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손운산-
dc.contributor.author박상희-
dc.creator박상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6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7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63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내담자가 지닌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문제를 인지하고, 수정하는 방법을 찾아 적용하는 것이다. 하나님 표상은 아동기의 각 발달단계의 경험들을 통해 형성된다. 프로이트와 종교 심리학자들의 연구는 하나님 표상이 어린 시절 주요 양육자와의 사이에서 경험했던 여러 감정들을 재료로 하여 후천적으로 만들어진 것임을 밝혀주었다. 아동기에 겪은 부모와의 관계 경험과 그들의 하나님 이미지 사이에는 평행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표상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 발달단계 그리고 표상의 정교화 작업 등에 관해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형성과 발달에 대해서 유추할 수 있다. 이어진 논의는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 문제의 구체적 해결에 관한 것이었다.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이 인간 경험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 자체가 해결을 위한 출발점인 것은 사실이지만, 표상은 오랫동안 형성되어 온 것이기에 안다는 것만으로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만일 아는 것에서 그친다면 개인은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신앙을 버리는 손쉬운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다.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문제는 유아기의 경험에 비길 수 있을 정도로 의미가 있는 관계 속에서의 치료적 경험에 의해 새로운 심리구조가 만들어짐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을 변화시키는 상담은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원인이 된 외상적 경험을 파악하여 치료함으로써 표상을 만들어내는 주체인 자기가 새로운 표상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강건해지게 돕는 것이다. 이런 목표를 이루기 위해 사용한 개념은 자기대상(selfobject) 개념이었다. 자기대상 개념이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문제를 풀어나가는 적합한 이유는 우선 자기대상 개념이 표상을 형성한 주체이면서 동시에 표상의 문제를 바꿀 수 있는 주체인 자기의 힘과 변화에 대해서 강하게 조명하고 있다는 것이고, 표상 형성과 발달의 핵심 경험을 이끄는 관계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강조한다는 점 그리고 실제적이고 기능적인 개념이라는 사실 때문이다. 자기대상 재경험을 통한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하인즈 코핫과 후기 자기심리학자들이 펼친 방대한 이론을 자기대상 개념 중심으로 구분하여 재정리 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기대상의 정의, 종류, 차원 등을 살펴봄으로써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문제와 자기대상 개념이 어떤 면에서 교차되고,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상담에서의 구체적인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자기대상 재경험이 되는 상담과정을 제시하였다. 과정은 네 단계로 설명되었는데 우선 원초적 자기대상 경험이 되는 모성적 돌봄의 실패와 그로 인해 파편화된 자기가 만들어내는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이어서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해체 단계로서의 자기대상 욕구의 재활성화와 자기대상 전이의 전개를 살펴보았다. 결정적인 치료의 경험이 되는 공감적 이해, 공감적 해석, 최적의 좌절을 통해서 파편화된 자기가 어떻게 응집성을 취득해나가는지를 논하였고, 마지막으로는 변형적 내면화 과정을 거친 응집적 자기가 표상의 변화를 변화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단계들을 세 개의 사례에 적용하여 해석함으로써 임상적 효용성을 증명하였다. 치료 단계에서는 심리학적 이해와 방법을 주로 사용했다면, 새로운 하나님 표상의 재구성 단계는 신학적인 관점 위주로 진행되었다. 개인이 지닌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이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온 가부장적 하나님 이미지와 흡사하다는 점은 신학적 논의의 필요성을 불러 일으켰다. 가부장적이고 군주적인 전통적 하나님 이미지는 현대를 살아가는 개인과 소통하지 못하고, 일방적이고 위계적인 불변의 하나님 이미지는 다변화되고 변화무쌍한 현대 사회 이슈를 처리함에 무능하다는 것이 신학적 논의의 전제였다. 역기능적 하나님 이미지는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과 마찬가지로 의심을 받아야 하며, 그 결과 수정, 보완,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신학적 논의의 주장이었다. 수정되어 재구성되어야 하는 하나님 이미지는 관계성과 다양성을 지닌 기능적 하나님 이미지임을 밝혔다. 하나님의 관계성은 가부정적 사고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님의 본질이며, 하나님의 다양성은 국한된 언어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님의 능력임을 설명하였다. 기능적 하나님 이미지를 모색하는데 적합한 신학적 방법으로 은유신학을 제시하였다. 은유에는 새로운 것을 실험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도출된 다양성을 통합할 수 있는 힘이 있으며, 은유신학은 다양한 은유를 사용해 하나님에 대해 상상하고 실험할 수 있는 신학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여성신학과 생태신학의 관점도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본 논문의 마지막 작업은 새로운 하나님 이미지의 모색과 제시에 관한 것이었다. 새로운 기능적 하나님 이미지의 한 예로서 자기대상 하나님을 제안하였다.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자기대상이 되듯이 하나님은 인간에게 자기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 기본 전제였다. 자기대상 하나님은 개인화되고 복잡한 문명의 발달 속에서 위협당한 인간의 삶을 치유하시고, 회복하시고, 아픔을 어루만지시는 하나님이다. 자기대상 하나님은 개인, 사회, 생태 모두와 친밀하게 관계하시며 힘을 공급하시며, 다양한 모습으로 세상과 함께 하시는 하나님이다. 자기대상 하나님의 성품은 관계적이며, 자기대상 하나님의 모습은 다양하다. 본 논문은 결국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였다. 인간과 심리 내적으로 관계하시는 하나님은 하나님 표상 개념으로, 교회 공동체를 통해 관계하시는 하나님은 하나님 이미지 개념으로 논의되었다. 