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미디어 생태학적 관점에서 제안하는 창조적 대화 기독교교육

Title
미디어 생태학적 관점에서 제안하는 창조적 대화 기독교교육
Other Titles
A Study on Christian Education of Creative Interaction from a viewpoint of Media Ecology : A Search for the Interconnected Educational Method using Electronic Media
Authors
이주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백은미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a critical question about how Christian Education can creatively respond to the present times when electronic media causes changes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In Media Ecology, the media are viewed as a formative means of affecting the forms of human beings and society. It not only delivers substance, but also has an impact on how humans think and act, through which it brings out changes in the society. As Electronic media shapes patterns of thoughts and behaviors of learners in general,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reflect on its practice to meet the needs of the present electronic media era. The ecological changes that electronic media has brought for humans and society are egalitarian community spirit, poly-sensory communication, non-linear and multi-focused thinking and interconnectiveness. Especially this period is marked by the emergence of the inter-connective ways of thinking and acting through electronic network. However, current Korean Christian Education merely sees instrumental usefulness in electronic media, but does not view it as a channel of fundamental changes. Especially it is found that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among learners is relatively poor and that learners are not fully encouraged to question and study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herefore this results in low participation in learning process by learners. Intersubjective interconnectiveness is absolutely required for our participation in God's continuous creation. Process Theology sees the world as a unity of numerous agents being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God is seen as the Being who continually creates this world and the future from the interaction among many agents that are organically connected. In this perspective it is desirable that the connectivity of electronic media should be accomplished in a mutually subjective manner since the continuous creation that God wishes is more likely to dwindle in an isolated or one-way relation. As for one of the possibilities to achieve this, this study suggests Christian Education of Creative Interaction which aims at leading learners to participate in God's continuous creation by helping them develop intersubjective interconnectiveness in every aspect of their lives. The concepts of Christian Education of Creative Interaction are as follows. This study suggests three purposes of the education: the creative and integrated formation of the self, the recreation of the tradition of Christian community, and lastly the coexistence and fulfillment of social responsibilitie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religions. In a broad sense its educational context refers to electronic media space which involves every space where life is on the process of becoming. In a specific sense, it refers to every moment when interaction arises from participation in God's continuous creation. Learners are considered the leading figures of teaching-learning process whereas teachers are facilitators for individual interaction, co-learners, and persuaders. Lastly it involves three dimensions of teaching-learning process; creative interaction with the self on individual dimension, creative interaction with Christian tradition on religious community one, and creative interaction among religions on religious-social one. For the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of Creative Interac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autobiographical writing, dialectical dialogue between tradition and experience, and pluralistic religious community through electronic media. Knowing Map, Poly-cube Bible and Interactive Scriptures are suggested for its specific methods. These are the teaching-learning processes that focus on interconnectiveness and interactions. And each has its specific educational field, operating system and purpos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demands that current Christian Education face is proactive coping and creative responses to a variety of changes due to electronic media. Christian Education should continue seeking its new possibilities in the era of electronic media. Beyond its theoretical suggestions, it needs to expand new concepts of education and further develop concrete steps of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this should be done by a fundamental and in-depth study and a critical examination on electronic media.;이 논문은 전자미디어가 삶의 전 영역에 걸쳐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현실에서 기독교교육이 어떻게 창조적으로 응답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미디어 생태학에서는 미디어를 인간과 사회의 모습에 영향을 미치는 형성도구로 본다. 