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5 Download: 0

소설의 접근점 확장에 관한 연구

Title
소설의 접근점 확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Expanding Access Points for Fiction
Authors
최지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은경
Abstract
본 연구는 다양한 소설의 접근점을 원하는 이용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소설의 접근점 확장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문헌연구, 사례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접근점의 개념과 범위를 규정하고 다양한 소설의 접근점 요소를 조사하였다. 소설 검색과 접근점 제공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도서관, 인터넷 서점, 도서 정보 사이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서 인터넷 독서동호회의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사례조사와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소설의 접근점을 확장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례연구에서는 국내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 YES24, 인터넷 교보의 세 기관을 선정하고, 국외의 경우 Helsinki University Library, Hennepin County Library, The Royal Library, Amazon, Barnesandnoble, FictionFinder, LibraryThing, WorldcatGenre의 여덟 기관을 선정하여, 총 11개의 대상기관에서 제공하는 소설의 접근점을 장르요소, 내용요소, 감정요소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소설 검색의 현황과 현재 제공되는 접근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접근점의 확장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크게 소설 이용 현황, 소설 검색, 소설 검색의 개선 사항, 응답자의 일반 사항의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회원 수가 약 8,6000명인 다음 카페 「독서 클럽 - 책으로 만나는 세상」의 회원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22일부터 2011년 5월 6일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독서동호회 회원 중 무작위로 500명을 선정하여 전자메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총 500명 중 305명이 설문에 응하여 응답률은 61%이었다. 사례조사와 설문조사의 결과 분석을 통해 나타난 소설 접근점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외의 기관에 비해 국내의 기관은 소설 검색을 위한 다양한 접근점을 제공하지 않는다. 국외의 기관들은 소설에 대한 이용자의 접근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르요소, 내용요소, 감정요소 등의 다양한 요소를 소설의 접근점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내의 기관들은 서지사항만을 소설의 검색 접근점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소설 이용자는 하나의 요소만을 사용하여 소설을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요소를 함께 사용하여 소설을 검색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접근점이 서지사항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접근점을 사용하는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소설에 접근하기 어렵다. 둘째, 소설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와 현재 제공되는 접근점 사이에 괴리가 크다. 이용자들은 내용요소와 감정요소를 중요한 소설의 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소설의 접근점으로 사용하기를 원하지만 현재 내용요소와 감정요소는 접근점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이용자들은 서가에서 직접 소설을 찾아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소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차원에서 소설에 접근하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서지사항 중심의 전통적인 접근점은 이와 같이 변화된 이용자의 요구에 대응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이상과 같이 문헌연구, 사례조사,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접근점을 사용하여 소설에 접근하기를 원하는 이용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소설의 접근점 확장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시한 소설의 접근점 확장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의 저자는 본명이외에도 필명이나 자(字), 호(號) 등과 같이 이명(異名)을 많이 사용한다. 따라서 저자의 여러 이명(異名)을 전거데이터로 처리하여 소설의 접근점으로 제공해야 한다. 또한 주로 저자를 검색어로 사용하는 이용자를 위해 저자의 작품 목록이나 각 장르의 대표 작가 목록 등을 모든 기관에서 접근점으로 제공해야 한다. 비슷한 주제를 다루거나 유사한 문학적 경향을 보이는 저자의 목록도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도 소설의 검색어로 제공해야 한다. 둘째, 국내 기관에서는 장르요소를 사용하여 소설을 검색하기를 원하는 이용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장르요소를 소설의 접근점으로 제공해야 한다. 또한 현재 제공되는 장르요소는 종류와 수가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접근점을 원하는 이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예술성이나 문예사조 등과 같이 다양한 관점으로 장르요소를 확장하여 소설에 대한 이용자의 접근수준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소설의 주제를 구현하는 모든 내용요소를 소설의 본문에서 분석하여 소설의 접근점으로 제공해야 한다. 또한 제공되는 내용요소는 세부적인 모든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넷째, 국내 기관에서는 감정요소를 소설의 접근점으로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감정요소를 색인할 때 색인자의 주관적인 견해가 개입되지 않도록 주관성을 제어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색인의 일관성과 객관성을 유지시키면서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감정요소를 수집하기 위해 이용자를 색인과정에 참여시키는 것도 한 방안이다. 다섯째, 베스트셀러, 수상작, 스테디셀러, 최신소설은 이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소설의 접근점이므로 도서관이나 도서 정보 사이트에서도 제공해야 한다. 또한 공신력이 있는 기관에서 선정한 다양한 베스트셀러와 수상작을 제공하여 이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user-oriented fiction searching by expanding access poi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literature reviews, case studies, questionnaire survey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fiction searching focusing on the needs for the users. First, literature reviews included the definition and category of access points for fiction, and its difficulties, processes, purposes, and the searching elements. Second, for the case studies, 4 libraries and 4 internet bookstores, Librarything, FictionFinder, Worldcatgenre were analyzed in the present condition of fiction searching. thir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o inspect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of fiction searching and to collect opinions on new access points . The followings are the problems results from analysis of finding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case studies. First, it does not provide many access points for novel. Users are difficult in searching for the desired novel. Because the main access point are the Bibliography elements. Second, it was the extensive difference between user's needs and the current access point. Users want to use the emotional elements. But they are not currently available. Based on the results from literature reviews, case studies, questionnaire surveys, the expansion of access point is proposed for fiction searching. First,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author of the novel should be provided with an access point. Second, genre should be available in searching fiction. And various genres elements should be provided. Third, various content elements and details should be provided with an access point of the novel. Fourth, emotional elements can ensure objectivity through many users’ choice. Fifth, best-selling, award-winning, steady-selling, new novels should be available in all institu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