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청년회화전(Le Salon de la Jeune Peinture)에 나타난 사회의식 연구

Title
청년회화전(Le Salon de la Jeune Peinture)에 나타난 사회의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ocial Consciousness Portrayed in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Authors
박희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청년회화전(Le Salon de la Jeune Peinture)>에 나타난 사회의식에 대한 연구이다. 젊은 예술가들의 새로운 양식이 실험될 수 있는 장으로 기능하고자 했던 <청년회화전>은 프랑스 미술계에 새로운 예술 경향들을 소개함과 동시에 예술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고민하고 그에 따른 사회의식을 표출하고자 했다. 이에 본 논문은 <청년회화전>과 당대 현실간의 관련성과 상호작용을 정치·사회사적인 방법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청년회화전>이 발족한 1950년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구성원의 변화에 따라 시기별로 구분하고, 각 시기에 따른 사회의식의 표출 방식을 고찰하였다. 오랫동안 프랑스 미술을 이끌어온 살롱전은 예술가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추구하는 미의식과 사회의식을 선보이는 창구였다고 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청년회화전>은 전후 냉전 시기에 나타난 정치적 대립과 그에 따른 미학적 분열 속에서 사회 비판 의식을 형성하였다. 또한 자기 쇄신이 가능하도록 한 운영방식과 개방적이고 민주적인 구조는 시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에 따른 사회의식을 적극적으로 표출할 수 있게 한 밑바탕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예술가가 가진 시대 증언의 의무를 역설한 1950년대 초기 <청년회화전>의 작가들은 전후 추상 미술이 미술계를 주도한 시기에도 전쟁 이후의 삶을 있는 그대로 기록하고자 했다.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들의 믿음은 <청년회화전>을 관통하는 사상적 기저를 형성했다고 할 수 있다.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작가 개인의 사적인 정감이나 감수성을 표현하는 데 집중했던 시기도 존재했지만, 알제리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 당대 급격한 사회적 혼란을 맞아 <청년회화전>은 다시 역동적으로 사회의식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1960년대 중반 <청년회화전>에 새롭게 등장한 젊은 세대들은 이전 <청년회화전>을 장악했던 형식주의를 타파하고 현실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기 위해 당대의 사회적 이슈를 주제전으로 끌어와 역사와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내고자 했다. 나아가 공동 작업 방식을 채택하여 예술적 자율성이라는 신화를 해체하고 사회의 부조리를 고발했다. 집단성이 강조된 이러한 공동 작업은 정치적 사안을 관철하고 쟁점화하는 데 적합한 도구로서 이후 <청년회화전>을 대표하는 하나의 특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청년회화전>의 사회의식 표출은 예술적 차원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68혁명을 통해 공동체와의 연대와 투쟁을 경험한 <청년회화전>은 1970년대 다양한 연합을 조직하여 시위와 농성 등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 현실에 참여하게 된 것이다. 1980년대 이후 현재까지 <청년회화전>은 하나의 경향으로 수렴시키기 어려울 정도로 다원화된 사회의식을 포용하기 위해 권위와 역사를 상징하는 ‘살롱’이란 명칭까지 버리고 젊은 예술가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통로로서 계속해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나름의 정체성을 형성하지 못하고 자취를 감추었거나, 여전히 정형화된 틀에 갇혀 있는 다른 살롱전들과는 상당히 다른 면모라 하겠다. 본 논문은 <청년회화전>이 단순히 작품을 발표하는 연례전의 성격에서 벗어나 작가들로 하여금 계속해서 자신이 속한 사회와의 상관관계를 염두에 두도록 만들고 사회적 담론을 창출할 수 있게 독려하는 기구였음을 확인하였다. 사회의식이라는 사회정치적 맥락에서 <청년회화전>을 살펴본 본 연구는 지금까지 1960-1970년대 신구상 미술에 집중되어 있던 기존 논의의 한계에서 벗어나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경향들과 작가들을 소개하고 <청년회화전>이 프랑스 미술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그 의미에 대해 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is paper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ttributes of social consciousness portrayed in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was founded in hope that it would provide an opportunity for young artists to experiment and innovate new styles. To fulfill its purpose, it functioned as an institution to introduce the new trends in French art as well as discuss the social functions of art in society. In addition, it tried to embody the social consciousness of the artis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discover the significance of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how it interacted and formed a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at the time. A political and social historical perspective was applied to review its importance. Also, the researcher classified each period according to the members in history from 1950 when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was founded till today and discussed the expressions of social consciousness in each period. The Salon, which was passed down on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as part of French tradition, was an institutional device for the artists to express their artistic and social consciousness. Among the Salons,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played a distinctive role as it formed critical social consciousness in midst of social and artistic confusion that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Cold War. With its unique management that enabled one to renovate him/herself along with liberal and democratic structure provided a solid foundation for the artists to realize their social consciousness that varied depending on the social changes. Even though abstract art began to prevail in the field of art after the war, the early members of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who shared a conviction that it was a duty for artists to testify against the society, tried to depict the life after war with realism. Even though individual artist's sentiment and sensitivity gained importance during the late 1950s and early '60s,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revived as an active body to express social consciousness in times of social confusions soon followed by Algeria and Vietnam War. In the mid-1960s, the new generation of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introduced a new system by holding thematic exhibitions to deal with social issue. Furthermore,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strategically chose collaboration to dissolve the myth of artistic autonomy and denounce the corruption of society. Soon afterwards, collaborative work has become one of the main feature of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as proper tool to raise politically sensitive issue.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went well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art world. The experience of banding together with the community and struggling from May 68 set a milestone for the members of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to launch a union for artists and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such as demonstrations and strikes in the 1970s. From the 1980s and onwards,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independent from the authoritative values of Salon, has actively promoted artistic values of contemporary art and functioned as a channel for young artists to speak up their voices. This separated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from the other Salons which disappeared or still kept authoritative attitud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which had its root in the French traditional art system, Salon. It was a complex place where the contrasting values such as artistic autonomy and social function of art constantly clashed and interacted with each other. This study examines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s socio-political context. It was design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at have been dedicated to Novelle Figuration of the 1960s and '70s and shed light on little-known artists and movements in art hist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