진행된 내용을 반추해볼 때 결국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과 역기능적 하나님 이미지에 대한 논의는 비관계적 하나님에 관한 논의였고, 기능적 하나님 표상과 기능적 하나님 이미지는 관계적 하나님에 관한 논의였음을 알 수 있다.;This paper was conducted in a search to acknowledge clients' problems regarding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and to look for ways to modify and solve them. God representation is basically acquired from the experience of each developmental stage in childhood. Studies done by Freud, with many other religious psychologists have proved that God representation is something acquired in the early days through the exchange of various emotions with the rearers. In short, there exists a parallel between the relationship experiences with one's parents in childhood and his/her image of God. Thus, by looking closely at the environment(when the representation was made), the developmental stage and the elaboration process regarding the representation, we could infe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one's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This study discusses about specific solutions regarding the problems of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Realizing the fact that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is the product of the human experience is a good beginning to solve the problem. However, since representations are formed during a very long period, it is not easy to solve the problem just by acknowledging this fact. If one only knows this fact, he/she may choose the easy way, by throwing away faith in order to escape from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can be solved by making a new psychological structure which comes out from the therapeutic experience through meaningful relationships, which itself is quite comparable to childhood experience. Counseling to change one's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means to help one become stronger in making a new representation, by acknowledging and treating traumatic experiences, which have been the cause of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The main concept used in this study to achieve this goal is the selfobject. The reason why the selfobject concept is the appropriate method to solve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is because it focuses mainly on one's power and change, one referring to the subject who forms the representation and who has the ability to fix the problem related to it. Also it is because it specifically emphasizes relationship which leads the core experience of the representation formation and development. Most of all,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oncept is both practical and functional. In order to expla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selfobject, a vast amount of theory made by Heinz Kohut and the late self-psychologists has been separated and rearranged centrally by the selfobject concept. In this process the definition, types and levels of the selfobject have been thoroughly looked into, as a result providing insight into how the issues of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and the selfobject concept intersect and affect each other. This study shows the counseling process of the experience of the selfobject in order to explain the concrete application methods used in counseling. The process will be shown in four steps. First, we will look into the failure of motherhood, which is the basic selfobject experience. Naturally linked to this, we will also look into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formed by the fragmented self. Next, we will look into the reactivation of the selfobject need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lfobject transference as the dissolution stage of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Third, we will discuss how the fragmented self acquires cohesiveness through empathetic understanding, empathetic interpretation and optimal frustration, which becomes the decisive treatment experience. Lastly, we will look into how the cohesive self, having gone through the process of transmuting internalization, brings about change in representation. To sum it up, we will prove the clinical efficacy of this by applying these four steps to three cases, making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 result. In the treatment stage psychological understanding and methods were used, whereas in the reconstruction stage of the new God representation theological perspectives were mainly used. The fact that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possessed by the individual and the traditionally emphasized patriarchal image of God resemble each other brought about the need for theological discussion. The premise of the theological discussion has been that the traditional patriarchal and monarchical image of God does not communicate with contemporary individuals, moreover that the unchanging, one-sided hierarchical image of God is incompetent in dealing with various fast-changing issues in modern society. In addition to this, the premise of the theological discussion has been that malfunctioning God image, as well as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he end demanding modification, supplement and exten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image of God which needs to be modified and reconstructed is