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8 Download: 0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Title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ing Behavior and Jobs Seeking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 Morderation Effect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uthors
김명옥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숙
Abstract
본 연구는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를 예측하는가? 셋째,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한 13개 대학과 부산지역 2개 대학교의 대학생 4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봉환(1997)이 개발하고 이명숙(2003)이 두 문항을 새롭게 추가한 진로준비행동척도를 사용하였고, 코넬대학의 ‘스트레스 측정법(Conell Medical Index: CMI)'(Shepherdet al, 1966)을 참고하여 황성원(1998)이 제작하고 이를 수정, 보완한 강유리(2006)의 취업스트레스척도를 재사용하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Betz, Klein과 Taylor(1996)가 개발한 ‘CDMSES-SF(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hort From)'를 이기학과 이학주(2000)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하고, 이를 수정, 보완한 이은경(2001)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척도를 재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모두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취업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성격스트레스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왔다. 이와 같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개인의 성격적인 문제와 관련된 취업스트레스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학년별 차이에서는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 모두 1,2학년 보다 3학년이, 3학년 보다 4학년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또한 1학년 보다 2,3,4학년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진로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모두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년 별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학년별로 알아본 결과, 1, 2학년과 3,4학년 모두 취업스트레스와 진로 준비행동 간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할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1, 2학년은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 유의한 상관이 없었고, 3, 4학년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 2학년과 3,4학년 집단 모두 진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의 경우 1, 2학년은 모든 하위 변인이 유의하게 취업스트레스를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4학년의 경우 하위 요인 중 문제해결과 직업정보 요인이 유의하게 취업스트레스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상의 난관에 부딪혔을 때 스스로가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인 문제해결과 관심 있는 직업을 찾아내고 그 직업의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인 직업정보만이 취업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설명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3, 4 학년 집단만이 취업 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기 때문에 3, 4 학년 집단만을 대상으로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고저와 상관없이 진로 준비행동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취업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의 경우 높은 집단보다 진로 준비행동이 높아질수록 훨씬 더 높은 수준으로 취업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 있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진로 및 취업 과련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상담할 때, 단순한 진로관련 정보제공 및 준비행동을 하도록 강조하기 보다는 자신 스스로 진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가질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close look at moderation effect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ing behavior and jobs seeking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meet this purpose, 413 college students from 13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2 colleges from Busan were interviewed with questionnaires on career preparing behavior, jobs seeking stress, and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ith the collected data, variables were grouped and analyzed wit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grade. Nex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relevance between the variables. Then,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find out jobs seeking stress prediction capabilities of career preparing behavior and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t last, another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find out the moderation effect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ing behavior and jobs seeking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career preparing behavior, jobs seeking stress, and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owever, in regards to personality stress,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jobs seeking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In regards to career preparing behavior and jobs seeking stress, juniors showed higher level of stress than freshmen and sophomores, and seniors than juniors. Sophomores, juniors, and seniors recorded higher in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n freshmen, as well. In other word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s. Secondly, the study took a close look at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preparing behavior, jobs seeking stress, and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grades. Freshmen and sophomores showed .50 higher level of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s seeking stress and career preparing behavior, and juniors and seniors showed .15 to .19 level, a much lower positiv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more students engaged in career preparing behavior, the higher jobs seeking stress was. Moreover, in regards to the correlation between jobs seeking stress and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freshmen and sophomores, but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in juniors and seniors. In addition, because there was significant relevance between jobs seeking stress and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juniors and seniors, control effect investigation was done only on juniors and seniors. Third, in order to see if there was significant prediction of jobs seeking stress from career preparing behavior and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for students of all grades, career preparing behavior led to significant prediction of jobs seeking stress. As for the subordinate factors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case of freshmen and sophomores, the subordinate factors did not lead to any significant prediction of jobs seeking stress, but in case of juniors and seniors, problem solving and job information, subordinate factors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d to significant prediction of jobs seeking stress. Fourth,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ing behavior and jobs seeking stres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find out the moderation effect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Regardless of the level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group with high preparing behavior level showed higher level of jobs seeking stress than the group with low preparing behavior level. But when it came to the group with low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 compared to the group with high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preparing behavior level, the more stress.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ing behavior and jobs seeking stress. The study proved that when helping college students facing difficulties due to career and jobs seeking matters, it is important to help them attain decision-making self-efficacy rather than simply providing career-related information and urging them to engage in more prepa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