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아-
dc.contributor.author전지인-
dc.creator전지인-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0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8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025-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제2언어 독해에서 어휘 지식의 양과 깊이가 독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영어 독해에서 어휘 지식의 양과 깊이가 독해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지식의 양은 독해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어휘 지식의 깊이는 독해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독해 숙달도에 따라 어휘 지식이 독해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강원도 동해시 소재의 일반 여자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어휘 수준 평가(Vocabulary Levels Test, VLT)와 단어 연상 시험(Word Associates Test, WAT) 방식의 문제를 통해 각각 어휘 지식의 양과 깊이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2010학년도 6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의 외국어영역 중 독해 부분의 문제를 통해 독해 점수를 측정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서 다음의 분석이 시행되었다. 첫째, 어휘 지식의 양과 깊이 각각과 독해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했다. 둘째, 독해에 대한 어휘 지식의 양과 깊이 각각의 설명력을 관찰하기 위해서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결정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독해 숙달도에 따라 어휘 지식이 독해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피험자들을 독해 시험 점수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로 어휘 지식의 양과 깊이 각각이 독해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보다 독해 숙달도가 높은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Qian(1999)의 연구와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지식의 양은 독해와 상관이 있고, 독해 시험 점수의 약 21%를 설명할 수 있었다. 둘째, 어휘 지식의 깊이는 독해와 상관이 있고, 독해 시험 점수의 약 28%를 설명할 수 있었다. 셋째, 독해 숙달도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어휘 지식의 양과 깊이가 독해에 미치는 영향이 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제2언어 독해 숙달도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효율적인 제2언어 독해를 하기 위해서 배경 지식, 경험, 추론 등의 지식보다는 어휘와 같은 언어적 지식에 의존하는 상향식 모형에 더욱 의존한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제2언어 독해를 위해서는 상향식 모형 중심의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비록 근소한 차이이기는 하지만 독해 숙달도에 상관없이 어휘 지식의 깊이가 어휘 지식의 양보다 독해에 미치는 영향이 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valuate the effects of breadth and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on second language (L2) reading comprehension. A total of 129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breadth and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he research questions proposed in the present study are threefold. First, to what extent does breadth of vocabulary knowledge (i.e. vocabulary size) correlate with reading comprehension? Second, to what extent does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i.e. a learner’s level of knowledge of various aspects of a given word) correlate with reading comprehension? Finally, does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comprehension vary according to reading proficiency of the learners? To measure breadth and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the Vocabulary Levels Test (VLT) and the Word Associates Test (WAT) were administered, respectively. Reading comprehension was measured using the reading part of the English sec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obtain answers for the research questions posed above. First,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s were obtained to uncover the independent correlations between breadth and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comprehension. Second,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assess the variance accounted for by breadth and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in reading comprehension. Third,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reading proficiency groups according to their scores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n the correlations between breadth and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comprehension were computed to determine if any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roles of vocabulary knowledge in reading comprehension as per the reading proficiency of the learners. Fou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ared to those of a study by Qian (1999) in which the reading proficiency of the subjects was higher than it was for this study. Results for the analyses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breadth of vocabulary knowledge correlated with reading comprehension, and explained 21%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variance. Second,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correlated with reading comprehension, and explained 28% of the reading comprehension variance. Third, both breadth and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became more important with higher reading proficiency. In other words, as L2 learners became more proficient in L2 reading comprehension, they tended to depend on a bottom-up model of reading processing (e.g. Gough, 1972), which stresses the textual data (i.e. letters and words etc.) during reading rather than the reader’s prior experience and background knowledge. This showed that effective L2 reading instruction should reflect a bottom-up approach. Lastly, although the difference was small,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proved to be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L2 reading comprehension than did breadth of vocabulary knowled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2.1. 어휘 지식 4 2.1.1. 어휘 지식의 양의 정의와 측정 방법 5 2.1.2. 어휘 지식의 깊이의 정의와 측정 방법 9 2.2. 독해 18 2.2.1. 독해의 정의 18 2.2.2. 독해 과정 모형 23 2.2.3. 모국어 독해와 제2언어 독해의 차이점 27 2.2.4. 제2언어 독해기술 35 2.3. 어휘 지식과 독해간의 관계를 다룬 선행 연구 40 2.3.1. 용어의 정의 40 2.3.2. 어휘 지식의 양과 독해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 44 2.3.3. 어휘 지식의 깊이와 독해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 47 2.3.4. 두 가지 경우를 모두 다룬 연구 51 2.3.5. 요약 및 결론 54 III. 실험 56 3.1. 연구 문제 57 3.2. 실험 대상 57 3.3. 실험 도구 및 절차 59 3.3.1. 어휘 지식의 양 측정 60 3.3.2. 어휘 지식의 깊이 측정 62 3.3.3. 독해 측정 65 3.3.4. 실험 절차 66 3.4. 통계 처리 67 3.5. 실험 결과 및 분석 67 3.5.1. 기술 통계 68 3.5.2. 어휘 지식의 양과 독해간의 관계 71 3.5.3. 어휘 지식의 깊이와 독해간의 관계 74 3.5.4. 독해 숙달도에 따른 집단별 어휘 지식과 독해간의 관계 76 3.6. 논의 78 IV. 결론 87 참고문헌 90 부록 1. 어휘 지식의 양 측정시 사용된 VLT(이천 단어 수준) 100 부록 2. 어휘 지식의 깊이 측정시 사용된 WAT 104 부록 3. 독해 시험 점수 측정시 사용된 2010학년도 6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의 외국어(영어) 영역 독해 부분 문제지 111 Abstract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76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휘 지식의 양과 깊이가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독해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Breadth and Depth of Vocabulary Knowledge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Jeon, Ji In-
dc.format.pagex,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