the functional image of God possessing relationship and diversity. God's relationship is the essence of God which enables us to overcome patriarchal thoughts. On the other hand, God's diversity is the ability of God which enables us to break the language boundary. As the most suitable theological method to seek for a functional image of God, this study suggests Metaphorical Theology which emphasizes metaphor full of imagination and diversity full of energy. The first basis is that metaphors are open to new experiments, and have the power to combine diversity. The second basis is that Metaphorical Theology allows imagination and experiment regarding God using various metaphors. In the last section of this study, I aim to suggest a new image of God. As a good example of a new functional image of God we will suggest a selfobject God. The similarity between the counselor becoming the selfobject to the client and God becoming the selfobject to human beings was the basic premise of this study. The selfobject God heals and recovers the lives of human beings fragmented in this contemporary personalized culture. It is closely related to humans, our society, moreover the entire ecology, and joins with the world in various forms. In short,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God that relates to human beings in an inner psychological way is introduced with a God representation concept, whereas God that relates to human beings through the church community is introduced with a God image concept. Reflecting on the overall process of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issues regarding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and malfunctioning God image are issues regarding the non-relational God, and that issues regarding the representation of God and the functional image of God are both issues regarding the relational God. Dealing with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and malfunctioning God image with a functional perspective, and putting efforts into making new positive changes to it was truly a creative act of confession, renewing the relationship with G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 동기 및 목적 1 B.연구 문제 및 방법 6 C.논문의 구성 10 Ⅱ.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에 대한 이해 12 A.하나님 표상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12 1.표상의 정의 12 2.전통정신분석학적 고찰 16 3.대상관계이론과 하나님 표상 19 4.대상관계적 종교심리학자들의 하나님 표상 24 B.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형성과 발달 28 1.하나님 표상의 형성 28 2.하나님 표상의 발달 30 C.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유형 39 1.역기능적 하나님 표상 유형 연구의 방법 39 2.리주토의 개인화된 범주화 방법 41 3.거킨이 제시한 하나님 표상 유형 46 D.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사례 48 1.내 안의 바로, 그 이름은 하나님 48 2.나쁜 남자, 그 이름은 하나님 58 3.에바의 캄캄한 절망 65 Ⅲ.자기대상 경험을 통한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변화 73 A.역기능적 하나님 표상과 자기대상 73 1.자기의 강화 74 2.강렬한 관계성 77 3.기능 중심성 79 B.자기대상 고찰 81 1.자기대상의 정의와 성격 81 2.자기대상의 종류 84 3.자기대상의 차원 87 C.자기대상 경험과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변화 92 1.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형성 93 1) 자기대상의 기능 실패와 파편화된 자기 93 2) 파편화된 자기가 만들어내는 왜곡된 하나님 표상 95 2.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해체 96 1) 욕구의 재활성화 96 2) 전이의 전개 99 3.치료적 경험들 103 1) 공감 103 2) 최적의 좌절 108 4.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변화 109 1) 변형적 내면화와 응집적 자기 109 2) 하나님 표상의 변화 112 D.사례를 통해 본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변화 114 1.자기대상 경험이 전반적으로 결핍된 A씨 114 1) 파편화된 자기와 왜곡된 표상들 114 2) 자기대상 욕구들의 발현과 자기대상 전이의 활성화 116 3) 공감적 이해 중심의 치료 경험들 119 4) 작지만 꾸준한 자기 발달과 하나님 표상의 변화 122 2.응집성이 있지만 이상화 자기대상 경험이 결핍된 S씨 124 1) 이상화 자기대상의 결핍으로 인한 역기능적 표상 형성 124 2) 자기대상 욕구의 폭발과 자기대상 전이의 활용 126 3) 해석 작업을 가능하게 했던 내담자의 자원들과 공감 경험들 130 4) 성공적인 자기 강화와 하나님 표상의 변화 132 3.에바 사례의 재해석 135 1) 현저한 자기대상 경험 결핍으로 인한 우울한 자기 136 2) 정서적 욕구들의 발현과 치료적 전이 경험 138 3) 수용적 공감 경험과 최적의 자절 경험을 통한 치료 촉진 143 4) 목회적 자원 활용과 하나님 표상의 변화 147 Ⅳ.자기대상으로서의 하나님 이미지 151 A.전통적 하나님 이미지와 기능 152 1.소통하지 못하는 기존의 하나님 이미지 152 2.고전적 신론에서 파생된 하나님 이미지의 한계 155 B.새로운 하나님 이미지와 기능 157 1.관계적 하나님 이미지 158 1) 하나님 표상, 하나님 형상 그리고 관계성 158 2) 하나님의 본질, 관계성 162 3) 하나님의 관계성을 드러내는 삼위일체 신학 164 2.다양한 하나님 이미지 171 1) 은유신학과 하나님 이미지 171 2) 다양한 하나님 이미지에 대한 연구들 176 3) 자기대상으로서의 하나님 이미지 제안 180 C.자기대상으로서의 하나님 이미지와 기능 181 1.반영해 주시는 하나님 182 1) 반영해 주시는 하나님 성품 182 2) 반영해 주시는 하나님 모습 186 2.이상화 존재가 되어 주시는 하나님 192 1) 이상화 존재가 되어 주시는 하나님 성품 192 2) 이상화 존재가 되어 주시는 하나님 모습 197 3.쌍둥이 같은 하나님 204 1) 쌍둥이 같은 하나님 성품 204 2) 쌍둥이 같은 하나님 모습 210 Ⅴ.결론 2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93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기대상 경험을 통한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변화에 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s and Their Transformation through Selfobject Experience-
dc.creator.othernamePark, Sang Hee-
dc.format.pageix, 23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