사용은 통합 정책에 균열을 가하는 효과를 줄 수 있었다. 하지만 농민만의 유교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한 농촌 공동체는 유교적 문화를 통치에 접목시킨 박정희 정권의 지배 이념과 접합되는 지점이 생기게 되었다. 그래서 농민은 박정희체제에 비판적인 한편 체제에 일견 순응하게 되는 양가적인 모습을 보인다. 한편 박정희체제는 농촌을 향해 이중으로 호명하였다. 먼저는 고도의 산업화에 따른 노동력을 충당할 수 있는 산업인력의 보급책이었다. 다른 하나는 농촌을 지키며 농업에 종사하는 정주(定住)하는 농민이었다. 이문구는 정주하는 농민을 중심으로 농민을 위한 영농조합의 횡포를 사실적으로 폭로하고 있다. 또한 도시와 비교해 미개한 지역, 지역민이라는 인식이 팽배함을 비판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박정희체제는 농촌의 근대화 명목으로 농민들을 회유할 목적으로 새마을운동을 펼침으로써 이런 불만을 잠식시키려고 하였다. 그리고 TV 보급과 농촌에 유입된 도시문화로 인해 농촌도 근대화의 수혜를 받은 것과 같은 착각에 빠지게 하였다. 이처럼 1970년대 농민들은 현실의 불합리함에 저항과 비판을 하기도 하지만 박정희체제의 유인정책으로 일관되게 저항하는 태도를 유지할 수 없었다. Ⅲ장에서는 조세희의 소설을 중심으로 노동 집약형 경공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을 하층계급으로 보았다. 반공주의 사회에서 노동자가 자신들의 정체성을 획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지만 조세희의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법에 의거해 구성해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조세희가 노동자 스스로 법의 주체임을 인식해 가는 과정을 서술하는 것만으로도 노동자들의 체제 저항적인 면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또한 조세희의 인물 중에서 법의 주체라는 사실을 깨달은 노동자는 동료를 일깨워 적극적으로 노동운동에 동참케 하는 노동자영웅의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이처럼 저항적 노동자의 출현은 박정희체제로 하여금 법을 개정해 법의 보장을 유예시키도록 했다. 하지만 정작 법은 노동자들을 위해 해 줄 수 있는 것이 많지 않았다. 그리고 노동자 권리의 유예를 회사 경영자들이 법을 준수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였다. 박정희체제에서는 노동법의 대리자의 역할을 경영자들이 하게 되고, 노동자들은 경영자와 갈등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갈등의 중핵에는 ‘법의 무지’가 있다. 법은 결코 노동자를 위한 적도 없었고, 노동자를 위해 아무 것도 해 줄 것이 없는 텅 빈 대타자로 존재할 뿐이다. 노동자영웅이 이 사실을 깨달았을 때 그는 법의 무지와 맞서지 않고 그 화살을 경영자에게 돌려 버린다. 즉, 노동자영웅은 법이 무지하다는 사실과 직면하자 법의 무지를 드러내지 않고 묻어버리는 행동을 하였다. 이는 회장으로 오인한 회장 동생을 살해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법이 텅 빈 대타자라는 것이 폭로되지 못한 채 계속 유지되게 하는 작용을 하였다. 한편, 경제성장 제일주의를 내세운 박정희체제에서 노동력은 가장 중요한 자원이었다. 그리고 국가 주도의 산업에서 노동력의 통제와 조직화는 경제 발전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요소였다. 조세희는 아버지 세대와 아들 세대로 변별되어 나타나는 노동력의 소유와 통제를 보여주고 있다. 즉, 노동력이 국가 담론 안에서 조직화되는 모습을 소설 속에 형상화함으로써 박정희체제의 경제 발전 담론을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재편된 산업 시스템 안에서 노동자는 가족 중심의 가족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생계형 노동을 해야 했다. 이처럼 가족 담론과 산업 담론이 맞물리면서 가장이거나 장남인 이들은 노동 현실의 모순 속에서도 가족 중심적인 노동을 지속해야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노동력이 국가 시스템 안에서 구축이 되면서 국가에서는 이들에게 사회 복지에 대한 환상을 심어 주었다. 의료·교육 등의 사회 복지는 산업 구조 안으로 포섭된 노동자들을 매혹시킬 만한 충분한 요소로 작용을 하였다. Ⅳ장에서는 황석영을 중심으로 도시 이방인들의 모습을 고찰하였다. 이들은 모두 농촌, 북한 등 도시가 아닌 타지역 출신의 하층계급들이다. 반공주의가 팽배했던 박정희체제에서 북에서 월남한 사람들은 남한민으로 정착하기 위해 남한 사회의 이념과 문화를 모방·수용해야 하는 입장이었다. 황석영은 이들 월남인들에게 부정부패와 금품수수를 권유하는 남한민들을 통해서 남한과 동일화하는 것의 실체를 폭로하고 있다. 하지만 박정희체제는 남한사회를 규정하는 다양한 이념과 가치관들을 학교·군대·감옥과 같은 근대 규율 공간을 통해서 끊임없이 재생산하고 있었다. 경제 발전의 논리는 도시 이방인들로 하여금 유용한 신체를 가지게 하였다. 도시에 필요한 인력 이상을 도시 안으로 호명하면서 예비 인력, 잉여 인력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잉여 인력들은 산업시대에 산업 노동자가 되지 못한 채 도시민들의 왜곡된 욕망의 대상으로 전락을 하고 말았다. 황석영은 도시민들의 욕망을 해소하는 투사체로서의 잉여 인력에 주목하면서 경제성장 제일주의의 허상을 폭로하였다. 한편 1970년대는 경공업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중화학공업으로 변모하는데 이때부터 노동력은 ‘인적 자본’의 의미가 추가가 된다. 인적 자본으로서의 노동력은 객체화가 이루어져 효율성과 능률성을 측정·평가할 수 있는 산업의 한 항목이 되었다. 그래서 황석영의 소설에서는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기 계발하는 노동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처럼 1970년대 소설에 나타나는 하층계급 인물 연구는 지금까지 하층계급을 시대에 저항했던 투사라는 단일한 해석에서 벗어나 하층계급이 배태되는 구조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문학 안에서 하층계급을 재발견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는 하층계급이 체제에 비판하는 저항적인 측면과 함께 당대를 살아냈던 생활인으로서의 모습도 함께 살펴 본 것이다. 또한 1970년대라는 부조리하고 모순적인 정치·사회 문제를 문학 안에 심화시킴으로써 문학의 외연이 이전의 연구에서보다 더 확장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1970년대가 본격적인 산업자본주의 시대가 배경이기 때문에 이후의 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다양한 하층계급들의 기원적인 모습을 유추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1970년대 소설에 나타나는 하층계급 연구가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