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서울, 경기 지역 예술고등학교 서양음악전공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

Title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서울, 경기 지역 예술고등학교 서양음악전공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
Other Titles
Investigation on Arts High School Students' Appreciation of Specialized Music Subjects for Music Majors
Authors
김민경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희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reciation of specialized music subjects and to analyze their correlation. The subject for this study is 11th & 12th students of arts high schools studying music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also aim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hat will help students study more actively and take interest in specialized music subjects. In March 2011, The survey was conducted to 948 students 11th & 12th of arts high schools studying music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used the Likert's 5-Point scale and nominal scale questions and consisted of eight parts such as importance, interest, difficulty, necessity, lecture administration, lecture contents, lecture evaluation method and their performances improvement in their major As for the data processing method, SPSS Windows 12.0 version was used, and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ne-way ANOVA, cross tabulation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nd Cronbach's α reliability analysis verified high reliability on the data. All participants of this survey had high appreciation on the specialized music subjects. Statistically,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grade and the major in the study. Most of the students perceived that their performances in their major is improved by studying the specialized music subjects. The students' performances ability increased with their appreciation, except difficulty, of the specialized music subjects. It also increased whe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variable including of lecture administration, lecture method, and lecture material. According to these results, specialized music subjects need to consider the students' appreci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It will help students to be more motivated a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education process by themselves. It will also improve their performances in their major.;본 연구의 목적은 서양음악을 전공하는 서울, 경기 지역 예술고등학교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인식’,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만족도’, ‘음악과 전문 교과를 통한 전공실력향상도’를 조사하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학생들이 음악과 전문 교과에 흥미를 가지고 보다 더 능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1년 3월 현재 서울, 경기 지역 예술고등학교 5곳에 재학 중인 서양음악전공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966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948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연구의 목적에 맞지 않거나 응답내용이 불성실하며 신뢰성이 떨어지는 설문지 64부를 제외한 884부를 연구 자료로 최종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전체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 인식 및 만족도를 알아볼 수 있는 리커트 5점 척도와 이에 대한 이유를 알아볼 수 있는 명목 척도를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인식’은 중요도, 흥미도, 난이도, 필요도 4개의 영역으로,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만족도’는 수업운영, 수업내용, 평가방식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음악과 전문 교과를 통한 전공실력향상도’는 학생들의 응답에 의하여 파악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한 방법으로서 SPSS Windows 12.0 Version을 사용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다변량분석,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 t-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에 대한 오류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전체 조사 대상자들은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하여 평균 3.81의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는 전공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부분적으로 나타냈다. 또한 전체 조사대상자들은 음악과 전문 교과의 수업운영, 수업내용, 평가방식에 대해 대부분 만족하였다. 그 평균은 3.05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전공별, 학년별 차이는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전체 조사 대상자들은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해 비슷하게 만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음악과 전문 교과를 통한 전공실력향상도는 평균 3.58로 나타나 대다수의 조사 대상자들이 음악과 전문 교과를 통하여 자신의 전공실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전공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각 영역이 전공실력향상도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중요도, 흥미도, 필요도,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전공실력향상도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난이도가 증가할수록 전공실력향상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음악 전문 교과 만족도 각 문항과 전공실력향상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업진행, 수업방식, 학습량 및 학습수준, 수업매체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전공실력향상도 또한 증가하였다. 즉, 음악과 전문 교과가 학생들의 학습량과 학습수준 및 흥미와 능력을 감안할수록, 수준별 수업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수업을 진행할수록, 효과적인 수업매체를 사용할수록 학생들이 인식하는 전공실력향상도는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음악과 전문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가 학생들의 전공실력향상도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동기 부여되어 능동적으로 교육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현 교육과정의 목적에 따라 음악과 전문 교과는 각 전공의 특성을 배려하고 학생들의 흥미와 능력을 고려한 수준별 학습을 확대 해야한다고 제언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나아가 연구 대상을 전국 예술고등학교로 확대하고, 연구 범위를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하며, 음악과 전문 교과를 통한 전공실력향상도를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보편타당한 측정도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더 많은 학생들이 음악과 전문 교과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이를 통해 그들의 전공실력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