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종교교사들의 종교교육관과 종교수업운영 실태 분석

Title
종교교사들의 종교교육관과 종교수업운영 실태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View of Religious Education of the Religion Teachers and the Status of the Religion Classes
Authors
임고운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이 연구는 학교에서 종교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종교교육관과 종교수업 운영 실태를 분석함으로, 종교성 함양을 위한 종교수업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수업의 대상과 운영 현황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종교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종교교육관은 어떠한가? 셋째, 교사들이 선정한 종교수업의 주제와 방법은 무엇인가? 넷째, 교사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종교수업의 평가 방식은 무엇인가? 이 연구를 위하여 전국에 있는 종립중등학교 종교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개신교계, 불교계, 천주교계 종립중등학교 종교교사 5명과 면담조사를 병행하였다. 설문조사의 경우 총 110부를 회수하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최종 104부를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이용 통계 기법은 기술통계 방법과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응답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나타난 결과에 대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다양한 필요와 욕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종교교사는 이러한 현실적 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종교교사들은 종교성 교육을 종교에 관한 단순한 지식전달이 아닌 종교적 진리에 대한 성찰과 자아정체감 확립, 영적 안정으로 이해하고 있다. 셋째, 종교수업은 전통적인 종교적 신념과 지식보다는 일상생활의 역동적 경험과 사건들을 주제로 하여 이루어질 때 학생들의 종교성 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성찰과 체험이 중심이 되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와 실천이 필요하다. 다섯째, 특정 종교의 내용을 다루더라도 이를 신앙이 아닌 하나의 학문적 탐구의 영역으로서 비판적으로 탐구하고 해석하는 적극적인 측면에서의 종교교육은 아직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기 어렵고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또한 부족하다. 여섯째, 종교수업에서 세계 종교에 대한 내용을 다룰 때 대화와 토론, 현장방문 등과 같은 체험의 방법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학생들의 종교성 함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 기준과 다양한 평가 도구가 필요하다. 여덟째, 종교교사는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도덕적·인격적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격려하며 지지해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종교성 함양을 위한 종교교육의 실천을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자면 먼저 학교 현장을 위한 제언으로, (1)종교성 교육에 대한 이해 및 중요성 인식 확대 및 공유를 위한 종단 내 또는 종단 간의 교류와 협력의 장을 확대하고 관련 교사연수를 마련하고 (2)교사들이 종교교과와 타 교과 교육과정의 연계를 시도하며 (3)다른 종교의 내용에 대해서도 적극적 태도를 가지고 가르치고 (4)종교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험의 방법들, 즉 놀이, 명상 자료, ICT 자료 개발 등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종교수업의 다양화’를 이루어가며, (5)종교성 교육의 실현을 위한 교육환경을 조성하자는 것이다. 다음으로 종교교육과정 개발과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1)종교교과서를 주제 중심의 학생들이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생각하고 성찰해볼 수 있는 다양한 물음과 내용을 제시하는 형식으로 구성하고, (2)‘체험’을 위한 종교교육과정을 마련하며 (3)종교성 함양을 위한 종교교육이 종립학교의 현장을 넘어서 일반 학교에서도 편성·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the religious classes to cultivate religious spirituality by analyzing the view of Religious Education of the religion teachers and the status of the Religion Classes. The followings ar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1) who are the targets of the religion classes and what is the present operational status of the religion classes? 2) what is the view of the religion teachers on the religious education? 3) what are the themes and methods of the religion classes that the teachers have chosen? 4) how do they evaluate their religion class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200 religion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throughout the country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and 5 religion teachers in religious organization(Protestantism Buddhism, and Catholic) founded second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interviewed. Total 110 answers were collected and 104 answers excluding insincere ones were analyzed by SPSS 18.0. For the statistics, Technical Statistic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various needs and desires of the students on the religion classes, and the teachers should consider those situations. Second, religion teachers understood that the religious education is not just conveying knowledge but inner reflection about religious truths and to build self-identity and spiritual stability. Third, religious classes can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the religiosity of the students when they focus on experiences and events in everyday lif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traditional religious faith and knowledge. Fourth, the research and the practice of various learning-teaching methods are needed for the reflection and experience centered religious education. Fifth,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active aspect religious education which studies and interprets the religion critically not as a faith but as a academic research area even when it deals with a specific relig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on such education is not sufficient. Sixth, when religion teachers teach about the world religion, the research and effort are needed for using various experiential methods like a conversation, a discussion, site visit and so on. Seventh, it need to have evaluation criteria or many tools suitable for check student's religious mature. Eighth, the religion teachers should have an eye for student's moral attitude change, and then they can encourage and support students.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we would like to make some proposals to practice the religious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the religiosity. For the schools, (1) we need to expand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denomination or between denominations te expand and to share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religious education and arrange the training programs for the teachers. (2) Teachers should try to connect their classes to other subjects' curriculum. (3) Teachers should have active attitude to the other religions and teach them. (4) They need to develop various experiential methods that can be utilized in Religion Classes such as pray, meditation materials and ICT materials to realize 'Diversified Religious Classes'. (5) We need to compose educational environments to realize the education of the religiosity. Next, there are proposals for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religious educational curriculum. (1) The textbook should be composed to provide various questions and contents where students can think and reflect related to their everyday life. (2) The religious educational curriculum should be prepared to emphasize the 'Experiences'. (3) Institutional support and efforts are needed so that religious education to cultivate the religious spirituality can be made not only in religious organization founded schools but also in general schoo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