미디어는 단지 내용을 전달하는 것만이 아니라 인간의 사고 및 행위양식에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사회의 변화까지 야기한다는 것이다. 전자미디어가 인간의 내면세계를 확장하고 체험을 다중화해주는 의미론적 기술(semantic technology)로 기능하고 있는 지금, 기독교교육은 미디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전자미디어 시대의 기독교교육을 성찰하고, 시대적 요청에 창조적으로 응답해야 할 필요성을 가진다. 전자미디어가 인간과 사회에 가져오는 생태적 변화는 수평적 공동체성과 다중감각적 의사소통양식, 비선형적이고 다중심적인 사고, 상호연결성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본 연구자는 전자미디어 네트워크로 인한 상호연결적인 사고 및 행위양식의 대두가 이 시대의 가장 큰 특성이라고 연구하였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기독교교육은 전자미디어의 도구적 유용성만을 주로 활용하고 있을 뿐, 보다 근원적인 변화라는 시각에서 전자미디어를 바라보고 있지 못하다. 그 중에서도 교역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들 사이의 상호주체적인 의사소통이 비교적 취약하며, 학습자의 질문이나 다양한 관점에서의 탐구를 격려하는 점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호주체적인 상호연결성은 우리가 하나님의 지속적인 창조에 동참하고 응답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과정신학에서는 이 세상을 상호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수많은 존재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리고 하나님은 다양한 존재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가운데 일어나는 상호작용 속에서 새로움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세계와 미래를 만들어 가시는 분으로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자미디어의 상호연결성은 상호주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외나 일방향적인 연결 관계에서는 하나님이 원하시는 지속적인 창조의 가능성이 축소되기 때문이다. 기독교교육은 하나님의 뜻인 지속적인 창조에 학습자들이 동참하도록 격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꼭 필요한 상호주체적인 상호연결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전자미디어의 상호연결성은 이를 위한 가능성과 걸림돌을 동시에 안고 있다. 전자미디어 네트워크로 인해 형성되고 있는 이 시대의 상호연결성은 다양한 목소리들을 발굴하고 장을 제공하면서 보다 상호연결적이고 다원적인 사회구조를 창출하는 면이 있다. 그러나 또한 이는 인간 주체를 소외시키고 자아를 파편화하며, 자본과 정교하게 결합되어 여러 영역에서 새로운 소외를 창출하면서 사회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전자미디어 네트워크의 상호연결성의 가능성은 확대하고 그 한계는 극복하면서 학습자로 하여금 상호주체적인 상호연결성을 형성하여 하나님의 지속적인 창조에 동참하도록 돕는 교육을 모색하고자 하며, 그 가능성 중 하나로 창조적 대화 기독교교육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우선 Ⅱ장에서는 미디어 생태학적 관점에서 보는 미디어의 개념을 정의하고, 각 미디어에 따른 인간의 독특한 인식방식을 구술미디어 시대와 문자미디어 시대, 전자미디어 시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미디어에 따른 기독교교육의 변화를 구술미디어 시대와 문자미디어 시대, 그리고 현대의 전자미디어 시대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한국 전자미디어 기독교교육의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고 특히 상호주체적인 상호연결성이 취약함을 지적한 후 기독교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창조적 대화 기독교교육의 제 개념을 연구, 제시하였다. 창조적 대화 기독교교육이란 학습자가 자기 자신, 기독교 공동체, 그리고 다양한 이웃들과의 상호연결성 안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상호작용을 통해 하나님의 설득적인 사랑에 응답하는 행위로서의 창조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세계와 존재들의 중심원리로서의 상호연결성, 하나님과 각 주체들이 협력하여 이루어가는 지속적인 창조, 그리고 다양한 주체들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으로서의 대화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창조적 대화 기독교교육의 교육 개념들은 다음과 같다. 우선 교육목적으로는 창조적이고 통합적인 자아의 형성, 기독교 공동체 전통의 재창조, 종교 간의 대화를 통한 상호공존과 사회적 책임 수행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의 장으로는 넓은 의미에서의 교육의 장은 생성과정으로서의 삶이 일어나는 모든 공간으로서의 전자미디어 공간으로, 특정한 장은 하나님의 지속적인 창조에 동참하는 행위로서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순간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교수-학습과정의 주체는 학습자이며, 교사는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자, 공동학습자, 그리고 설득하는 자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교수 학습과정은 개인적 차원인 자아와의 창조적 대화, 종교 공동체적 차원인 기독교 전통과의 창조적 대화, 그리고 종교적-사회적 차원인 종교 간의 창조적 대화로 이루어진 총 세 차원으로 연구하였다. Ⅴ장에서는 창조적 대화 기독교교육의 방안을 각각 전자미디어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자전적 글쓰기와 전통과 경험의 변증법적 대화, 그리고 다원적 종교 공동체 구성으로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노잉맵, 다면체성서, 인터랙티브 경전을 제안하였다. 이들은 상호연결성과 상호작용을 중심에 두고 설계된 교수-학습과정으로, 각기 다른 교육의 특정한 장과 운영 체계 등을 가진다. 전자미디어로 인한 여러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와 창조적인 응답은 현 기독교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기독교교육은 전자미디어 시대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들을 지속적으로 모색하여야 하며, 이론적 연구에만 머무르지 않고 교육의 제 개념들을 새로이 설계하고, 구체적인 교수-학습과정을 구축하는 데까지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는 전자미디어에 대한 근원적이고 심층적인 조망과 비판적 성찰이 병행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